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죽어서 천국 갈 때 
가져갈 생각이 아니라면, 
우리는 '언젠가' 상자를 살아있을 때 
수시로 열어서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물어야 한다. 
이것의 언젠가는 언제인 거냐고. 
정면을 응시하고 마음을 집중해서 
나에게 물어야 한다.


- 황은정의《무빙 세일》중에서 - 


* 언젠가는 악기를 배울 것이다,
언젠가는 책을 내고, 언젠가는 춤을 배우고,
언젠가는 트레킹을 떠나리라……
이런 숱한 '언젠가'의 리스트를 
오늘도 가슴에 품고 있다.
품고만 있다.

"정말 하고 싶다고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지금 당장'이라는 말에는 고개를 설레설레 젓는 나에게 묻는다. 
'언젠가는' 도대체 언제인 거냐고?"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슈비츠에는 아이들이 없었다  (0) 2019.09.10
걸어서 고치는 것이 낫다  (0) 2019.09.09
빙판  (0) 2019.09.06
'고도를 기다려'  (0) 2019.09.05
내 아이가 변해가는 모습  (0) 2019.09.04
반응형

나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작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뜻하지 않은 감사를 받는 큰 기쁨을 여러 번 경험했다.
딱한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 베푼 약간의 관심과 친절은
나중에 큰 보답으로 돌아온다.
보답을 받으리라고 생각지도 못한 일이기에 그 보답은 더욱 크게 느껴진다.
- 앤드류 카네기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씩 자원봉사를 하면 2만 5천 달러이던 연봉이
7만 달러로 올랐을 때와 맞먹는 수준의 행복감 향상을 이끌어낸다.’는
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보통은 ‘형편이 나아지면 베풀거야’라고 말하지만,
베풂이 습관이 되면 기적처럼 형편이 좋아집니다.
베풂이 치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이가 
얼음물에 빠질까 봐 걱정하면 
빙판에서 놀지 않기로 약속하세요. 
빙판에서 놀지 않으면 얼음물에 빠질 일이 없으니까요. 
그래도 아이가 계속 두려워하면 구명조끼를 입으면 
물 위에 떠서 죽지 않는다고 가르쳐 주세요. 
실제로 구명조끼를 사 주면 아이의 
심리가 더 안정될 거예요. 

- 인젠리의《아이의 마음을 읽는 연습》중에서 -


* 빙판은 위험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의 좋은 놀이터입니다.
두려움에 밀리면 좋은 놀이터를 잃습니다.
물에 빠질 수도 있으니 얇은 얼음을 조심하게 하고,
그래도 두려워하면 구명조끼를 입혀 아이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은 어른의 몫입니다. 
빙판에서도 놀아봐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어서 고치는 것이 낫다  (0) 2019.09.09
'언젠가'는 대체 언제쯤일까?  (0) 2019.09.07
'고도를 기다려'  (0) 2019.09.05
내 아이가 변해가는 모습  (0) 2019.09.04
삶의 양념  (0) 2019.09.03
반응형

[JSTL core] [c:forEach] varStatus를 활용한 변수

forEach문은 아래와 같이 활용한다.

<c:foreach items="${리스트가 받아올 배열이름}"
           var="for문 내부에서 사용할 변수"
           varStatus="상태용 변수">

	// 반복해서 표시할 내용 혹은 반복할 구문

</c:foreach>

이 때, 상태용 변수를 status라고 지정했다면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status.current} 현재 for문의 해당하는 번호

${status.index} 0부터의 순서

${status.count} 1부터의 순서

${status.first} 첫 번째인지 여부

${status.last} 마지막인지 여부

${status.begin} for문의 시작 번호

${status.end} for문의 끝 번호

${status.step} for문의 증가값

<c:foreach items="${list}" var="list" varStatus="status">
	<c:out value="${status.index}" /> / <c:out value="${status.end}" />
</c:foreach>
반응형
반응형

사람이 가는 길에는 자연의 섭리처럼 장애물이 있게 마련이며,
책이나 스승을 통해서가 아니라 이 장애물을 극복하려는
끊임없는 분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많은 것을 배운다.
자연이 사람의 가는 길에 장애물을 두는 것은 말 조련사가 군데군데 허들과
레일을 쳐놓고 말이 뛰어넘도록 해서 속도 감각을 익히게 하는 것과도 같다.
- 나폴레온 힐 

장애물을 말 그대로 장애물로 생각해서 회피하는 사람,
반대로 장애물을 나를 훈련시키기 위한 선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생각에 따라 인생이 달라집니다.
장애물은 피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높이 날아오를 힘을 모아주는 도약대로 크게 반겨야 할 대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삶의 의미를 
개인이 느끼는 행복한 경험 같은 
것으로 쉽게 착각하고는 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이런 생각의 공허함을 알아차렸습니다. 
이들은 아마 사뮈엘 베케트의 유명한 부조리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등장인물 에스트라공처럼 
묻고 싶을 것입니다. "우리는 행복해. (침묵) 
행복하니 이제 무얼 할까? "
그러자 블라디미르가 대답합니다. 
"고도를 기다려."


- 스벤 브링크만의《철학이 필요한 순간》중에서 -


* 인생은 기다림입니다.
그래서 50년을 기다려도 오지 않는 '고도'를 
끝없이 기다리는 연극이 오랜 시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어떤 상태에서
무엇을 기다리느냐입니다. 오늘 행복한 상태에서
내일을 기다리면 행복한 사람입니다.
스스로 불행을 기다리지 말고
행복을 기다리세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젠가'는 대체 언제쯤일까?  (0) 2019.09.07
빙판  (0) 2019.09.06
내 아이가 변해가는 모습  (0) 2019.09.04
삶의 양념  (0) 2019.09.03
'급할 거 하나도 없다'  (0) 2019.09.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