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심리학자에 따르면 “난 알고 있어”라고 자주 말하는 사람들은
사교성이 떨어지고 사람들에게 인기가 없을 확률이 높다.
반면 망설임 없이 “잘 모르겠는데”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지닌 경우가 많다.
- 이현종, ‘심스틸러’에서

위대한 광고인 윌리엄 번벅은 늘 오른쪽 호주머니에
“내가 틀릴 수도 있다. I may be wrong”이라는
메모를 넣고 다녔다 합니다.
과거 경험과 기존에 알고 있던 것만 맞다고 고집하면
더 이상의 발전은 없고, 계속해서 뒤처지게 되어있습니다.
잘 모른다는 것을 아무 거리낌 없이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진짜 똑똑한 사람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행복하지 않다면 자신을 탓할 수밖에 없다.
신은 우리 모두가 행복해지도록 창조했기 때문이다.
불행은 가질 수 없는 것을 원하는데서 찾아온다.
행복한 이는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한다.
- 톨스토이

톨스토이는 말합니다. “자신에게 닥친 불행은 피할 수 있지만,
스스로 만들어낸 불행은 극복할 수 없다.
행복하지 못하다면 두 가지 변화를 꾀할 수 있다.
하나는 삶의 조건을 낫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내적 영혼의 상태를 낫게 하는 것이다.
첫 번째는 늘 가능한 것이 아니지만, 두 번째는 늘 가능하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 주위의 환경은 시시각각 변화하는데,
우리는 항상 그대로 있길 원하지.
이번에도 그랬던 것 같아. 그게 삶이 아닐까?
봐! 세상은 변하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고 있잖아.
우리도 그렇게 해야 돼.
- 스펜서 존슨,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에서

급격히 변화하는 세상에선 안정적인 직장, 안정적인 세계관을
고수하려고 하면 할수록 뒤쳐질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이 나만 남기고 빠르게 날아가 버릴 것입니다.
최소한 세상의 변화속도에 보조를 맞춰야만 생존이 가능합니다.
과거의 지식을 버릴 줄 아는 능력이 곧 경쟁력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는 나보다 못한 사람을 생각하라.
원망하고 탓하는 마음이 절로 사라지리라.
마음이 게을러지거든 나보다 나은 사람을 생각하라.
정신이 절로 분발하리라.
- 채근담

남과의 비교는 불행을 가져옵니다.
이광정 원불교 원사의 조언 함께 보내드립니다.
“땅 위에 부는 바람은 고기압과 저기압의 차이에서 온다.
마음에 부는 바람도 차이에 대한 비교에서 온다.
서로 비교하지 말고, 자신을 사랑하면 행복이 온다.”

...
반응형
반응형
보람 있는 삶은 파도를 타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는 파도에 밀려 넘어지지 않기 위해
최대한 집중하면서도 전율을 즐겨야 한다.
최적경험(optimal experience)은 반드시 그 자체가 유쾌한 것은 아니다.
몸이 아플 수도 있고, 머리가 지끈 거릴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순간에 우리는 살아있음을 생생하게 체험한다.
- 로먼 크르즈 나릭, ‘인생은 짧다. 카르페 디엠’에서

‘아무 걱정 없이 행복하세요!’라는 말은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
일반적 통념과 달리 최적 경험의 순간들은
편안한 시간이 아닙니다.
최고의 순간들은 어려운 일이나 가치 있는 일을
성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에서
육체적 또는 정신적 한계선에 도달할 때 형성됩니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
반응형
반응형
세계 최고 퍼포머들은 타인의 성장에 기꺼이 투자한다.
그들은 그라운드를 직접 뛰는 최고의 선수인 동시에
벤치에 앉아 타인을 응원하는 최고의 코치다.
타인을 성장시키지 않으면 반쪽 삶을 살뿐이다.
조화로운 것들은 대부분 짝을 이루고 있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성공하는 인생에는
나 그리고 타인이라는 두 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다.
- 마이클 저베이스 (심리학자)

선생은 학생에게서 배우고, 배우는 관객들로부터 자극을 받고,
정신분석학자는 환자에 의해 치유됩니다.
주는 것은 받는 것 보다 더 즐겁습니다.
참으로 줄 때 나에게로 되돌려지는 것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남을 성장시키려는 노력은 결국 나의 성장과 성공으로 귀결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