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 "진심을 담아 말하고, 간단명료하게 전달하고, 무대를 떠나라.“
  • Be sincere; be brief; be seated.

 

또 윈스터 처칠 역시 이런 명언을 했습니다.

  • 대체로 짧은 단어가 가장 좋다.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오래된 단어가 가장 좋다.”
  • "Broadly speaking, short words are best and the old words when short, are best of all."

 

간결하고 명료한 표현이 효과적이며, 서로 서로 시간이 없을 때는 누구나 다 아는 오랜 표현을 사용해 많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라는 메시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어릴 적에는
개를 방 안에서 기른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하는 일이었다. 그러다
내가 중년이 되자 강아지 치료비로 적지 않은
돈을 쓰면서 남들이 알까 봐 쉬쉬하기도 했었다.
헐벗은 이웃에게는 인색하면서 동물인 강아지에게
돈을 쓴다는 게 죄스러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개나 고양이가 우리와 형태가 다를 뿐이지 가족의
일원이라는 것을 의심치 않게 되었다. 그들이
아프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든
으레 병원에 데리고 가 치료를
해주고 있다.


- 장성숙의 《나는 현명하게 나이 들고 싶다》 중에서 -


* 사람 치료에 드는 비용보다
반려견 치료비가 더 많다는 말이 우스갯소리가
아닙니다. 패션도 대단합니다. 개가 화려한 옷을 입고,
신발을 신고, 미용실을 드나듭니다. 펫 호텔, 펫 유치원,
펫 카페에 전용 콜택시도 있습니다. 예전엔 상상도
못할 일이었습니다. 그러면서도 한 편에선 여전히
혐오와 학대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좋든 싫든
엄연한 한 가족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  (0) 2023.12.17
샹젤리제 왕국  (0) 2023.12.15
스토리텔링 동화 쓰기  (0) 2023.12.13
입을 다물라  (0) 2023.12.12
산골의 칼바람  (0) 2023.12.11
반응형

공허하게 지내던 어느 날
'나를 스토리텔링 하는 동화 쓰기'
워크숍을 만났습니다. 워크숍에 참여해
글을 쓰면서 제 안에서 '네 꿈은 뭐니?'에 대한
물음이 생겼습니다. 나는 어떻게 살고 싶지?
맏이로 태어나 동생을 하늘나라에 보내고
농인과 결혼해 코다 가정을 꾸리고 사는
내가 궁금해졌습니다. 이렇게 나에
대한 고민과 함께 〈지수〉는
시작됐습니다.


- 구본순의 《지수》 중에서 -


* 소설의 장르 중에
'사소설'이라는 게 있습니다.
한때 일본 근대소설 작법으로 유행했습니다.
자신을 객관화하여 스토리를 풀어나가는 것입니다.
가장 리얼하고 세밀하고 농밀한 작법이기도 합니다.
자신을 주인공 삼아 전지적 시점에서 한 편의
동화를 써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샹젤리제 왕국  (0) 2023.12.15
강아지 치료비  (1) 2023.12.14
입을 다물라  (0) 2023.12.12
산골의 칼바람  (0) 2023.12.11
어머니  (0) 2023.12.09
반응형

사람들은
모든 것을 다 말하는 게 아니고
일부분만 언급한다. 당연히 듣는 쪽에서도
모든 것을 다 아는 게 아니고 극히 일부만 알
뿐이다. 그런데도 전부를 아는 양 판단하고
가르치려 드니 갈등을 피하기 어렵다.
그래서 가능한 한 입을 다무는 게
좋다는 말이 생겨났는지도
모른다.


- 장성숙의 《나는 현명하게 나이 들고 싶다》 중에서 -


* 아무리 많은 것을 안다 해도
전부는 아닙니다. 아주 작은 부분일 뿐입니다.
아무리 많은 것을 가졌다 해도 전부는 아닙니다.
한 조각 한 줌의 파편일 뿐입니다. 많이 안다고
떠들 것 없습니다. 많이 가졌다고 우쭐할 것도
없습니다. 빈축과 갈등만 유발할 뿐입니다.
진짜 고수는 말을 아낍니다.
침묵하며 경청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치료비  (1) 2023.12.14
스토리텔링 동화 쓰기  (0) 2023.12.13
산골의 칼바람  (0) 2023.12.11
어머니  (0) 2023.12.09
애쓰지 않기 위해 애쓴다  (0) 2023.12.08
반응형

이 산골은
영하 20도의 한천이다.
칼바람에 맞서 하늘을 몰아쉬어 하얀 입김으로
가슴을 턴다. 여위어가는 움막 캠프 난로에 장작을 지피고,
살아 있음을 고맙게 여기며, 뜨거운 방 아랫목에 누워
눈 속에 뒹구는 호사를 상상한다. 이해가 끝나는
혹한의 모색 속에 홀연히 나와 마주한 석양...
겨울은 이제 그냥 쓸쓸한 퇴적으로
사라지지 않는다.


- 박상설의 《박상설의 자연 수업》 중에서 -


* 산골의 칼바람.
훅! 코끝에서 가슴으로 파고들어 숨이 막힙니다.
영하 20도, 혹한의 추위가 안겨주는 정적의 순간입니다.
숨마저 멈춘 영겁의 고요한 순간, 쌓인 눈밭을 뒹굴면
오히려 몸의 따뜻한 기운이 살아납니다. 추우면서
따스하고, 가슴은 따스한데 코끝은 칼바람에
얼어붙는 그 쓸쓸한 이중성, 차가운 겨울이
안겨주는 특별한 선물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텔링 동화 쓰기  (0) 2023.12.13
입을 다물라  (0) 2023.12.12
어머니  (0) 2023.12.09
애쓰지 않기 위해 애쓴다  (0) 2023.12.08
괴테는 왜 이탈리아에 갔을까?  (0) 2023.12.07
반응형

어머니

 

눈물이 나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을 다물라  (0) 2023.12.12
산골의 칼바람  (0) 2023.12.11
애쓰지 않기 위해 애쓴다  (0) 2023.12.08
괴테는 왜 이탈리아에 갔을까?  (0) 2023.12.07
'하나님 저 좀 구해주세요!'  (0) 2023.1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