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장인은 재미와 보람으로 일한다.
일하는 게 기쁘고, 일하면서 삶의 의미를 찾는다.
장인들에게 일은 단순히 먹고 살기 위한 생계 수단을 넘어선다.
장인은 일에서 그런 행복을 찾은 사람이다.
일을 통해 자신의 삶을 완성한다.
- 장원섭 교수, ‘다시, 장인이다’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장인은 일에서 벗어나 행복을 추구하기보다 일하는 행복을 누린다.
일에 몰입하면서 기쁨을 얻고 그 일을 통해 보람을 느낀다.
일과 삶을 분리하여 어느 것 하나에서만 행복을 찾는 경우는
절반의 행복을 얻을 뿐이다.
장인은 일할 때 가장 행복한 사람이다.”

...
반응형
반응형
장애나 역경이 없는 인생은 가능성도 에너지도 제로로 만들 것이다.
문제가 없어지면 삶에 창조적 긴장감이 사라져 버린다.
대중의 무지는 교육의 존재 의미이고,
병은 의학의 존재 의미이며,
사회적 무질서는 정부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다.
- 존 맥스웰

삶이 편안하고 아무런 문제가 없을 때, 창조성은 잠을 자게 됩니다.
어려움과 갈등이 많을 때 지성은 활발히 작용합니다.
잠자는 창조성을 깨우는 것은 역경과 위협입니다.
조직이 활력을 유지하려면 의도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기업은 이익을 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망할 것이다.
그러나 오직 이익을 내기 위해서 비즈니스를 한다면,
그 경우에도 망할 것이다.
왜냐하면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기업의 목적은 봉사다.
훌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 이윤이다.
- 헨리 포드

기업에 있어 이익창출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윤만을 추구하는 것은 영혼 없이 살아가는 사람과 같습니다.
이해관계자에 대한 봉사를 사명으로 하고,
고객을 위한 더 나은 서비스 경쟁에서 이기면
당연히 주어지는 것이 이익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자신의 일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권한을 부여 받을 때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업무에서의 자기결정권은 활력과 성장을 강화시킨다.
직원들은 조직에 목소리를 낼 수 있으며
자신이 조직의 소중한 자산이라는 신호를 받는다.
직원들에게 재량이 생기면 에너지에 스파크가 일어난다.
- 제인 더틴, ‘포지티브 혁명’에서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고 주어진 일만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주인의식은 사라집니다.
주인의식은 막대한 금전적 보상으로 생겨나지 않습니다.
일을 스스로 선택하고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때
그 일의 주인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그 일의 성공을 위해 매진하게 됩니다.
역량향상도 자연스럽게 뒤따라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악천후나 폭풍을 겪지 않고는 큰 나무로 자랄 수 없다.
온갖 불행과 역경은 나약한 인간에게는 독이지만
강인한 사람에게는 위대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양분이다.
- 니체

삶의 갈림길에서 대부분은 불확실성이 적고
편안한 길을 택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그런 삶에서는 삶의 의미도 비례해서 작아지고
발전과 성취의 가능성도 그만큼 작아집니다.
과제가 어려울수록 도전할 가치가 있고,
과제를 해결했을 때의 희열도 비례해서 커지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탁월한 인물이 가진 특성 가운데 하나는
결코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들은 자신을 자기 자신, 즉 자신이 과거에 이룬 성취와
미래의 가능성과만 비교한다.
- 브라이언 트레이시

다른 사람과 비교해 더 나은지를 걱정하는 대신,
나의 잠재가치에 비해 얼마나 도달했는지를 비교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성공은 다른 사람보다 더 잘 하는 것이 아닌,
최선을 다해 자신의 무한 잠재력을 실현시켜 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