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자에게는 긍정적 자세와 부정적 자세 양쪽이 다 필요하다. ‘먼 미래’는 긍정적으로 내다보는 게 좋다. 동료들과 함께 만들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로 사람들의 삶이 얼마나 더 나아질지, 우리 사회가 얼마나 더 밝아질지 그려보는 데는 ‘다 잘 될 거야’ 하는 낙관적 태도가 필요하다. 반면 ‘가까운 미래’는 부정적으로 봐야 한다. - 김봉진, 우아한 형제들 의장
세상의 모든 이치가 그렇듯이 경영에서도 균형과 중용이 필요합니다. 단기와 장기, 이익과 가치, 기술과 시장, 고객과 직원, 긍정과 부정, 낙관과 불안... 모든 면에서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아가는 양손잡이 경영은 누구에게나, 어느 상황에서나 필요한 경영의 기술입니다.
현대 사회가 물질문명에 기초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물질문명이 지닌 한계에 대해서도 명확히 인식하고 현명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조에서 나온 것이 '탈물질주의'의 흐름입니다. 물질주의가 경제적 성공에 따라 사회적 서열화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면, 탈물질주의는 지속 가능한 삶과 사회적 책임을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 김누리 외의《코로나 사피엔스 새로운 도약》중에서 -
* 쉽게 말하면 돈, 매우 필요하고 중요하지만 그러나 돈이 전부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어찌 보면 단순하고 쉬운 말 같지만 사실은 매우 어려운 말이기도 합니다. 자기 삶의 중심 가치로 삼아 실천하기는 더욱 어렵습니다. 하지만 '물질의 바다'에서 노를 젓되 또 다른 영역으로 존재하는 '탈(脫)물질의 바다'를 향해 헤엄칠 수 있어야 자신의 생존력과 사회적 가치도 함께 올라가게 됩니다. 진정한 성공과 행복은 물질과 탈물질의 융합에 있습니다.
뭐든 불가능한 것은 없다. 세상은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다. 할 수 없는 일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절대 할 수 없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불가능을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말인 즉,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라는 이야기가 된다. 이걸 깨달으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것도 망설임 없이 도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도전이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든다. - 테라오 겐 발뮤다 회장, ‘상식의 틀을 깨라’에서
제 아무리 불가능해 보이더라도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면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세상에 어떤 일도 미리 불가능하다고 여기고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This is the first article in a series of articles about three.js.Three.jsis a 3D library that tries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 to get 3D content on a webpage.
Three.js is often confused with WebGL since more often than not, but not always, three.js uses WebGL to draw 3D.WebGL is a very low-level system that only draws points, lines, and triangles. To do anything useful with WebGL generally requires quite a bit of code and that is where three.js comes in. It handles stuff like scenes, lights, shadows, materials, textures, 3d math, all things that you'd have to write yourself if you were to use WebGL directly.
These tutorials assume you already know JavaScript and, for the most part they will use ES6 style.See here for a terse list of things you're expected to already know. Most browsers that support three.js are auto-updated so most users should be able to run this code. If you'd like to make this code run on really old browsers look into a transpiler likeBabel. Of course users running really old browsers probably have machines that can't run three.js.
When learning most programming languages the first thing people do is make the computer print"Hello World!". For 3D one of the most common first things to do is to make a 3D cube. So let's start with "Hello Cube!"
Before we get started let's try to give you an idea of the structure of a three.js app. A three.js app requires you to create a bunch of objects and connect them together. Here's a diagram that represents a small three.js app
Things to notice about the diagram above.
There is aRenderer. This is arguably the main object of three.js. You pass aSceneand aCamerato aRendererand it renders (draws) the portion of the 3D scene that is inside thefrustumof the camera as a 2D image to a canvas.
There is ascenegraphwhich is a tree like structure, consisting of various objects like aSceneobject, multipleMeshobjects,Lightobjects,Group,Object3D, andCameraobjects. ASceneobject defines the root of the scenegraph and contains properties like the background color and fog. These objects define a hierarchical parent/child tree like structure and represent where objects appear and how they are oriented. Children are positioned and oriented relative to their parent. For example the wheels on a car might be children of the car so that moving and orienting the car's object automatically moves the wheels. You can read more about this inthe article on scenegraphs.
Note in the diagramCamerais half in half out of the scenegraph. This is to represent that in three.js, unlike the other objects, aCameradoes not have to be in the scenegraph to function. Just like other objects, aCamera, as a child of some other object, will move and orient relative to its parent object. There is an example of putting multipleCameraobjects in a scenegraph at the end ofthe article on scenegraphs.
Meshobjects represent drawing a specificGeometrywith a specificMaterial. BothMaterialobjects andGeometryobjects can be used by multipleMeshobjects. For example to draw two blue cubes in different locations we could need twoMeshobjects to represent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each cube. We would only need oneGeometryto hold the vertex data for a cube and we would only need oneMaterialto specify the color blue. BothMeshobjects could reference the sameGeometryobject and the sameMaterialobject.
Geometryobjects represent the vertex data of some piece of geometry like a sphere, cube, plane, dog, cat, human, tree, building, etc... Three.js provides many kinds of built ingeometry primitives. You can alsocreate custom geometryas well asload geometry from files.
팔굽혀펴기 같은 건 못해도 상관없어. 하지만 눈부신 바다엔 뛰어들어야 하지 않겠니? 데이지가 핀 비탈길은 달려 내려가고 싶지 않니? 몰디브의 산호초 속으로 다이빙해 들어가고 싶지 않니? 아라비아의 사막을 낙타를 타고 다섯 시간 동안 흔들리고 싶지 않니? 코파카바나의 삼바 축제에서 동이 틀 때까지 춤을 추어야 하지 않겠니?
- 곽세라의 《소녀를 위한 몸 돌봄 안내서》 중에서 -
* 소녀도 팔굽혀펴기를 해야 합니다. 몸의 근력을 키워야 마음의 근육도 단단해지니까요.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안됩니다. 소녀 시절이기 때문에 더 아름답고 몽환적인 꿈, 낭만, 도전이 필요합니다. 눈부신 상상의 바다에 뛰어들어 다이빙하고 노래하고 춤추며 하루하루 매일이 멋진 축제가 되게 해야 합니다. 소년소녀의 특권입니다.
거울과 등대는 둘 다 비추기와 보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거울은 나를 비추고, 등대는 앞을 비춘다. 거울을 통해 나를 보고, 등대를 통해 미래를 볼 수 있다. '존경'을 의미하는 영어 'respect'는 '다시(re) 본다(spect)'는 뜻이다. 한 인물을 스승으로 삼은 것은 존경하기 때문이다. 존경은 스승을 보고 또다시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스승을 통해 나를 재발견하고 내 삶을 조망할 수 있다.
- 홍승완의《스승이 필요한 시간》중에서 -
* 인생에서 스승을 만난다는 것은 큰 축복입니다. 스승을 통해 자신을 알게 되고 스승을 통해 기본기를 배우고 스승의 삶을 통해 삶의 방식을 배우기 때문입니다. 스승은 제자의 삶을 그대로 보여주어 자신을 잘 알게 하고 자신 안에 숨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합니다. 이러한 스승이 참 귀한 시대입니다. 우리 또한 누군가의 거울과 등대와 같은 스승이 되어야 합니다. 스승과 제자는 서로를 더욱 성장하고 변화게 하는 아름다운 관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