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기자가 '기레기'라는
말을 들어도 되는 사회라면
그 사회가 거대한 쓰레기장이라는 얘기다.
오랫동안 신문기자들은 정치권력에 순응하든
저항하든 월급이 많든 적든 엘리트 집단이었는데
좋은 의미의 엘리트 의식이 사라지는 건
슬픈 일이다.


- 조선희의《상식의 재구성》중에서 -


* 사노라면 슬픈 일이 많습니다.
그 슬픔이 개인을 넘어 사회적 병리로 이어지는
상황이라면 보통 슬픔이 아닙니다. 진실의 전달자이자
기록자여야 할 기자가 '기레기'로 불리고, '무관의
제왕'이란 엘리트 의식조차 스스로 잃어가는 것은
더욱 슬프고 안타까운 일입니다. 언론이
바뀌고 기레기가 사라져야
슬픈 일이 줄어듭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  (0) 2021.08.11
나무도 체조를 한다  (0) 2021.08.10
빈둥거림의 미학  (0) 2021.08.09
성냄(火)  (0) 2021.08.09
진실이 가려진 최악의 경우  (0) 2021.08.05
반응형

느리게 살기를
시도하지 않아도 저절로 느려졌다.
빠른 리듬을 몸과 마음이 따라잡을 수가 없다.
빈둥거리듯 지내면 바쁠 때와는 다른 그림들이
보인다. 다시는 쫓기듯 바쁘게 살고 싶지 않다.
그런데 이걸 알게 될 때면, 이미 바쁠 일이
없게 된다는 사실에 허허로운
웃음을 짓게 된다.


- 양희은의《그러라 그래》중에서 -


* 몸의 속도는
스스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빨리 달릴 수도 느리게 기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가면 어쩔 수 없이 속도가 느려집니다.
나의 몸의 속도가 떨어지기 전에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고 싶습니다. 가끔은 작정하고 빈둥거려 보고도
싶습니다. 그러려니 건강하게 나이 들어
가야겠다 싶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도 체조를 한다  (0) 2021.08.10
슬픈 일  (0) 2021.08.09
성냄(火)  (0) 2021.08.09
진실이 가려진 최악의 경우  (0) 2021.08.05
동포에게 고함  (0) 2021.08.04
반응형

당신은 정말로 성공하고 싶은가?
성공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가?
이 3가지 질문 모두에 ‘예’라고 대답할 수 없다면
성공할 가망성은 0이다.
성공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신감 결여와 자기불신이다.
- 존 맥그레이스


모든 일은 마음먹은 대로 됩니다.
자동차왕 헨리 포드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옳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옳다. 그가 생각하는 대로 되기 때문이다.’고
긍정적 사고방식과 자기 확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성공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 없이 성공하기를 바라는 것은
로또를 사지도 않고 당첨되기를 바라는 것과 진배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냄은
대상을 '싫어하는' 특성이 있는
정신 현상으로 적의, 악의, 우울, 분노, 짜증,
절망, 허무, 공포, 슬픔, 스트레스, 질투, 인색, 후회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성냄은 대상을 싫어하는
마음이므로 대상을 향해 거칠고, 잔인하고, 포악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성냄은 사람들을
현재보다 더 나쁜 상태로 타락하게 합니다.
자신이 쌓아 온 공덕을 한순간에
사라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 일묵의《화, 이해하면 사라진다》중에서 -


* 성냄은 불(火)입니다.
내 마음 안에 불이 타인에게 적의와 악의로,
때로는 절망이나 슬픔으로 번집니다. 단 한 번의
성냄이 사람을 포악하게 만듭니다. 잘 쌓은 공덕을
무너뜨리고 사람 관계를 더 나쁜 상태로 악화시킵니다.
그러나 성냄을 승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의를 위해 분노하고, 전체 공동체의
건강함을 위해 성내는 것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픈 일  (0) 2021.08.09
빈둥거림의 미학  (0) 2021.08.09
진실이 가려진 최악의 경우  (0) 2021.08.05
동포에게 고함  (0) 2021.08.04
코로나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강점과 약점  (0) 2021.08.03
반응형

 

https://m.news.naver.com/covid19/index.nhn

 

 

 

 

 

 

.

반응형
반응형

대학 총장이 되고 보니, 리더란 사랑받을 수도 없거니와
사랑을 기대해서도 안된다는 점을 절실히 깨달았다.
무릇 리더라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매번 동의나 인정을 받지 않고도 지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일을 추진해 나갈 때 일에 항상 동의를 얻으려고 하는 것은 해로울 뿐만 아니라
비생산적이다.
- 워렌 베니스


리더는 인기가 아닌 최종 성과로 승부해야 합니다.
리더가 통찰력을 가지고 내다보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훌륭한 리더는 상당한 수준의 반대에 늘 직면해 있기 마련입니다.
성과가 나오기 까지 긴 시간 동안 반대와 저항을 외롭게 이겨내야 하는 것은
리더의 숙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