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직장인들의 학습이나 연구는 일종의 훈련이다.

프로 선수는 훈련과 시합에 투자하는 시간 비율이 4대 1정도다.

직장인의 학습이나 연구 시간은 하루에 10분 밖에 되지 않는다.

학습 및 연구와 업무에 투자하는 시간 비율이 1:60 정도인 셈이다.

결국 훈련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합에 임하는 격이다.

- 혼다 나오유키, ‘레버리지 씽킹’에서


직장인들의 훈련시간 절대 부족이 생산성을 저해합니다.

우리 휴넷은 매주 금요일을 프라이 러닝데이(fri-learning day)로 지정해

하루 종일 자유롭게 연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즉 근무시간의 20%를 학습에 투자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 선수들에 비해 현저히 적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걱정하지 않으면 걱정해야 한다.
걱정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어떤 것이 잘못될까 봐 걱정하는 것은 당신을 보호해주고,
걱정하지 않으면 문제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 레이 달리오, ‘원칙’에서

리더는 걱정하는 사람입니다. 미리 미리 걱정하고
미리 미리 대책을 세우는 일, 그것이 리더의 일입니다.
모든 리더들은 ‘근심할 일은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긴다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의 지혜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고마움을 표시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건강하고 낙천적이며, 긍정적이고 스트레스에 잘 대처한다.
또한 타인을 기꺼이 도우려는 마음이 생겨나고 더욱 관대해지며,
중요한 목표를 향해 더욱 진보한다.
- 로버트 에몬스 (캘리포니아 대학 심리학 교수)

“고맙다”는 말을 자주 할수록 기운이 더 생기며,
더욱 긍정적으로 바뀌고, 회복탄력성도 커진다고 합니다.
타인을 위해서 표하는 ‘고맙습니다’라는 말이 
결국 나의 행복과 성공의 원천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서로 의견이 충돌할 때 화를 내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의견 충돌은 위협이 아니라 배우는 기회다.
승자는 무엇인가를 배운 후 생각을 바꾼 사람이다.
의견 충돌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잠재력의 거대한 원천이 된다.
- 레이 달리오, ‘원칙’에서

‘승자는 무엇인가를 배운 후 생각을 바꾼 사람이다.’ 멋진 생각입니다.
결국 의견 충돌에서 패한 후 자기 생각을 바꿀 줄 아는 사람이
진정한 승자라는 의미입니다.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반대하는 말을 꺼내기도, 듣기도 싫어합니다.
논쟁에서 패하는 것이 승자가 되는 길이라 생각한다면
의견 충돌을 두려움이 아닌 배움의 기회로 생각해 즐길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했던 일만 계속하는 것은 뇌가 빠르게 쇠퇴하는 지름길이다.
전에는 해보지 않았거나 도전하기 꺼렸던 일을 시작해보자.
뇌가 가장 선호하는 생활 방식이다.
가령 새로운 외국어를 배우는 일, 새로운 모임에 참석하는 일 등은
뇌 전체가 가장 의욕적으로 활성화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 박민수, ‘공부 호르몬’에서

낯익은 일은 편하지만 나를 정체 혹은 쇠퇴케 하고,
낯설은 일은 불편하고 서툴지만 나를 키웁니다.
낯설음을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대신 낯익음을 경계하고 두려워
할 줄 아는 사람들이 내일의 주인공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최대의 적은 다른 누구도 아닌 자기라는 것을
완벽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마도 인간에게 가장 어려운 마음가짐이지만,
이런 마음가짐이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잣대가 된다.
- 시오노 나나미

“역사적 영웅들에게는 어떤 덕목이 있었나?” 라는 질문에 대한
시오노 나나미의 답입니다.
잘 나가던 사람들이 사소해 보이는 작은 유혹 하나에
나가 떨어지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봅니다.
오랜 시간에 걸쳐 끝없이 나타나는 무수한 유혹을 이겨내
자기를 지켜낼 수 있는 사람이면 그가 바로 진정한 승자요, 진정한 영웅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