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일반적으로 변방은 중심부에서 떨어진 낙후된 주변부로
인식된다. 그러나 인류 문명은 그 중심지가
부단히 변방으로 변방으로 이동해 온 역사이다.
모든 살아있는 생명은 부단히 변화한다.
중심부는 변화에 둔감하기 때문에 곧 쇠락하게 되고,
변화가 활발한 변방이 새로운 중심지가 된다.
- 신영복, ‘변방을 찾아서’에서

 

신영복 선생은 변방이 중심지가 되기 위해선
중심부에 대한 열등의식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내가 지금 변방에 위치하고 있다면 이는
콤플렉스의 대상이 아닌,
곧 중심이 될 운명이라는 희망의 사인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변방은 가능성의 전위(前衛)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을 성장하게 만드는 일이란 언제나
그가 가진 능력보다 조금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그래서 시도해 보기 전에는 어렵고 힘들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일을 시도하면,
결과와 상관없이 그 사람은 한 뼘 성장해 있다.
- 이토 모토시게, ‘도쿄대 교수가 제자들에게 주는 쓴소리’에서


 

T. S 엘리엇은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일에 도전해 보지 않는다면
자신이 얼마나 대단한 인물인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라는
화두를 던집니다.
현재의 능력보다 좀 더 높은 일에 도전하고,
또 다시 그것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누구나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현실화 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세상 누구와도 자신을 비교하지 말라.
다른 사람과 자기를 비교하는 것은
스스로를 모욕하는 것이다.
- 빌 게이츠

 
우리 모두는 각자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태어난
이 세상에 유일무이한 소중한 존재입니다.
남과 비교해 스스로를 모욕하는 대신,
나에게 주어진 소명을 얼마나 달성했는지,
어제의 나에 비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비교하는 것이
소중한 인생을 제대로 살아가는 비결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주일에 80에서 100시간 가량 투입해야 한다.
이게 성공에 가까이 가게 해줄 것이다.
만약 다른 친구들이 일주일에 40시간을 투입하고
당신이 같은 일에 100시간을 투입하게 되면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1년 걸려 할 일을
4개월 만에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테슬라 회장, 엘론 머스크


 

제프리 이멜트는 젊은 나이에 GE 회장이 된 비결을 묻자,
‘일을 즐겼기 때문에 가능했다.
일주일에 100시간씩 24년 동안 일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누가 시켜서 억지로 하는 일이 아닌,
내가 좋아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일주일에 100시간씩 20년만 일한다면 누구나 그 분야에서
최고 수준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이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성은 쉽고 조용하게 계발될 수 없다.
시련과 고통의 경험을 통해서만
영혼은 강해지고 야망이 고무되고
성공이 이뤄질 수 있다.
- 헬렌 켈러

 

‘역경은 재능을 이끌어내는 놀라운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런 재능은 순조로운 환경에서는 결코
드러나지 않을 것들입니다.’(호러스)
역경은 우리를 겸손하게 만들고 또 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역경이 없었다면 결코 찾을 수 없는 새로운 기회를
찾아 나서게 해줍니다. 역경을 사랑해야 할 이유들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아무리 이기적이라 해도
그의 본성에는 특정 원칙이 존재하고 있어
타인의 행운에 관심을 가지고
타인에게 행복을 안겨주고 싶어한다.
비록 자신은 타인이 기뻐하는 모습을 보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 해도 말이다.
- 아담 스미스, ‘국부론’에서

 

우리는 너무나 당연하게
‘인간은 이기적이다’는 명제를 받아들여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다양한 실험과 현실의 사례 속에서
우리 속에 이타성이 크게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결국은 나를 위한 것이 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