반응형
반응형

웨이신(위챗), 대화를 넘어 중국의 일상을 연결하다


https://brunch.co.kr/@kakao-it/98


위챗(Wechat), 중국어로 웨이신(微信)인 모바일 메신저.


웨이신의 엣지, 모멘트(Moment)

2012년 4월의 웨이신 4.0 버전에 반영된 모멘트는 웨이신을 전혀 다른 메신저로 탈바꿈 시켰습니다. 모멘트의 도입 이후, 웨이신은 페이스북(혹은 트위터)이 합쳐진 메신저로 표현되기 시작합니다. 타임라인을 갖고 있는 모멘트 때문입니다. 중국인들은 웨이신의 모멘트로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뉴스도 제공하고 공유하며, 장사를 합니다. 국내 일간지의 중국 특파원은 이러한 모습을 "중국인들의 습관'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웨이신 이용자 중 61.4%가 웨이신을 열 때마다 모멘트를 확인하고, 모멘트 검색 및 모멘트 글 게시가 웨이신의 가장 주된 이용 서비스로 나온 결과는 앞선 표현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웨이신은 기업의 주된 마케팅 통로로 활용돼

개인 외 기업 및 공공 기관이 웨이신에 계정을 만들 수 있게 된 때는 2012년 8월 부터입니다. 이를 기점으로 웨이신은 기업이나 공공 기관이 메신저의 친구가 되어, 친구를 맺은 이용자와 소통하게 된 공간으로 변화했습니다. 2016년 3월 현재, 웨이신 계정에서 개인 계정은 27.3%이며, 기업 및 공공 계정이 그 나머지인 72.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유명 인사, 은행, 미디어 아울렛, 패션브랜드, 병원, 약국, 자동차 제조업체, 인터넷 스타트업, 개인 블로그 등의 기업 및 공공 계정의 수는 1000만 개가 넘습니다(2015년 말 기준). 기업 및 공공 계정은 기업이나 공공 기관이 자신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수단으로써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업은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소비자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써 웨이신을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웨이신을 상거래 플랫폼으로써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웨이신 이용자들은 친구 추가를 하듯 간편하게 기업 및 공공 계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웨이신의 공공계정을 통해 개인화된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웨이신은 기업 및 공공 계정들이 웨이신 페이로 결제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상점을 열 수 있게 했습니다. 이 체계를 이용해 기술이나 전자상거래를 위해 필요한 자원이 없는 영세 자영업자들도 모두 모바일 상점을 열게 한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다이롄의 한 편의점이 웨이신 계정을 통해 보내온 메시지입니다.  편의점은 새로 들어온 상품과 편의점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을 수 있는 QR코드를 메시지에 넣었습니다.


중국 정부, 웨이신으로 보도자료 발표

민간 기업 외 공공 기관에서도 웨이신을 대중과의 소통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중국 정부의 소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중국정부망(中国政府网)이 웨이신을 통해 발표한 메시지입니다(아래 메시지는 사업자 등록증이 없을 때 가게를 차리는 방법을 알려주는 내용입니다). 중국의 각 정부 기관에서는 웨이신으로 보도자료 등을 유통시키고 있습니다(웨이보 계정으로도 발표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개인적인 행복의 대부분은 남들을 도울 때 온다.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쓸수록

더 충만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러니 사회에 나가서 어떻게 성공해 잘 살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내가 어떻게 쓰임 받을 것인가를 생각하라.

- 오프라 윈프리 


사랑하고 베풀고 싶은 욕구가 사랑받고 싶은 욕구보다

행복과 성공에 훨씬 더 신뢰할 만한 결정 요인이 됩니다.

더 많은 성취가 아닌,

더 많이 베풀고 더 많이 도울수록 행복이 더해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무용수들은 꿈을 꾼다. 

그들은 닿을 수 없는 특별한 꿈을 

좇느라 자신들의 편안한 일상을 미뤄둔다. 

무용수들은 수년간 엄청난 시간을 쏟아붓지만, 

이는 어떤 이익이나 명성이 아닌 그들이 꿈꾸는 

세계를 실험하기 위해서다. 인내심으로 빚어진 

무용수들의 몸에서 그들이 두른 옷을 벗겨내면 

섬세한 근육의 결들과 모든 미묘한 표현들이 

그대로 드러난다. 


- 조던 매터의《당신이 잠든 사이에 도시는 춤춘다》중에서 - 



* 살아있는 사람만

꿈을 꾸고 춤을 춥니다.

몸이 살아있다고 해서 모두가 

꿈을 꾸고 춤을 추는 것은 아닙니다.

심장이 살아 있어야 합니다. 가슴이 뛰어야 합니다.

그 뜨거운 열정으로 '편안한 일상'에서 벗어나 

긴 시간과 인내의 터널을 통과해야 합니다.

섬세한 근육의 결들이 살아날 때까지.

꿈을 꾸고 춤을 추십시오.

무용수처럼.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의 비정함과 사랑  (0) 2017.09.11
당신은 나의 꽃, 나의 향기  (0) 2017.09.08
누구도 대신 할 수 없다  (0) 2017.09.06
피난 열차  (0) 2017.09.06
수화명월류(水和明月流)  (0) 2017.09.04
반응형

Mobile first to AI first


https://medium.com/appchance/from-mobile-first-to-ai-first-google-i-o-2017-conference-c93247d8c234


From Mobile first to AI first — Google I/O 2017 conference.

Announcements presented at Google I/O developer conference 2017 enhanced the real meaning of Google’s mission:

to organize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e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

Google make transition from mobile first to AI first, which means that main users problems will be solv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oreover, all actions taken by company democratize the knowledge and make solutions easily accessible for each developer. So companies can widely use tools which were presented. That is the reason of upcoming changes for business and for all of us.

We have made summary of Google I/O first day, so you can check some of the news:

  • Google Lens — this is smart technology that can recognize what user is looking at. It can extend the user’s knowledge about the object or help visually impaired person to get the idea of objects around. “Google Lens is a set of vision based on computing capabilities, that can understand what you’re looking at,” explained CEO Sundar Pichai. Thanks to integration of Tango which recognizes environment and Google Maps it is possible to scan locations through smartphone and get the information about the place. User can make a better choice by getting necessary set of information like e.g. restaurant reviews, menu, additional services etc. (it is called Google Visual Positioning).
  • Google Photos — is able to identify the best photos and select them to make a photo book. It also has ability to recognize who is on the photo and suggest to share the files with indicated persons. This idea of instant communication is even enhanced by shared libraries where users can share their files instantly while uploading.
  • Google.ai — this represents community for sharing AI solutions and making improvements on specific technologies. Its aim is to spread the usage of AI solutions in business reality.
  • Tensor Processing Units — this is a second generation of TPU chips which makes machine learning faster and more efficient. It provides up to 180 teraflops of performance (Floating Point Operation Per Second) which means that speed and accuracy improve dramatically in comparison to current processing units (e.g. NVIDIA Volta GPU dedicated for AI processing has 100 teraflops). Google wrote “To put this into perspective, our new large-scale translation model takes a full day to train on 32 of the world’s best commercially available GPU’s (Graphics Processing Unit) — while one 1/8th of a TPU pod can do the job in an afternoon.”
  • Google Assistant — available on Google Home and Pixel Phone can help you in various queries. It has similar functionalities to Siri (available on iOS devices) but is more powerful due to some extensions. It lets you ask more complicated queries and has third-party integrations. Google Assistant also lets you control connected devices and makes it possible to command via sound or typing. Moreover it is available also on iOS system and soon will implement variety of languages.
  • Android O Beta — this version of Android enables users to ease usage by new utilities. Users can make autofill to make authentication process faster. System has picture-in-picture support for watching videos while doing other tasks, notifications updates, protection of battery usage, possibility of spotting security issues and others. Also Android O boot time accelerates twice so apps perform better.
  • Google for Jobs — uses AI to match applicants with jobs offers. With more searches it learns preferences and gives more suitable results. Users get also some additional information as for example commuting time, so they can consider all additional circumstances.
  • Daydream VR headset- gives possibility to play without connection to a games console, a computer, or even a smartphone. It allows users to walk around in virtual worlds without fear of real-world obstacles thanks to sensors and cameras. Google will deliver Qualcomm-based reference design to hardware makers, so it won’t deliver its own device.
  • 360 YT videos: 360-degree video is coming to YouTube’s TV app where with the remote user can play around the video.
  • Kotlin — Google announced Kotlin as the first class language for making Android apps. Kotlin is a modern programming language (similar to Apple’s Swift) which is easy to learn and makes Android development more pleasant. It leverages existing libraries, JVM, Android and the browser with 100% compatibility. Its idea is to “make Kotlin a uniform tool for end-to-end development of various applications bridging multiple platforms with the same language” (Blog Jetbrains).

Video shortcut of conference from the Verge:

Everything becomes smarter, more automated and customized. It seems that users will get the answers instantly with much less effort.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becomes the main direction of development. So now the question is — how business will use the opportunities. Certainly soon we will see the split of companies to those that designat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those that drop behind.

Some information about Google statistics from Sundar Pichai — Chief Executive Officer at Google:

  • Over 1 billion hours of video watched each day on YouTube
  • Over 1 billion kilometers checked on Google Maps every day
  • Over 800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on Google Drive
  • More than 500 million active users on Google Photos
  • 1.2 billion photos uploaded to Google every day
  • 2 billion active users of Android globally


반응형
반응형

청와대 가이드 문재인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사축이란 회사와 가축을 합쳐 만든 신조어로, 2000년대 초반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자신의 자유의지와 인생을 회사에 좌지우지당해, 
회사의 가축이나 다름없는 처지가 된 불쌍한 직장인들을 칭한다.



회사에서 공지가 나오면 이상한 내용이 있어도 내가 착각이라고 생각하는 그대는 "사축"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