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데이터 타입

SQL Server PostgreSQL
BIGINT 64-bit integer BIGINT
BINARY(n) Fixed-length byte string BYTEA
BIT 1, 0 or NULL BOOLEAN
CHAR(n), CHARACTER(n) Fixed-length character string, 1 ⇐ n ⇐ 8000 CHAR(n), CHARACTER(n)
DATE Date (year, month and day) DATE
DATETIME Date and time with fraction TIMESTAMP(3)
DATETIME2(p) Date and time with fraction TIMESTAMP(p)
DATETIMEOFFSET(p) Date and time with fraction and time zone TIMESTAMP(p) WITH TIME ZONE
DECIMAL(p,s), DEC(p,s) Fixed-point number DECIMAL(p,s), DEC(p,s)
DOUBLE PRECISION Double-precision floating-point number DOUBLE PRECISION
FLOAT(p) Floating-point number DOUBLE PRECISION
IMAGE Variable-length binary data, ⇐ 2G BYTEA
INT, INTEGER 32-bit integer INT, INTEGER
MONEY 64-bit currency amount MONEY
NCHAR(n) Fixed-length Unicode UCS-2 string CHAR(n)
NTEXT Variable-length Unicode UCS-2 data, ⇐ 2G TEXT
NUMERIC(p,s) Fixed-point number NUMERIC(p,s)
NVARCHAR(n) Variable-length Unicode UCS-2 string VARCHAR(n)
NVARCHAR(max) Variable-length Unicode UCS-2 data, ⇐ 2G TEXT
REAL Single-precision floating-point number REAL
ROWVERSION Automatically updated binary data BYTEA
SMALLDATETIME Date and time TIMESTAMP(0)
SMALLINT 16-bit integer SMALLINT
SMALLMONEY 32-bit currency amount MONEY
TEXT Variable-length character data, ⇐ 2G TEXT
TIME(p) Time (hour, minute, second and fraction) TIME(p)
TIMESTAMP Automatically updated binary data BYTEA
TINYINT 8-bit unsigned integer, 0 to 255 SMALLINT
UNIQUEIDENTIFIER 16-byte GUID (UUID) data CHAR(16)
VARBINARY(n) Variable-length byte string, 1 ⇐ n ⇐ 8000 BYTEA
VARBINARY(max) Variable-length binary data, ⇐ 2G BYTEA
VARCHAR(n) Variable-length character string, 1 ⇐ n ⇐ 8000 VARCHAR(n)
VARCHAR(max) Variable-length character data, ⇐ 2G TEXT
XML XML data XML

▶ 함수

SQL Server PostgreSQL
DATEADD Add an interval to datetime INTERVAL expression
ISNULL(exp, replacement) Replace NULL with the specified value COALESCE(exp, replacement)



출처: https://icodebroker.tistory.com/6429 [ICODEBROKER]

 

반응형
반응형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 대군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낙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無心)한 달빗만 싯고 븬 배 저어 오노라.

 



이 작품의 화자는 낚시로 고기를 잡는 데 집착하지 않고 탈속적인 공간에서 한가롭게 즐기는 무욕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유유자적하는 자연 친화적 삶을 통해 풍류 의식과 한정(閑情)을 드러낸 작품으로, 가을 강의 밤경치와 달빛 아래 낚시를 드리우는 정경이 잘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 월산대군

조선 전기 때의 종실.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의 형으로 평양군(平陽君) 박중선(朴中善)의 사위이다. 이름은 정, 자는 자미(子美), 호는 풍월정(風月亭). 일찍이 아버지를 잃고 할아버지인 세조의 총애를 받으면서 궁정에서 자랐다.

7세 때인 1460년(세조 6) 월산군에 봉해졌고, 1468년(예종 즉위년) 동생인 잘산군(성종)과 함께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임명되었다. 1471년(성종 2) 월산대군으로 봉해졌고, 같은해 3월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봉되어 전지(田地) ∙ 노비 · 구사(丘史) 등을 하사받았다. 이러한 좌리공신에의 책봉은 그에게 돌아올 수 있었던 왕위계승의 상실에서 나온 조처였다. 예종 사후에 왕세자인 제안대군(齊安大君) 현과 월산대군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종이 왕위에 즉위한 것은, 어떤 정치적 내막이 깔려있었다.

곧, 성종의 즉위는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세조의 유명을 받들어 시행한것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당시의 최고 권신인 동시에 성종의 장인인 한명회(韓明澮)의 주선에 의한 것이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성종의 즉위에 대한 종실의 반발을 막기 위하여 종실의 대표자격이고, 당시 막강한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던 구성군(龜城君) 준(浚)을 제거하고 권신들이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취해진 조처의 하나가 좌리공신의 책봉이었다. 당시의 왕위계승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월산대군은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좌리공신에 책봉되는 비운을 맞게 되자, 이로 인하여 현실을 떠나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내야만 하였다.

이후 그는 서호(西湖)의 경치좋은 양화도(楊花渡) 북쪽 언덕에 위치한 희우정(喜兩亭)을 개축하고, 망원정(望遠亭)이라 하여 서적을 쌓아두고 시문을 읊으면서 풍류적인 생활을 계속하였다. 그 뒤 어머니인 덕종비 인수왕후(仁粹王后)의 신병을 극진히 간호하다가 병들어 35세로 죽었는데 적자는 없고, 측실에서 난 두 아들이 있었다. 1473년 이후 덕종을 추존하고 이를 종묘에 부묘하기 이전에는 월산대군이 별묘를 세우고 봉사(奉祀)하여 덕종의 맏아들로서 행세할 수 있었다. 덕종이 종묘에 부묘되면서 그의 위치는 종실의 한 사람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그는 일찍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종학(宗學)에 들어가 배웠고, 경사자집(經史子集)을 두루 섭렵하였다고 한다. 그의 성품은 침착, 결백하고, 술을 즐기며 산수를 좋아하였으며, 부드럽고 율격이 높은 문장을 많이 지었다고 하는데, 그의 시문 여러 편이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실릴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다.

반응형
반응형

400년 전 소설 돈키호테에 ‘이룩할 수 없는 꿈을 꾸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고, 싸워 이길 수 없는 적과 싸움을 하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견디며, 잡을 수 없는 저 하늘의 별을 잡자.’라는
꿈을 예찬하는 구절이 있다.
꿈은 에너지의 원천이다.
세상을 상대로 당당하게 맞서 싸울 수 있는 힘을 준다.
세상을 바꿔온 것은 바로 그런 경영자들의 꿈이다.
- 권영설, 칼럼 ‘돈키호테의 꿈’에서


아인슈타인은 지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라고 말했습니다.
상상력이 새로운 세상을 만듭니다.
하루하루 살아가기 어렵더라도 꿈을 꾸며 살아야합니다.
황당한 꿈(?)을 꾸며 살아가야합니다.
비정상(탁월한 성과)을 바라면서
정상적인 꿈(남과 똑같은 꿈)만 꿀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극단적인 괴로움과
지옥 같은 고통은 왜 오는 걸까?
두말할 나위 없이 집착에서 온다.
집착은 왜 하게 되는 걸까? 집착하는 대상으로
하여금 내가 원하는 욕심을 채워 행복하기 위함이다.
감정에만 취해서 복잡한 업의 내용을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고통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요원하다. 집착하는 만큼 고통의
과보를 감내해야 한다.


- 진우의《두려워하지 않는 힘》중에서 -


* 집착은
여러 형태의 내적 고통을 안겨줍니다.
집착이 강할수록 고통의 강도도 세집니다.
삶 전체를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지옥 같은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집착은 욕심에서, 그것도 이기적
욕심에서 비롯됩니다. 그 이기적 욕심을 이타적
꿈으로 방향을 바꾸는 순간 고통은 사라지고
마음의 평화와 행복이 찾아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점 문화운동  (0) 2021.10.15
오래된 과거의 잘못  (0) 2021.10.14
인공지능  (0) 2021.10.12
공짜 행복  (0) 2021.10.12
내가 사는 공간을 가꾸는 일  (0) 2021.10.12
반응형

자동 증가 형식 (serial 등)

 

PosgtreSQL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형에서 자동 증가 타입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자동 증가 타입으로 설정한 컬럼은 자동으로 연속 값이 저장된다. 자동 증가 타입은 smallserial, serial, bigserial의 3 가지 유형의 데이터가 존재한다.

자동 증가 형식

연번 형은 취급 숫자의 범위가 다른 3 가지 데이터 유형이 있다.

형식크기범위별칭

smallserial 2 바이트 1~32767 serial2
serial 4 바이트 1~2147483647 serial4
bigserial 8 바이트 1~9223372036854775807 serial8

자동 증가 타입이 설정된 컬럼이 포함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를 하면, 자동 증가 타입의 컬럼에 직접 값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값이 포함되도록 한다. 그러면 자동으로 지금까지 등록된 값보다 큰 값(일반적으로 1 큰 값)이 자동으로 저장된다. (MySQL에서 말하는 컬럼에 AUTO_INCREMENT를 설정 한 것과 비슷하다)

※ 자동 증가 형식은 내부적으로 시퀀스를 이용하여 구현되어 있다.


자동 증가 타입이 설정된 컬럼에 값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추가

자동 증가 타입이 설정된 컬럼에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으로 자동으로 연속적인 값이 저장되지만, 임의의 값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추가 할 수도 있다.

현재 4개의 데이터를 추가한 상태에 다음 데이터를 추가하게 되면, 자동 증가 타입이 설정된 id 컬럼에 다음 디폴트 값인 5가 저장된다.

여기서 id 컬럼에 값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추가 할 수 있다.

 

mydb=# insert into myfriends values (7, 'Yunjo', 'Paris');
INSERT 0 1
mydb=# select * from myfriends;
 id |  name   | address
----+---------+---------
  1 | Yunho   | Goyang
  2 | Seonah  | Bucheon
  3 | Yongtae | Seoul
  4 | Dongeog | Gangnam
  7 | Younjo  | Paris
(5개 행)

-- 데이터를 추가한 후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검색해 보면 지정한 값이 그대로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동 증가 타입이 설정된 컬럼에도 값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추가 할 수 있다.
-- 여기에서 다시 id 컬럼에 지정하지 않고 디폴트값으로 데이터를 추가하면, 
   id 컬럼에 무슨 값이 들어가는지 확인하려고 한다.

mydb=# insert into myfriends (name, address) values ('Sueun', 'Yongin');
INSERT 0 1
mydb=# select * from myfriends;
 id |  name   | address
----+---------+---------
  1 | Yunho   | Goyang
  2 | Seonah  | Bucheon
  3 | Yongtae | Seoul
  4 | Dongeog | Gangnam
  7 | Younjo  | Paris
  5 | Sueun   | Yongin
(6개 행)

-- 데이터를 추가한 후에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검색해 보면, 
   id 컬럼은 원래 다음으로 들어가려던 5가 저장된다.
-- 그럼, id 컬럼에 디폴트 값이 포함되도록 2개의 데이터를 더 추가해 보자.

mydb=# insert into myfriends (name, address) values ('Hansol', 'Seocho'), ('Yujin', 'Unknown');
INSERT 0 2
mydb=# select * from myfriends;
 id |  name   | address
----+---------+---------
  1 | Yunho   | Goyang
  2 | Seonah  | Bucheon
  3 | Yongtae | Seoul
  4 | Dongeog | Gangnam
  7 | Younjo  | Paris
  5 | Sueun   | Yongin
  6 | Hansol  | Seocho
  7 | Yujin   | Unknown
(8개 행)

-- id 컬럼에는 이전 저장된 값 5 다음으로 6과 7이 저장되어 있다. 
   이미 id 컬럼에 7이라는 값이 저장된 데이터를 수동으로 추가되었지만, 
   중복된 값이 있는지와는 상관없이 연속적인 값이 저장이 되었다.
-- 이와 같이 자동 증가 타입이 설정된 컬럼에 값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추가 할 수도 있지만, 
   그 데이터는 자동으로 저장되는 값으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가 필요하다.


.

 

* http://www.devkuma.com/books/pages/1444 

반응형
반응형

수준, 단계. 1.1번 항목이나 1.2번 항목이나 '급'을 의미하는 것에선 비슷하나, 앞에 붙는 숫자가 의미하는 바는 정반대다. 1.1번 항목은 숫자가 클수록, 1.2번 항목은 숫자가 작을수록 '급'이 높다.

 '단계'라는 의미로서의 티어 
특히 게임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이다. 캐릭터, 진영, 기체, 아이템 등의 강함과 약함에 따라 분류한 각 단계를 말한다. 전략 시뮬레이션에서는 테크 트리 단계를 나눌 때, RPG, 특히 MMORPG 등에서는 각종 무기, 장비 등의 아이템의 등급을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사기캐릭터에는 보통 top tier라고 하지만 KOF 2003의 듀오론이나 스파제로1의 가이와 같은 게임 내 독보적인 존재는 god tier로 못을 박아버린다. 한편 약캐릭터는 보통 bottom tier라고 불리나 MVC2의 롤이나 블레이블루 CS의 레이첼 같은 독보적인 약캐는 그 캐릭터의 이름으로 'XXX tier'라 칭하기도 한다.

게임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상품 등에서도 쓰이는 표현이다. 쏘나타와 SM5가 같은 티어라든지... 그랜저와 SM7이 같은 티어라든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