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은 공공 공간이다. 공공 자산이다. 나라와 사회를 더 도덕적이고 더 정의롭게 일으켜 세우는 인프라다! 민주주의의 기초 조건이다. 도서관과 같은 차원에서 논의되고 육성하는 정책이 수립되고 실현되어야 한다. 서점을 위한 '문화운동, 사회운동'이 전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김언호의《세계서점기행》중에서 -
* 서점은 특별한 공간입니다. 책을 만나고 사람을 만나고 지식과 지혜, 문화와 문명을 만납니다. 더러는 서점에서 친구도 만나고 연애도 합니다. 공공 공간, 공공 자산도 되지만 특별한 개인 공간, 개인 자산이 되기도 합니다. 서점을 살리는 사회운동, 문화운동이 필요합니다.
젊었을 때 몇 차례 역경을 겪었다고 하는 어른들은 스트레스에 건강한 심혈관 반응을 보였다. 그들의 심장은 더 많은 혈액을 뿜어내고 상황에 대처할 태세를 갖추었다. 역경을 전혀 겪지 않은 이들은 사실상 더 위협을 느꼈고, 말단 동맥이 더 수축했다. 유년기의 적절한 역경은 삶에 매우 유익하다. - 엘리자베스 블랙번, ‘늙지 않는 비밀’에서
“성격은 쉽게 평온하게 계발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시도하고 고생을 겪어야만 정신이 강해지고, 시야가 명확해지고, 야망이 불타오르고 성공을 이룰 수 있다.” 헬런 캘러의 글과 일맥상통합니다. 어려움 없인 성장도 없습니다.
어떤 오래된 인간의 오류가 사라지는 것을 보면 전혀 기쁘지 않다. 새로운 잘못이 그 자리를 차지할 테니 말이다. 사라진 과거의 잘못보다 새로 나타난 잘못이 더 불편하고 더 위험하지 않을까 걱정스레 자문한다. 새로운 편견보다 오래된 편견이 그나마 덜 해롭다. 오래된 잘못은 시간이 지나면서 다듬어지고 어느 순간 거의 무해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 아나톨 프랑스의《에피쿠로스의 정원》중에서 -
* 오류, 잘못. 언제든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대로 두면 오래된 오류, 오래된 잘못으로 쌓여 적폐가 됩니다. 고약한 암덩어리로 굳어집니다. 고난도의 솜씨로 예리하게 도려내고 잘라내야 합니다. 문제는 그 도려낸 자리에 새로운 잘못이 또아리를 치는 것입니다. 우리가 경계해야 할 지점입니다. 과거의 잘못은 미래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새로운 출발의 디딤돌입니다.
[서울=뉴시스] 김병문 기자 = 광복절 연휴와 함께 2번째 '택배 없는 날'인 16일 오후 서울시내 한 택배 물류센터에 택배가 쌓여 있다. 2021.08.16. dadazon@newsis.com
[서울=뉴시스]김정현 기자 = 쿠팡물류센터 노동자 4분의 1이 근무 도중 사고를 당했거나 우울증 의심 수준에 이르는 상황이라는 의료진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 5명 중 4명은 물류센터에서 빨리 걷는 수준을 넘는 고강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구진은 빠른 배송을 다그치는 관리자, 부족한 휴게 공간과 같은 인권 침해 요소가 다수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김형렬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연구팀은 30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쿠팡 노동자의 건강한 노동과 인권을 위한 대책위원회' 등이 주최한 '쿠팡 물류센터 노동자 노동 환경·건강 수준 평가 국회 토론회'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물류센터 노동자에게서 과로와 관련 질병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고, 배송 경쟁이 심화해 노동자 근무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는 지적에 쿠팡 물류센터 노동자 356명을 상대로 심층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들은 고양·동탄·부천·인천 등 쿠팡 물류센터 근무자다. 64%가 20대거나 30대였음에도 70% 상당이 전신 피로, 팔 아픔(상지·하지 근육통)을 호소했다. 30% 이상은 우울감 또는 불안감을 겪었다고 답했다.
지난 일 년간 겪은 건강상 문제를 묻는 문항을 살펴보면 상지 근육통과 하지 근육통이 각각 73.6%, 68.8%였다. 전신 피로는 71.6%가 호소했다. 10명 중 9명 이상이 이들 질환이 업무로 인해 생겼다고 답변했다.
우울감과 불안감은 각각 34.3%, 36%가 느낀 적이 있었다고 답했다. 물류센터에서 일하다 우울감과 불안감을 느끼게 됐다는 답변은 각각 72.1%, 69.5%였다.
"최근 일 년간 연속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꼈다"는 별도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사람은 86명(24.2%)이었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평균값(10.5%)보다 크게 높다.
[서울=뉴시스]김형렬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연구팀은 30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쿠팡 노동자의 건강한 노동과 인권을 위한 대책위원회' 등이 주최한 '쿠팡 물류센터 노동자 노동환경·건강수준 평가 국회 토론회'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제공). 2021.09.3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원인은 극한에 이르는 물류센터 노동 강도다. 연구진이 평소 힘든 정도를 묻자 응답자 73.2%가 '빨리 걷는 수준'에 해당하는 노동 강도를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28.4%는 업무가 100m 달리기를 하는 수준으로 힘들다고 답변했다.
노동 강도가 높을수록 우울감과 극단 선택 관련 위험 지표는 상승하기 쉽다.
연구진에 따르면, '빨리 걷는 수준'을 의미하는 보그 점수 13점을 넘을 경우 각종 연구에서 2주 연속 우울감을 느낄 위험이 1.85배, 이를 생각할 위험이 2.51배 증가한다.
물체에 맞거나 부딪혀 발생하는 사고를 겪었다는 응답자도 다수 나왔다. 물체에 맞음 39건, 부딪힘 44건, 떨어짐 7건 등이다. 이 중 49.2%는 치료를 받지 않았고, 33.3%는 치료비를 스스로 부담했다.
직무 스트레스와 직장 내 갑질 문화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응답자도 일부 있었다. "마감에 대한 압박과 재계약에 관한 UPH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이나 "도중에 그만두기를 바라는 사람처럼 너무 굴린다"는 등이다. UPH는 시간당 성과 관리(Unit Per Hour)다.
쿠팡은 단기직 직원에게 월 3회 이상 상시직을 제안하고, 올해 1월 UPH를 상시직 채용과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응답자 126명은 하위 성과자로 관리자에게 지적을 받았다고 답했다. 전체 13.2%(47명)가 UPH 하락을 이유로 들었다.
이번 연구 참여자 절반 이상은 물류센터 일이 사실상 생업에 가깝다. 응답자 전체 69%(250명)은 다른 일자리가 없다. 13%(38명)은 다른 생업이 있지만, 정기적으로 물류센터 일을 한다고 답변했다.
응답자 57.3%는 아르바이트 등 일용직이었더. 42.7%는 3~12개월 계약직이었다. 무기계약직 또는 상시(정규)직은 9%에 불과했다. 불안정 노동을 하는 20~30대 물류센터 노동자들이 경제적 압박에 놓인 채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게 연구진 진단이다.
응답자들은 업무 도중 휴식이 절실하다고 답변했다. 주관식 응답에서 "식사 시간을 제외한 휴게 시간이 없다"거나 "식사 질이 떨어져 안 먹고 의자로 가져다 휴식을 취하지만 그마저도 부족하다"고 답했다. 응답자 22.5%는 일하는 공간에서, 다른 22.2%는 쉴 곳이 적절하지 않아 돌아다닌다고 답변했다.
쿠팡은 이에 대해 조사 응답자들이 적고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쿠팡은 이날 커뮤니케이션 채널 '쿠팡 뉴스룸'에 입장문을 올리고, "노조원이 주도하는 특정 SNS 회원들이 주로 참여한 설문조사"라며 "일일 근무자가 3만 명이 넘는 물류센터에서 356명이 참여한 주관적 의견을 기초로 한 측정은 실제 근로 환경을 대표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 폴더 생성 및 열기
mkdir moment_practice
cd moment_practice
# package.json 초기화
npm init -y
# moment.js 설치
npm install moment
현재 날짜: moment()
//현재 날짜: moment()
// moment_practice.js
const moment = require("moment");
// 현재 날짜
console.log("========== today ==========");
console.log(moment());
특정 날짜 지정: moment('date')
// 특정 날짜 지정: moment('date')
// 특정 날짜 지정
console.log("========== specific date ==========");
console.log(moment("2021-01-27", "YYYY-MM-DD")); // Moment<2021-01-27T00:00:00+09:00>
형식 지정: format()
// 형식 지정: format()
// 현재 날짜 형식 지정
console.log("========== format ==========");
let date = moment("2021-01-27");
// 년-월-일
console.log(date.format("YYYY-MM-DD")); // 2021-01-27
// 시:분:초
console.log(date.format("HH:mm:ss")); // 00:00:00
// 요일
console.log(date.format("dddd")); // Wednesday
// 년-월-일 요일
console.log(date.format("YYYY-MM-DD dddd")); // 2021-01-27
// 년-월-일 시:분:초
console.log(date.format("YYYY-MM-DD HH:mm:ss")); // 2021-01-27 00:00:00
// 년-월-일 요일 시:분:초
console.log(date.format("YYYY-MM-DD dddd HH:mm:ss")); // 2021-01-27 Wednesday 00:00:00
날짜 더하거나 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 한 moment 변수를 기준으로 날짜를 연속적으로 더하거나 빼게 되면 해당 변수도 add or subtract 함수를 실행하는 도중 값이 변하게 된다.
// 날짜 더하거나 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
// 한 moment 변수를 기준으로 날짜를 연속적으로 더하거나 빼게 되면 해당 변수도 add or subtract 함수를 실행하는 도중 값이 변하게 된다.
// 날짜 더하고 뺄 때 문제점
console.log("========== problems when adding or subtracting dates ==========");
let now = moment("2021-01-27");
console.log(now.add(3, "days")); // 2021-01-30
console.log(now.subtract(5, "days")); // 2021-01-25
console.log(now); // 2021-01-25
// 해결 방법: clone()
//add or subtract를 하기 전에 clone()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 해결 방법
console.log("========== solutions to the above problems ==========");
let fixedNow = moment("2021-01-27");
console.log(fixedNow.clone().add(3, "days")); // 2021-01-30
console.log(fixedNow.clone().subtract(5, "days")); // 2021-01-22
console.log(fixedNow); // 202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