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예측한 일이지만,
무르익은 갈바람이 불어오자
흠뻑 눈물 머금은 잎들은 밤내 울어버린 것이다.
눈으로만 운 게 아니라 가슴으로 팔다리로 발바닥까지
온몸으로 울긋불긋한 빛깔을 흘린 것이다. 맹물로만
운 게 아니라 소금의 짠맛도 산새의 구슬픈 노래도
아래로 아래로 지는 바람도 함께 버무려 기나긴
골짜기를 타고 우수수 몸부림치며 흐른 것이다.
사람들은 그것이 아름답다고 벌떼같이 산으로
모여드는 것이다. 단풍들은 그것이 미안하고
미안하고 또 미안했던 것이다. 그래서
잎들은 해마다 가을이면 한꺼번에
울어버리는 것이다.


- 방우달의《고쳐 쓴 어느새》중에서 -


* 때가 되면 일 년에 한 번
한반도는 만산홍엽입니다. 녹음은 녹음대로
꽃은 꽃대로 단풍은 단풍대로 멋집니다. 단풍은
자연미의 극치입니다. 아름다움의 극치가 예술이라면
만산홍엽은 자연 예술의 최고 걸작입니다. 예술은
아픔이고 슬픔이지만 타인의 그것들을 어루만져
줍니다. 즐거운 단풍놀이 가서 단풍처럼
실컷 울고 옵니다. 마음이
예쁘게 물들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호두나무  (0) 2021.11.16
사람으로 살기 위해!  (0) 2021.11.15
'나 하나 키우기도 벅차다'  (0) 2021.11.12
텔레파시가 통한다  (0) 2021.11.11
바티칸의 파벌과 음모  (0) 2021.11.10
반응형

해당 년도 주차별 달력 날짜 정보, ISO 8601

 

https://ko.wikipedia.org/wiki/ISO_8601

 

ISO 8601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SO 8601 Data elements and interchange formats - Information interchange - Representation of dates and times은 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을 다루는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의해 공포되

ko.wikipedia.org

 

weeknum  정보 

 

ISO 8601 Data elements and interchange formats - Information interchange - Representation of dates and times은 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 교환을 다루는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의해 공포되었으며 1988년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이 표준의 목적은 날짜와 시간을 표현함에 있어 명백하고 잘 정의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날짜와 시간의 숫자 표현에 대한 오해를 줄이고자함에 있는데, 숫자로 된 날짜와 시간 작성에 있어 다른 관례를 가진 나라들간의 데이터가 오갈때 특히 그렇다.

일반적으로, ISO 8601은 그레고리력 (proleptic Gregorian도 가능)에서의 날짜와 (부가적으로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24시간제에 기반하는 시간, 시간 간격(time interval) 그리고 그들의 조합에 대한 표현과 형식에 적용된다. 이 표준은 표현할 날짜/시간 요소에 어떠한 특정 의미도 할당하지 않는다; 그 의미는 사용 맥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추가로, 표현될 날짜와 시간은 표준 내에서의 지정된 의미의 숫자(예를 들자면, 중국 달력의 년도 이름)가 아니고서는 단어를 포함할 수 없으며 단어들은 문자(예: 이미지, 소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교환을 위한 표현에서, 날짜와 시간은 재배치되어서, 가장 큰 시간 용어(년도)가 왼쪽에 놓이며 각각의 더 작은 용어들은 이전 용어의 우측에 놓이게 된다. 표현은 아라비아 숫자와 표준 내에서 특정 의미를 제공하는 ("-", ":", "T", "W" 그리고 "Z"와 같은) 어떤 문자들로 작성되어야 한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January" 혹은 "Thursday"처럼 날짜의 일부를 작성하는 어떤 평범한 방법이 교환 표현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Week date 표현은 위 박스에서 볼 수 있는 형식 중 하나다. YYYY는 전통적인 그레고리력의 연도와는 살짝 다른 ISO 주수 연도를 가리킨다. Www는 문자 W를 접두사로 하는 주수로, W01부터 W53까지며 월요일이 시작, 일요일이 끝이다.

* 주의 서로 대등하고 공존 가능한 명세가 존재:

- 01 주 내 연도의 첫번째 목요일이 존재 (공식 ISO 정의),
- 01 주 내 1월 4일이 존재,
- 시작 연도 내 01 주의 일 대부분(4일 이상)을 가진 첫번째 주, 그리고
- 12월 29일부터 1월 4일까지의 기간 내에 있는 월요일로 시작하는 주.


그런 결과로, 1월 1일이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혹은 목요일에 있다면, 1월 1일은 01 주 내에 포함된다. 1월 1일이 금요일, 토요일 혹은 일요일이라면, 전년도의 52 주 혹은 53 주에 포함된다 (00주는 없다). 12월 28일은 항상 해당 연도의 마지막 주에 포함된다.

주수(week number)는 목요일을 카운트하여 기술 가능하다: 즉, 12 주는 연도의 12번째 목요일이다.

ISO 주수 매기기 연도는 01 주의 첫번째 날(월요일)에서 시작하며 새로운 ISO 연도 전의 일요일에 끝이 난다(그러므로 겹치거나 격차가 나지 않는다). 연도는 꽉찬 52 혹은 53 주로 구성된다. ISO 주수 매기기 연도의 번호는 (ISO 주수 매기기 이전 연도의 끝인) 전통적인 그레고리력 연도 시작점의 금, 토, 일 혹은 토, 일 혹은 그냥 일요일과 (ISO 주수 매기기 다음 연도의 01 주인) 전통적인 그레고리력 연도의 끝점의 월, 화, 수 혹은 월, 화 혹은 그냥 월요일의 전통 그레고리력 연도의 번호로부터 벗어난다. 목요일에 대해, ISO 주수 매기기 연도 번호는 항상 전통적인 그레고리력 연도 번호와 같다.

예: 2008년 12월 29일 월요일은 "2009-W01-1"로 쓰여진다
    2010년 1월 3일 일요일은 "2009-W53-7"로 쓰여진다

 

반응형
반응형

 

http://webzine.koita.or.kr/202005-technology/%EB%AC%B4%EC%97%87%EC%9D%B4-%EB%AF%B8%EB%9E%98%EC%82%AC%ED%9A%8C%EB%A5%BC-%EB%B3%80%ED%99%94-%EC%8B%9C%ED%82%A4%EB%8A%94%EA%B0%80

 

무엇이 미래사회를 변화시키는가 - 기술과혁신 웹진

무엇이 미래사회를 변화시키는가? 지난 2월, 2020년 제1회 기술경영부서장 교육이 진행되었다. 이날 강연은 '2020 글로벌 기술트렌드와 핫이슈'를 주제로 사회트렌드, 지식재산,...

webzine.koita.or.kr

무엇이
미래사회를 변화시키는가?

지난 2월, 2020년 제1회 기술경영부서장 교육이 진행되었다. 이날 강연은 '2020 글로벌 기술트렌드와 핫이슈'를 주제로 사회트렌드, 지식재산, 인문학, 기업브랜드 등 다양한 분야별로 진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국내 1호 미래캐스터 황준원 미래채널 MyF 대표의 사회트렌드 강연에 대해 소개한다. 

현대의 철학적 화두는 크게 바뀌었다.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대신 ‘무엇이 나를 나로 만드는가’에 대한 구조적, 환경적 요소들을 묻는 편이 어떤 사람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게 된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미래사회에 대해 같은 질문을 던져볼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는 어떤 모습인가’가 아니라 ‘무엇이 미래사회를 변화 시키는가’라는 질문이 미래사 회를 준비하는 데 보다 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인구변화가 가져올 수많은 변화들

미래사회를 변화시키는 가장 큰 요소 중 첫 번째는 역시 ‘인구의 변화’이다.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블록 체인 등 소위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는 기술적 요소들이 과연 얼마나 발전할지, 얼마나 실용적으로 우리 생활에 안착할지에 대해서는 예측이 어렵다. 하지만 인구의 경우 태어난 사람들의 수가 이미 통계자료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미래사회를 예측하는 것은 비교적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인구를 ‘정해진 미래’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구에 있어 가장 큰 변화는 두 가지다. 인구증가 시대에서 인구감소 시대로의 대전환. 그리고 청년 들의 세상에서 노인들의 세상으로의 대전환. 1970년 4.53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은 2019년 0.92명으로 OECD 최하위 수준까지 떨어졌다. 아직 잠정치에 불과하지만 2019년에 태어난 아이의 숫자는 약 30만 3천 명이었다. 그와 반대로 사망자의 수는 앞으로 급격히 증가한다. 60년대 매년 거의 100만 명씩 태어났던 베이비부머 세대가 고령화됨에 따라 앞으로 사망자는 급증하게 된다. 만약 출생자의 수보다 사망자의 수가 더 많다면 대한민국의 첫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된다. 그리고 그 시기는 2020년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 올해를 기점으로 한국은 인구가 증가하던 사회에서 감소하는 사회로 완전히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것이다. 정치, 경제, 일상생활, 가치관 등 이 변화를 피해갈 수있는 영역이 있을까?

반응은 엇갈린다. 누군가는 앞으로 인구감소로 경쟁이 완화되며 교육과 취업 환경이 좋아지기를 기대한다. 실제로 2020년도 대학입학 정원이 약 50만 명이었는데, 2019년에 태어난 아이의 수가 약 30만 명이니 이미 대입정원보다 20만 명이 모자란 상황이다.
또한 우리보다 약 15년 이상 인구문제를 먼저 겪은 일본의 경우 구직난이 아닌 구인난을 겪기도 했으니 그러한 기대를 거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하지만 상황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특히 기업의 경우 앞으로 인구 감소로 인한 구인난, 인건비 상승, 내수시장의 축소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통계청의 예측에 따르면 15세에서 64세 인구를 말하는 생산가능연령이 2017년 3,757만 명이었던 데에 반해 2050년에는 2,449만 명으로 약 1,308만 명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인구 전체를 넘어서는 수의 사람들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경제 전반의 구조조정을 요구하게 된다.


그림 1.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 (1960~2067년)


 

대세는 ‘점점 늙어가는’ 사회

물론 인구감소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어 그 자체만으로는 문제라고 볼 수 없다. 다만 문제는 그 인구감소가 고령자와 청년들의 균형 있는 감소가 아니라, 고령자들은 넘쳐나지만 청년들은 급격히 줄어드는 고령화형 인구감소라는 점, 그리고 그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에서 다양한 부적응의 문제를 피할 수 없다. 프랑스가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데에 걸린 시간은 154년, 일본은 35년이 걸린 데에 반해 한국은 2026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26년밖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한국은 2065년 총부양비가 120명으로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유아와 노인을 합쳐 120명을 부양해야 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예측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 수치는 2065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부양부담이 가장 심한 나라 1위 수준이다. 과연 이러한 국가에 능력 있는 젊은 층이 남아있을지조차 의문이다.

 


그림 2. OECD 국가별 총부양비 비교

자료: UN(2017),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7 Revision」 통계청(2019),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주) 2015년의 경우 한국은 2017년 추계치, 다른 국가들은 2015년 추계치



부양부담에 대한 문제는 현재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55∼63년에 태어난 1차 베이비부머의 수가 약 727만 명인데, 현재 55년생이 만 65세가 되어 법정노인이 되기 시작했다. 참고로 현재 65세 이상 노인들의 전체 인구수가 약 765만 명이니 1차 베이비부머 수와 거의 비슷하다. 부양부담, 의료부담, 복지부담 등의 해일이 몰려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보다 노인들의 재정상황이 나은 일본의 경우에도 약 200만 명의 노인들이 의식주를 혼자 해결할 수 없는 ‘노후파산 상태’라고 하는데, OECD 가입국 중에서 노인빈곤율 1위 국가인 한국의 경우 앞으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우려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노인들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앞으로 사회에서는 어디에서 어떻게 죽을 것인가와 같은 ‘죽음’ 문제가 사회적 화두로 더욱 관심을 받을 것이다. 현재 일본의 경우 요양원 병상 수와 장례시설의 부족으로 죽을 곳을 찾지 못하는 ‘임종난민’ 사태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해온 병원사가 더 이상 당연하지 않게 된 것이다. 그에 따라 일본에서는 장례를 기다리며 시신을 안치해두는 시신냉동 사업이 성장하고 있고, 호텔을 개조해 장례 절차를 간소화한 ‘시신호텔’ 사업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의 평균 장례비용이 2,000만 원인 데에 반해 시신호텔은 200만 원 정도로그 비용이 10분의 1 수준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상황은 어떨까?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사망자 잠정치는 약 29만 5천 명이며 앞으로 사망자의 수는 2035년 48만 명, 2045년 63만 명, 그리고 2067년에는 7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사망자수의 2배 이상이 늘어나는 것이 다. 그에 반해 현재 한국의 전국 요양원 병상 수는 약 30만 개, 전국 58개 시설의 연간 화장능력은 32만 5천 건 정도이다. 아직은 여유가 있지만 앞으로 일본의 상황을 따라가지 않을 것이란 보장도 없다.



그림 3. 연도별 출생자수 및 사망자수 (1985∼2067년)


 

100인 100색,
취향으로 이야기하는 시대

인구감소에 이어 미래사회를 변화시키는 또 다른 요소는 인간 대체 현상들이다. 타인이란 존재를 스트레스 요소로 여기는 현대인들이 점점 늘어 나고 있다. 주기적으로 인맥을 정리하는 ‘인맥 다이어트’, 관계에서 오는 권태로움을 뜻하는 ‘관태기’라는 신조어의 등장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그렇다면 타인이 사라진 그 자리를 무엇이 대체하고 있을까?




우리에게 언제나 소중한 존재로 여겨질 것 같았던 친구의 자리는 디지털 콘텐츠들이 대신하고 있다. 집에서 시간을 보낼 때, 혼자서 밥을 먹을 때, 현대의 젊은이들과 함께하고 있는 것은 사람이 아닌 스마트 폰, 태블릿, PC 속의 디지털 콘텐츠들이다. 넷플릭스, 유튜브, 개인방송, 게임 등이 친구와 함께하던 시간을 대신하는 것이다.

왜 사람들은 사람이 아닌 콘텐츠를 선택하고 있을까? 그 중심에는 ‘취향저격’이라는 특징이 존재한다. 언제든 접속만 하면 나의 취향을 저격하는 각종 콘텐츠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반면, 친구들의 취향은 나와 같지 않다.

특히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은 그 현상을 심화시켰다. 과거, TV가 중심 미디어였던 시절은 사람들이 동일한 TV 콘텐츠를 시청하며 비교적 동일한 취향을 형성했던 ‘대중’들의 시대였던 반면, 이제 사람들은 각자 손에 들린 디스플레이를 보며 각기 다른 취향을 형성해 간다. 빅데이터와 AI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형식은 사람들의 편향적 취향을 더욱 공고하게 만든다. 그 결과 현대 사회는 ‘100인 100취향’의 시대가 되고 있다.


그림 4.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취향을 공유하는 ‘취향 공동체’


 

과연 앞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취향을 즉각적으로 저격해주는 디지털 콘텐츠 대신 다시 사람을 선택하게 될까? 다만, 이러한 트렌드 속에 기회를 잡고 있는 오프라인 영역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취향 공동체’ 분야이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자신의 취향을 탐색한 뒤, 취향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사교를 하는 형태이며, ‘살롱 문화’ 로 불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곳은 책을 중심으로 모임을 진행하는 ‘트레바리’, 취향별 모임을 지향하는 ‘문토’ 등이 있다. 특히 트레바리의 경우 소프트뱅크 등으로부터 2019년 50억을 투자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결국 앞으로의 관계란 과거처럼 같은 동네, 같은 학교 출신 등 나와 같은 시공간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기반에서 확장되어 ‘취향’을 중심으로 넓고, 옅고, 가벼운 관계를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1인 가구, 그리고 온디맨드 서비스와
포스트 리얼리티

그렇다면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족은 어떻게 달라질까? 1996년 43만 건이었던 혼인건수는 2017년 26만 건으로 떨어졌다. 또한 2018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결혼은 꼭 해야 한다’고 대답한 미혼남성의 비율은 36.3%, 미혼여성은 22.4%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이런 세상에서 21세기 가장 전형적인 가족사진은 어떤 모습일까? 아마 인스타그램에 게시된 나와 나의 반려동물 사진, 이것이 대한민국의 가장 전형적인 가족사진 아닐까?

혼자 있지만 혼자 있기 싫은 현대인들은 결혼해서 배우자와 아이를 만드는 대신 반려동물을 입양하고 있다. 저출산으로 앞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요는 줄지만 대신 반려동물을 교육시킬 사람의 수요가 증가하고, 아동복 수요가 줄어드는 대신 반려동물 의류의 수요는 증가한다. 과거 아기에게 투입되던 시간, 비용, 애정이 반려동물에 투입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술의 발달이 사람 가족의 역할을 대신할 가능성도 있다. 홈IoT 시스템을 갖추면, 1인 가구로 혼자 생활하는 이가 집에 귀가했을 때 “조명 다 켜줘!”, “TV 켜줘!” 등 사람대신 AI 스피커, 스마트홈 시스템과 대화를 하며 생활을 하게 된다. 깜빡하고 가스 불을 켜놓고 외출했을 때, 집에 있는 가족에게 전화해 꺼달라고 부탁하는 대신, 해당 앱을 실행해 원격으로 가스 불을 잠글 수 있다.

또한 고령 1인 가구의 경우 냉장고와 같은 필수가전 사용시간을 파악해 멀리 떨어진 가족이나 지자체의 돌봄 기관에서 홀로 남은 고령자에게 문제가 없는지 파악할 수 있다. 2020 CES에서 삼성전자가 선보인 ‘볼리’라는 반려로봇이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어쩌면 이제 삼성전자가 ‘로봇 가족’ 을 만들고 있는 셈이다.


그림 5. 반려동물 의류브랜드 ‘피즈크루(Phiz Crew)’


 


그림 6. 삼성전자의 반려로봇 ‘볼리(Ballie)’


 

취향저격 콘텐츠들의 범람,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 IoT, AI, 반려로봇 등의 발달. 그밖에 다양한 요소들이 인간이 더 이상 인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분위기, 심지어 인간을 피곤해하는 분위기로 만드는 데에 일정부분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인간이 사라진 그 빈자리는 각종 상업 서비스들이 대신하는 시대이다.

과거 친구, 애인, 가족이 맡았던 역할들을 그때그때 필요할 때마다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로 구매하고 있는 환경이 펼쳐지고 있다. 필요한 생필품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 관계와 개인적 감정의 영역까지 시장에서 구매하는 시대. ‘요람에서 무덤까지’ 상업화 되는 인간 삶의 모든 요소들. 미래에 상업화되지 않는 성역이 존재할 수 있을까? 앞으로 기업의 과제는 ‘사람들 삶의 아주 사소한 영역, 사소한 감정에까지 얼마나 일상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가’일지도 모른다.

또 무엇이 미래사회를 변화시키는가? 인류세라고도 불리는 환경위기의 시대가 가져올 우리의 생활방식, 생산방식, 가치관의 변화, 가상 기술의 발달로 진짜와 가짜의 구별이 희미해지는 ‘포스트 리얼리티 (Post-reality)’의 시대, 개인주의 확산, 1인 가구 증가, 그리고 이 모든 변화를 흡수하며 자란 Z세대의 성장.

이러한 요소들이 정확히 어떠한 미래를 만들지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예측할 수 있는 분명한 한 가지는 앞으로도 수많은 요인들이 우리의 미래사회를 변화시키고 우리는 그 변화에 무한히 적응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C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tallica  (0) 2021.11.16
기믹, Gimmick | 눈속임 · 기교 · 술책 / 클리셰(cliché)  (0) 2021.11.15
You can't teach an old dog new tricks  (0) 2021.11.12
호연지기 浩然之氣  (0) 2021.11.05
Tier (수준, 단계)  (0) 2021.10.12
반응형

트렌드로 읽는 MZ세대

http://webzine.koita.or.kr/202005-technology/%ED%8A%B8%EB%A0%8C%EB%93%9C%EB%A1%9C-%EC%9D%BD%EB%8A%94-MZ%EC%84%B8%EB%8C%80

 

트렌드로 읽는 MZ세대 - 기술과혁신 웹진

트렌드로 읽는 MZ세대 필자가 소속되어 있는 회사 직원들의 평균 나이는 30세로, 소위 베이비부머의 끝자락인 필자와는 30년 가까이 나이 차이가 난다. 이 직원들과 재미있고 즐겁게...

webzine.koita.or.kr

이제는 Do-See-Plan

이렇게 재현하고(Replicative), 성찰해서 반영하고(Reflective), 새롭게 재창조(Re-creative)하는 방식은 외부 고객을 상대하는 마케팅이나 MZ 세대의 젊은 동료들을 비롯한 내부 고객들과의 관계에서도 기본적인 해결 방향을 제공한다.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고객에게 맞추고, 채워주지 못한 틈새를 찾아서 메꿔주는 것이 필요하다. ‘Customizing’이란 단어에 모두 담을 수 있는 개념이다. 온라인 광고에서는 이제 사람마다, 웹사이트마다, 시간마다 다른 광고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조직 안에서도 예전처럼 모두가 똑같이 행동하는 집단의 가치와 전체 행동을 강요할 수 없다.

누구에게 맞춰주기 위해서는 그 사람을 잘 알아야 하고, 원하는 것을 해줄 수 있는 배려심이 있어야 한다. 고객을 돈을 뽑아내야 할 대상으로 본다면 제대로 된 관계를 형성할 수 없다. 그래서 두 번째는 ‘배려’와 ‘만남’의 ‘Socializing’이라고 정의했다.

마지막은 요즘 많이 얘기하는 ‘Story-telling’이다. 스토리에는 반전이 있어야 하고 누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쫓아오게 만들어야 한다. 다른 이들과 다른 역사를 품고 있어야 차별화가 가능하다. 그래서 ‘반전’과 ‘역사’가 핵심요소가 된다.

‘Plan-Do-See’라는 말을 자주 해왔다. 계획-실행-평가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제는 ‘Do-See-Plan’이라고 한다. 먼저 실행하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바로 파악하여 제대로 계획을 짜면서 개선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밟으라는 것이다. MZ 세대를 향한 마케팅이나 관계 구축도 그런 것 같다. 먼저 무언가를 시행하고 어떤 결과가 오는지 보자. 이 글이 그런 실행에 작은 불씨가 되기를 바란다.

반응형
반응형

You can't teach an old dog new tricks

오래된 생각, 방식 등은 고치게 하기 힘들다.
늙은 개에게 새로운 재주를 가르치다. (가르치기는 어렵다)



https://youtu.be/kVGBYOLLClY

 

반응형
반응형

베그 뉴스테이트

오늘 저녁엔 잘 될건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