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가 받았던
타인의 사랑을 새삼 느껴본다.
그들의 사랑을 함부로 버린 적도
있었을 것이다. 지난 10여 년의 세월 속에
많은 사람을 떠나보냈다. 과연 나는 내가 가진
모든 것을 준 적이 있었던가. 그들에게 받은
사랑을 내가 진정으로 감사하다고
느꼈던가.


- 나태주, 이영문의 《시가 내 마음에 들어오면》 중에서 -


* 받았던 사랑을 떠올리면,
그때는 당연했던 것들이 얼마나 소중했는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스스로 묻게 됩니다.
'나는 내 모든 것을 다해 타인을 사랑했는가?'
'받은 사랑에 진심으로 감사했는가?'
이 질문은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랑을 더 깊이, 더 귀하게
느끼게 해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의 신'은 살아 있다  (0) 2024.12.16
역사는  (0) 2024.12.16
임종을 목격한 사람  (2) 2024.12.12
실루엣만 남은 사람  (0) 2024.12.11
아름다운 마침표  (0) 2024.12.10
반응형

호스피스 간호사로 일하거나
누군가의 임종을 목격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예외 없이 경험해 봤을 것이다.
영혼이 육체를 빠져나가는 순간에 느껴지는,
손에 만져질 듯한 공기의 변화. 그건 누군가 있는
줄 알고 방에 들어갔는데 혼자임을 알게 됐을 때의
느낌과 그리 다르지 않다. 때로는 이런 순간이
육체적인 죽음 전에 찾아오기도 하고,
어떨 때는 반대로 죽음 후에
찾아오기도 한다.


- 해들리 블라호스의 《삶이 흐르는 대로》 중에서 -


* 살다 보면 누구나  
필연적으로 임종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때의 느낌과 감정은 오랜 기억으로 남습니다.
근래 만난 중년의 한 여성은 아버지의 임종 때 그분의
체온이 차갑게 식을 때까지 온몸을 주물러 드렸다는
이야기를 하며 울먹였습니다. 영혼은 육신의 죽음이
찾아오기 직전에 몸을 빠져나온다고 합니다. 극심한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고 합니다.
딸이 주무르는 따뜻한 손을 느끼며 떠난
아버지의 영혼은 평안했을 겁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는  (0) 2024.12.16
내가 받았던 타인의 사랑  (0) 2024.12.13
실루엣만 남은 사람  (0) 2024.12.11
아름다운 마침표  (0) 2024.12.10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2024.12.09
반응형

https://pypi.org/project/rich/

 

rich

Render rich text, tables, progress bars, syntax highlighting, markdown and more to the terminal

pypi.org

Rich is a Python library for rich text and beautiful formatting in the terminal.

The Rich API makes it easy to add color and style to terminal output. Rich can also render pretty tables, progress bars, markdown, syntax highlighted source code, tracebacks, and more — out of the box.

python -m pip install rich

 

from rich.progress import Progress
import time

def main():
    with Progress() as progress:
        task1 = progress.add_task("[cyan]Downloading...", total=100)
        task2 = progress.add_task("[magenta]Processing...", total=200)

        while not progress.finished:
            time.sleep(0.03)  # Simulate some work
            progress.update(task1, advance=1)
            progress.update(task2, advance=0.5)

if __name__ == "__main__":
    main()

 

 

from rich.progress import Progress
import time

def main():
    # Create a progress bar
    with Progress() as progress:
        # Add a task
        task = progress.add_task("[cyan]Processing...", total=100)
        
        # Update progress
        for i in range(100):
            time.sleep(0.05)  # Simulate some work
            progress.update(task, advance=1)  # Advance the progress bar by 1

if __name__ == "__main__":
    main()
반응형
반응형

눈 코 입 손발 다 지우고
이름과 목소리도 몸이 되어 실루엣만 남은 사람
보지 못해도 걷지 못해도 어디로 가는가

아무리 멀어도 꿈이라면 닿으려나
아무리 지워도 꿈이라면 보이려나


- 이운진의 《당신은 어떻게 사랑을 떠날 것인가》 중에서 -


* 실루엣만 남은 사람인데
너무도 그리워 다시 보고 싶은 사람이 있고,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다.
꿈에 나타날까 겁나는 사람이 있고
꿈에도 그리운 사람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받았던 타인의 사랑  (0) 2024.12.13
임종을 목격한 사람  (2) 2024.12.12
아름다운 마침표  (0) 2024.12.10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2024.12.09
위기  (0) 2024.12.09
반응형

인간은
깜짝 반전과
긴장감을 좋아하지만,
질서와 마침표를 갈망하기도 한다.
미스터리 박스의 묘미는 균형에 있다.
너무 많이 보여주면 지루해지고,
너무 적게 보여주면 갈피를
잡을 수 없어서 마음을
접는다.


- 조나 레러의 《지루하면 죽는다》 중에서 -


* 모든 일은
끝이 좋아야 합니다.
그래야 아름다운 마침표를 찍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법과 질서, 그리고 균형과 조화입니다.
자연도 이것을 놓치거나 잃었을 때 천재지변을
일으킵니다. 그 천재지변을 통해서 자연은
다시 질서와 균형을 찾습니다.
자연의 위대함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종을 목격한 사람  (2) 2024.12.12
실루엣만 남은 사람  (0) 2024.12.11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2024.12.09
위기  (0) 2024.12.09
부끄러움을 아는 것  (0) 2024.12.06
반응형

김해 김씨 종문.svg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