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쁜 것들과
더불어 함께 살 수는 없다.
해악을 끼치는 치명적인 것은
삶에서 의도적으로 제거해야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정리하지 않고 질질
끌려다니는 우유부단한 삶은
자존감을 떨어뜨린다.


- 정재원의《영혼을 채우는 마음 한 그릇》중에서 -


* '나쁜 것들'이 참 많습니다.
안 보고 안 부딪치며 사는 것이 상책인데
그럴 수도 없습니다. 질질 끌려다니지 않도록
역지사지의 지혜와 결단이 때론 필요합니다.
우유부단하면 자신의 삶도 나쁜 것들에
뒤섞여 함몰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의 눈  (0) 2023.01.02
세월은 가고 사랑도 간다  (0) 2022.12.30
갱년기 찬가  (0) 2022.12.28
분노와 원망  (0) 2022.12.27
명인이 명인을 만든다  (0) 2022.12.26
반응형

우리가 맞이할 2023년의 모습. 다시 정리해볼까요?

 

  • 4% 내외의 높은 기준금리의 시대가 유지될 거에요. 
  • 마이너스 성장을 뜻하는 경기침체가 찾아올 가능성이 높아요.
  • 高금리, 高인플레이션, 逆성장의 3중고가 예상됩니다. 
  • 중국이 코비드19 빗장을 풀면서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 같아요.  
반응형
반응형

언령(言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말 속에 혼이 깃든다는 뜻이지요.
다시 말해, 혼처럼 강력한 에너지가 깃들어 있기에
한번 내 뱉은 말은, 그 말대로 결정되도록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답니다.
그래서 한번 내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없고 무한 책임이 따르지요.
- 이정일, ‘오래된 비밀’에서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남에 대한 칭찬은 행운의 씨앗을 뿌리는 일이고,
남에 대한 험담은 불운의 씨앗을 뿌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질병은 입을 좇아 들어가고, 화근은 입을 좇아 나온다.’ (태평어람)
‘남을 이롭게 하는 말은 천금이고,
남을 다치게 하는 말은 칼처럼 아프다.’ 명심보감의 가르침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갱년기 증상은
신체적인 증상과 정신적인 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 백발과 노안, 탈모나 얇은
머리카락 등의 노화 증상과 동시에 오는데,
신체 증상으로 특히 많은 것이 안면홍조다.
짜증과 신경 과민, 우울증 등 정신적으로
힘들어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갱년기는
지금까지의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몸 상태와 인간관계를
확인하는 재고의 시기이다.  


- 다카오 미호의《갱년기 교과서》중에서 -


* 인생은 자연처럼
크게 두 시기로 나뉩니다.
꽃을 피우는 시기와 열매를 맺는 시기입니다.
아름답고 싱싱했던 꽃잎을 떨구고 열매와 뿌리로
응축하는 시기가 갱년기입니다. 그 진동과 충격이
없을 수 없지요. 하지만 그 진동과 충격을 내면으로
수용하고, 백발과 노안과 주름을 사랑으로 바라보며,
세월의 흔적으로 기품이 있어지는 시기입니다.
마음껏 찬가를 불러도 좋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은 가고 사랑도 간다  (0) 2022.12.30
나쁜 것들과 함께 살 수는 없다  (0) 2022.12.30
분노와 원망  (0) 2022.12.27
명인이 명인을 만든다  (0) 2022.12.26
실수의 순기능  (0) 2022.12.24
반응형

[단독] 카카오, 내년 3월부터 전면 출근...격주 놀금제도 6개월만에 폐지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66028

 

[단독] 카카오, 내년 3월부터 전면 출근...격주 놀금제도 6개월만에 폐지

카카오 100% 재택근무 해제하고 3월부터 사무실 출근 공식화 업무 상황따라 재택 일부 가능 카카오가 전면 재택근무를 해제하기로 했다. 내년 3월 1일부터 회사가 지정하는 오피스(사업장) 내 근

n.news.naver.com

카카오 100% 재택근무 해제하고
3월부터 사무실 출근 공식화
업무 상황따라 재택 일부 가능



카카오 사옥 내부 모습카카오가 전면 재택근무를 해제하기로 했다.

내년 3월 1일부터 회사가 지정하는 오피스(사업장) 내 근무를 원칙으로 하는 ‘오피스 퍼스트(Office First)’ 기반의 근무제를 시작하기로 했다. 또 지난 6개월간 시행해온 ‘격주 놀금제도’도 폐지하는 등 대대적인 근로제 개편을 예고했다.

27일 정보통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이날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근무제 기준을 전사 직원들에게 공지했다.

카카오는 임직원에게 “안정성과 편의성 있는 근무 환경의 조성을 위해 2023년 3월 1일부터 전 크루에게 (회사 내) 고정 좌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카카오는 업무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재택근무도 가능하도록 길을 열여뒀다. 카카오는 임직원에게 “조직·개인별 성과 창출과 업무 수행을 하는 데 있어 원격 근무가 오피스 근무보다 더 효과적이거나 불가피한 상황 등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러한 경우 최소 단위 조직장은 조직에 최적화된 그라운드룰(Ground Rule)을 설정해 원격 근무를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내년 3월 1일이라는 오피스 근무 원칙의 시행 시점도 조정될 수 있다는 게 카카오의 계획이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시점이 3월 1일 이후로 지연될 경우 전면 오피스 근무 원칙도 연기될 수 있다는 얘기다. 반대로 그 이전에라도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가 선포되면 오피스 근무 원칙은 내년 3월 1일로 유지된다.

이에앞서 카카오는 지난 7월부터 현재까지 약 6개월 동안 임직원마다 자신이 선택한 장소에서 자유롭게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 근무제를 시행해 왔다. 그동안은 무조건 출근해야하는 최소 집합근무 횟수 기준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카카오 내에선 재택을 중심으로 근무하는 임직원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카카오 임직원 사이에서 유독 호응이 많았던 ‘격주 놀금제(2주마다 주 4일 근무)’는 반년만에 사라지게 됐다. 지난 10월 중순 발생했던 카카오의 대규모 서비스 장애 사태와 관련해 놀금에도 일할 수 밖에 없는 직원들이 생기면서 그렇지 않은 직원들 간의 형평성 논란이 촉발됐던 게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놀금은 카카오 근로 규정 상 일해야 하는 날이지만, 임직원 복지 차원으로 회사가 쉴 수 있게끔 편의를 봐준 것이다보니 놀금에 일했다고 별도의 수당이 발생하는 구조가 아니다. 이 때문에 놀금에 일하는 사람이나 쉬는 사람이나 수당이 동일해 먹통 사태 당시 서비스 복구 작업에 매달렸던 서버 엔지니어 등을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내부 분란까지 발생하면서 카카오는 한시적으로나마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추가 근무한 직원들을 포상하는 등 임직원 달래기에 나서기도 했다.

아울러 카카오는 격주 놀금제를 없애는 대신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을 휴무일로 설정하는 ‘리커버리데이(Recovery Day)’ 제도를 운영하기로 했다. 적용 시점은 내년 1월 1일부터다.

반응형
반응형

대부분 스트레스는 인간관계에서 온다.

나를 바꾸려면 내가 만나는 사람을 바꿔야 한다.

살면서 반드시 만나야 할 사람과

피해야 할 인간관계 유형의 사람들을 잘 파악해

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일이 적도록 해야 한다.

◇ 살면서 반드시 만나야 할 열 사람

1. “늘 조건 없이 ‘카톡’을 보내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항상 당신을 생각하고 있어요.

2. “내일을 이야기 하는 사람과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반드시 성공합니다.

3. “내 이야기를 잘 들어 주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나를 치유해 주는 사람이지요.

4. “확신에 찬 말을 하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기준 잡힌 인생을 사는 사람입니다.

5. “살아 있음에 감사하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작은 행복이 자주 일어나는 사람입니다.

6. “아무리 작은일도 소중히 여기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작은 행복이 자주 일어나는 사람입니다.

7. “생각만 해도 대단하다고 느끼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시대를 이끌어 갈 사람입니다.

8. “독서와 사색을 즐기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에게는 항상 배울것이 많은 사람입니다.

9. “언제나 밝게 웃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멀리있는 복도 찾아오게 하는 사람입니다.

10. “부지런히 일하는 사람”과 만나세요.

그 사람은 삶이 항상 풍요로운 사람입니다.

◇ 살면서 피해야 할 열 사람

1. 귀 막힌 사람

귀를 닫고 듣지 않는 사람은 상대가 무슨 이야기를 해도 이미 자기 안에 답을 갖고 있다.

타협하거나 재고의 여지를 두지 않는다.

따라서 내 이야기를 업신여기거나 깔보는 경우도 생긴다.

내가 귀하게 대접받으려면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2. 필요할 때만 구하는 사람

필요할 때만 사람을 구하려는 이들은 모든 인간관계를 거래로 보는 경향이 있다.

사람 자체를 자원으로 보기 때문에 언제나 자신이 필요할 때만 나타난다.

정작 내가 만나야 할 때 그 사람은 시선을 회피하거나 그 자리에 없는 경우가 많다.

필요할 때만 찾아오면 정작 그것을 얻을 수 없다.

3. 단점만 지적하느라 장점을 볼 시간이 없는 사람

자신만 아는 사람들은 자기 합리화를 추구할 때가 많다.

매사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 때문에’라는 말을 많이 한다.

반면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은 ‘~덕분에’라는 말을 주로 쓴다.

부정적으로 보는 이들은 현재 결과를 만든 모든 것을 남 탓, 환경 탓으로 돌린다.

따라서 인간관계에서도 장점보다는 단점을 주로 본다. 나를 칭찬해주는 사람을 만나는 게 좋다.

4. 변칙적으로 공동체 질서를 파괴하는 사람

원칙은 흔들리지 않는 중심이다.

따라서 원칙이 흔들리면 사람 사이에 불신이 생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변칙적으로 공동체 질서를 흔들고 원리를 지키지 않는다.

이들은 변명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깨려고 하는 위험한 존재들이다.

5. 과거에 집착하는 사람

과거로 돌아가려고 하거나 집착하는 사람은 꼰대일 가능성이 아주 크다.

반면 리더는 미래를 생각하고 향하려 한다.

과거를 중시하는 이들은 발전 가능성보다 성공했던 사실에 안주하며 도전하지 않는다.

6. 책(冊) 읽지 않고 책(責) 잡히는 사람

많은 사람이 바빠서 책을 읽지 않는다고 하지만 독서하지 않으면 생각의 깊이와 정보의 규합력이 떨어진다.

‘공부를 멈춘 사람’이 위험한 이유는 나와 다른 사람의 생각에 접속해본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삶을 통해서 배운다고 하지만 그가 가진 오만함으로 인해 과연 제대로 된 공부가 될지 의문이다.

또한 공부하지 않으면 남에게 쉽게 공격당한다.

7. 감탄을 잃은 사람

우리는 일상을 반복해 살아가다 보니 감탄보다 한탄하는 일이 많다.

익숙함에 덫에 걸려 다르게 생각하기를 포기한 사람들에게 배울 것이 적다.

타성에 젖으면 탄성을 잃어버리고 감탄할 일도 없다.

사람이 성숙하기 위해서는 익숙한 ‘여기’를 떠나 낯선 ‘저기’로 가야한다.

그리고 안락한 세계에 대해 물음표를 던질 수 있어야 한다.

8. 대접받고 은혜를 저버리는 사람

대접은 아무런 조건 없이 상대방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공손한 행동을 기초로 한 것이다.

대접받은 사람은 자신이 받은 대접에 담긴 상대방의 사랑과 존경, 정성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은혜를 잊어버리면 다른 사람에게도 나중에 버림받기 쉽다.

또한 은인이 나타나지 않으며 있던 사람조차 사라질 것이다.

불순한 의도를 품고 ‘대접’이 아닌 ‘접대’를 하는 사람도 경계해야 한다.

9. 나뿐인 사람

오늘의 나는 어제의 나와 다르고 오늘의 나는 내일의 나와 달리 변하게 된다.

하지만 ‘나뿐인 사람’은 그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한 가지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유일한 가치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건 폭력이며 횡포다. 이들은 변화를 부정하려 한다.

10. 365일 과시형

스스로 자신감을 갖는 건 좋지만 그 정도가 심하면 자가당착에 빠지기 쉽다.

과시가 길어지면 도리어 가벼워 보이고 꼰대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과시하는 이는 스스로 돌아보지 않는 편이며 과시는 무시를 불러오고 멸시를 낳는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