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데이터 분석가 나도 시작할 수 있을까? (역량, 공부)

 

데이터 분석가가 하는 일은 정확히 무엇일까? 크게 3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황을 파악하는 일

2. 현황의 원인을 밝혀내는 일

3. 개선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

예를 들어 이번에 고객 유입 개선을 위한 이벤트를 연다고 해보자. 이 고객 유입과 개선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선 평가 지표를 기획하고 대시보드를 만들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분석가는 참여 고객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이벤트 화면을 최소 1번 본 사람? 게시물을 공유한 사람? 등을 결정한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논리적으로 설명 가능하도록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갑자기 CX문의가 늘었는데 이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Action을 취한다고 한다.

한 달간 갑자기 CX 문의가 너무 늘어서, 콜센터가 마비가 될 지경입니다.

보험사기를 치는 것 같은 고객을 어떻게 자동으로 적발할 수 있을까?

인스타그램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해서 최근 시장 동향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는 없을까?

개선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은 위와 같이 더 나아질 수 있는 점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다.

다 종합해보면!! 데이터 분석가는 구체적으로 이런 일을 한다.

  • 문제 확인 & 가설 제작
  • 쿼리 제작 (SQL)
  • 모델링 (머신러닝, 통계 모델링, 비즈니스 모델링 등)
  • 인사이트 정리/시각화 (ppt, notion colab 등)
  • 협업/미팅

3.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역량은?

1) 논리적 사고

논리적인 사고는 문제가 주어지면 목표를 설정하고 해결방안과 그 이유를 생각해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결론 또는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논리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는 항상 “왜”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분석가가 도출한 결론에는 꼭 근거가 있어야 한다.

면접을 볼 때도 논리적인 사고는 큰 도움이 된다.

ex) 왜 ~~ 이러한 모델/스코어/기법 등등을 썼나요?

ex) 왜 우리 회사에 지원했나요

2) 꼼꼼함

데이터 분석가에게는 쿼리를 더 효율적으로 짜는 꼼꼼함과 복잡한 현실세계의 데이터를 잘 정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3) 액션 위주의 사고

액션 위주의 사고라는 게 처음엔 잘 이해가 안 됐는데 이해하고 나니까 내가 평소에 하던 것은 액션 위주의 사고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어 ‘이번 주 가동률은 70%다’라고 인식하는 게 아니라 ‘전해 동기 대비 이번 주 가동률은 3% 낮은 70%’라고 보는 것이 액션을 낼 수 있는 분석이라는 거다.

4) 모델링

해당 모델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지 리소스/상황에 따라 필요에 맞게 생각하는 능력 이번 선배팅에서 계속 강조하셨던 부분은 크게 2가지이다.

1. 논리적, 구조적 사고하기

2. 자신의 주력 도메인을 갈고닦기!

프로그래밍 언어도 여러 개를 하는 것보다 어느 하나를 깊게 파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처럼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다면 자신이 자신 있는, 잘하는 분야를 더 파는 게 중요하다고 한다.

데이터 분석가에도 다양한 유형이 있기 때문에 위의 데이터 분석가의 역량 중 하나만이라도 자신의 강점인 부분을 잘 살려서 준비하면 된다.

 

https://modulabs.co.kr/blog/data-analyst/

 

요즘 잘나가는 데이터 분석가 나도 시작할 수 있을까? (역량, 공부)

4차 산업혁명 시대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미래 유망 직업 빅데이터 분석가 빅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들을 필수 솔루션을 통해 알아보자.

modulabs.co.kr

 

반응형
반응형

기업의 경영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진리가 있다면
그것은 혼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저마다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 J. 어윈 밀러,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경영’에서


몰입(flow)으로 유명한 긍정심리학의 대가인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는
‘직원들이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수익 증대의 수단이자 이들의 재능을 착취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직원 개인이 발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행복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상사가 직원들에게 최선을 다하라고 독려하는 것은
조직을 위해 개인을 희생하라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무리 긴 회의도
한 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놀랍게도 한 시간 안에. 물론
한 시간을 넘기지 않기 위해 우리 모두는
회의 시간 내내 치열했다. 열심히 남의 아이디어를
듣고, 열심히 생각하고, 열심히 의견을 내다보면
한 시간이 우리의 체력이 견딜 수 있는
최대치의 회의 시간이었다.


- 김민철의《내 일로 건너가는 법》중에서 -


* 회의는 짧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문을 걸어 잠그고 며칠 밤 토론도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주어진 시간을 잘 지키는 것입니다.
연설 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정해진 시간은
30분인데 1시간을 하거나 10분 만에 끝내면
준비가 안 된 것입니다. 철저히 준비해서
주어진 기간 안에 마치는 것이
최선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마음, 한느낌  (0) 2023.01.24
편안한 쉼이 필요한 이유  (0) 2023.01.20
뿌리 깊은 사랑  (0) 2023.01.18
'억울하다'라는 말  (0) 2023.01.17
조금만 더  (0) 2023.01.16
반응형

사람이 곧 회사다. 언제나 사람이 먼저다. 사람이다.
사람을 성장시키면, 사람이 사업을 성장시킨다.
단순하다. 이것이 제 1 법칙이다.
직원들이 더 나은 인간이 된다면, 그들은 회사에도 더 나은 파트너가 될 것이다.
- 워드 베하, 스타벅스 전 사장


회사의 목적은 이익 추구가 아닙니다.
그것은 그저 숫자적인 목표일 뿐, 회사의 진정한 목표는
‘전 직원이 인생의 승리자’가 되는 것입니다. 우선적으로 직원이 만족하고,
그들이 삶에 자신감을 갖고 승리하지 않으면 결코 회사도 승리할 수 없습니다.
“사람은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 아닙니다. 사람이 곧 회사입니다.
그 밖의 모든 것은 자산이고요.” RLG 인터내셔널, 창업자
에이드리언 래비의 주장 함께 보내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진정한 사랑은
뿌리 깊은 나무에 비유할 수 있다.
세상에 나와 모든 면에서 딱 맞는 사람은 없다.
순수한 소녀와 그린우드 소년이 결혼에 골인하더라도
티격태격 싸우는 일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진짜
서로를 사랑한다면 가지가 흔들리고 더러 잎이
떨어질 수는 있어도 나무의 뿌리는 뽑히지 않는다.
뿌리가 깊으면 떨어졌던 가지와 잎은
얼마든지 다시 자라날 수 있다.


- 윤민의《아주 오래된 노래》중에서 -


* 영혼의 동반자는 압니다.
서로에게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가지가 흔들리고 잎과 꽃이 떨어지는 광풍이
불더라도 그것은 서로를 더 결속시킬 뿐이라는 것을.
영혼의 동반자는 먼 옛날 자신들이 하나였던 것을
기억해 냅니다. 그것을 '아남 카라',  '트윈 소울',
'소울메이트'라 명명하기도 합니다. 시공간을
넘어 연결되어 있는 그들을 그 무엇도
멀어지게 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안한 쉼이 필요한 이유  (0) 2023.01.20
회의 시간은 1시간 안에  (0) 2023.01.19
'억울하다'라는 말  (0) 2023.01.17
조금만 더  (0) 2023.01.16
나를 넘어서는 도전 정신  (0) 2023.01.15
반응형

[MSSQL] STRING_AGG(Transact-SQL) 문자열 식의 값을 연결하고 그 사이에 구분 기호 값을 추가합니다. 구분 기호는 문자열 끝에 추가되지 않습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sql/t-sql/functions/string-agg-transact-sql?view=sql-server-ver16 

 

STRING_AGG(Transact-SQL) - SQL Server

STRING_AGG(Transact-SQL)

learn.microsoft.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