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는 게 고통이라는 건 벗어날 수 없는 진리예요.
새는 진공 상태에서 날 수 없습니다.
새가 하늘을 날기 위해선 공기 저항이 필요하죠.
인간도 고통이라는 저항을 통과해야 앞으로 나갑니다.
고통을 ‘바람’이라고 생각하고, 인정해야 합니다.
- 기시미 이치로, ‘미움 받을 용기’ 저자

기시미 이치로는 말합니다.
“인간은 늘 배가 고프죠. 어떤 굶주림이든 완전히 채울 수는 없어요.
다행히 욕망이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그레이트 헝거(great hunger)'는
굶주림 덕분에 인생이 풍요해지죠.”
끝없이 고통을 맛보고 좌절을 경험하면서 의미를 추구하는 삶이
진정 가치 있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남들에게 의존하는 성향은 우리를 노예로 만든다.
특히 자기 존중의 경우에 그렇다.
만인의 격려와 칭찬을 받아야 직성이 풀린다면,
이는 만인을 자신의 심판관으로 삼는 것과 같다.
- 프리츠 펄스, 정신과 의사

유대교에는 ‘내가 내 인생을 살아가지 않는다면
아무도 대신 살아주지 않는다'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남이 나를 어떻게 볼지 전전긍긍하다가는 내 인생을 살아갈 수 없습니다.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내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칭찬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미움 받을 용기도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큰 돈을 잃은 것은 우리에게 생긴 최고의 일이었어요.
기업이 가장 위험한 순간은 모든 것이 잘 풀리고
우리가 완벽하다는 허상을 키워갈 때입니다.
가장 장래성 있는 순간은 우리가 막 실패했을 때고요.
- 쿠스 베커, 내스퍼스 CEO

도덕경에 ‘화복의 복’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화(禍)’인 것 같지만 그 안에 복(福)이 기대어 있고,
‘복’인 것 같지만 그 안에 ‘화’가 잠복되어 있으니
그 끝을 누가 알 수 있겠는가? 하는 내용입니다.
모든 일이 잘 풀려갈 때, 내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자신감이 들 때,
그때가 가장 위험한 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공의 관건은 타인을 돕고자 하는 욕구이다. 
당신이 대의에 따르는 일을 하면 도움은 저절로 찾아온다. 
반면에 자기 자신만을 위한 일에 종사한다면 
이러한 도움이나 만족감 또는 보상을 맛볼 수 없다. 
인류를 위해 봉사할 수 있다면,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다. 
- 세릴 리치 (Sheryl Leach), 공룡 바니의 제작자

생각을 바꾸면 불가능한 일도 가능해집니다. 
반면에 생각을 바꾸지 못하면 늘 그 자리에 머물게 됩니다. 
회사나 개인이나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 하기 보다, 
남의 성공과 욕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봉사한다’로
생각을 바꾼다면 모두 다 성공의 기쁨을 맛보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 아니다.
인생의 목적은 성장하고 나누는 것이다.
인생에서 해온 모든 것들을 되돌아볼 때,
당신은 다른 사람들보다 잘하고 그들을 이긴 순간보다
그들의 삶에 기쁨을 준 순간을 회상하며 더 큰 만족을 얻게 될 것이다.
- 해롤드 쿠시너, 랍비

남을 이기는 것은 인생의 목적이 될 수 없습니다.
어제의 나와의 지속적인 경쟁을 통해 자신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개발하여 특정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만드는 것,
이를 통해 내가 태어나기 전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 인생의 목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어떤 결정을 내려도 그걸 싫어하는 사람이 반드시 있습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느라고 내 인생을 ‘유보’상태로
두면 안 됩니다. 결정하고 앞으로 나아가세요.
주변에 나를 못마땅해 하는 사람이 있다면 ‘잘살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그 정도 미움은 자유롭게 살기 위해 치러야 할 비용입니다.
- 기시미 이치로, ’미움 받을 용기’ 저자

이어지는 이야기입니다. “‘미움 받도록 행동하라’가 아니에요.
미움 받을까 봐 조마조마해 하며, 자기 인생을 버려두지 말라는 거죠.”
모든 사람에게 다 칭찬 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남 눈치 보면서 살기에는 인생이 너무나 짧습니다.
스스로 떳떳하게 살아가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