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링컨 대통령부터 피터 드러커 까지 많은 사람들이
이 말을 되풀이한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미래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다.
미래는 행동의 결과로 펼쳐진다.
- 피터 디아만디스, ‘볼드’에서


그렇습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미래를 만드는 것입니다.
내가 선택한 것이 곧 나의 미래가 됩니다.
미래에 대한 확고한 비전을 가지고
그것을 향해 끝없이 정진하면,
언젠가는 예측이 현실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대개 자기 한계에 훨씬 못 미치는
삶을 살게 마련이다.
온갖 종류의 힘을 다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마는 것이다.
인간은 무의식중에 자신의 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스스로 단정 짓고는
자신이 그러고 있다는 것조차 인지하지 못한다.
- 윌리엄 제임스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깨닫지 못하고 살아갑니다.
누구든지 특정 분야에서 만큼은
이 세상 누구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영역을 갖고 태어납니다.
무한 잠재력을 깨닫는 순간부터 인생이 달라지기 시작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데이터를 보면 과거의 영광에 의존하거나
과거에 성공한 것이 현재나 미래에도
성공하리라고 생각하는 기업은 어김없이 망한다.
훌륭한 리더들은 모두 더 먼 곳을 보는 능력이 있으며,
그 비전을 향해 회사를 끌고 갈 확신을 가지고 있다.
위대한 리더들의 공통적 특성은 비전에 있다.
- 에드윈 로크

 

심리학자 에드윈 로크가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월트 디즈니등 위대한 기업가들의 공통점을 찾아 본 결과
그것은 다름 아닌 앞을 내다보는 능력, 즉
비전에 있었습니다. 그들은
확고한 비전을 갖고 어떤 난관에도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들에겐 불가능을 논할 시간조차 없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위협을 느낀다는 것은 중요하다.
위협이 없으면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어느 의미에서 위협은 삶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위협 속에서 용수철 같은 힘도 솟는 것이다.
- 자크 아탈리


유약한 삶을 흔히 ‘온실 속의 화초’에 비유합니다.
편안함과 안전을 추구하는 것은 결국
온실 속의 화초가 되고 싶다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온실 속의 화초가 아닌 멋진 인생을 꿈꾸는 이에겐,
위기, 위협, 역경, 고통은 피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찾아나서야 할 대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10배 더 큰 목표는 10배 더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지만
때로는 목표를 더 크게 잡는 것이 더 쉬울 때가 있다.
왜 그럴까?
10% 개선을 목표로 하면 현 상태를 지키려고 든다.
그렇지만 10배를 개선하겠다고 생각하면
기존의 방법을 다 폐기하고 관점 자체를 바꿔
용기와 창의성으로 무장하기 때문이다.
- 구글 엑스 리더, 애스트로 텔러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10배 이상의 목표,
즉 문샷 씽킹을 하게 되면,
최소 두 배 이상 달성할 수 있습니다.
반면, 두 배를 목표로 잡으면
5%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탁월함은 비정상입니다.
비정상적 목표가 비정상적 수단을 불러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 직원들 중에 전문가는 없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만 자기 자신을 전문가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 사람을 내쫓아야했다.
마음 속에 전문가라는 생각이 자리 잡는 순간
수많은 것들이 불가능해진다.
정말로 자기 일을 잘 아는 사람은
절대 스스로를 전문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헨리 포드


“승자는 남들이 전문가라고 인정해도
자신은 아직 배울 것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패자는 자신의 무지는 깨닫지 못하고
사람들이 전문가로 인정해 주기만 원합니다.”(시드니 해리스)
‘전문가란 그 일이 왜 불가능한지 꼬치꼬치 이유를
댈 수 있는 사람이다.’는 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