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성공을 계속 노력하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어떤 목표에 도달하고 나면 또 다른 목표를 향해 가야한다.
하나의 목표를 달성했다고 해서 거기서 가만 있으면 행복한 마음도 곧 사라져 버린다.
그런 점에서 성공은 결과물이 아니라 과정이다.
- 김종훈, 벨 연구소 소장


유리 시스템스를 창업, 루슨트 테크놀리지에 매각 후
6,000억대의 부자가 된 다음에 김 소장이 한 말입니다.
성공하면 진짜 행복해질까? 아니, 성공의 의미는 무엇일까?
성공을 꿈꾸는 모든 이에게 던져보고 싶은 화두입니다.
성공은 일순간의 대박을 뜻하는 것이 아니며,
재물이나 입신양명에 관계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과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
평생에 걸쳐 꾸준히 노력하는 과정이라는 데에 한 표를 던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몽골 기병대는
하루에 약 98킬로미터를 이동할 수 있었고,
몽골 말들은 개만큼이나 민첩했다. 경(經)기병과
중(重)기병이 교차로 공격했고, 위장 후퇴 전술과
잦은 매복 공격을 감행했다. 몽골군은 본래 게릴라
전사들로, 철저한 계획에 따라서가 아니라 즉흥적으로
군대를 이뤘다. 중국 진나라 병사들은 몽골 군대의
변칙적인 공격에 깜짝 놀라 혼비백산했다. "그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처럼 몰려왔다가 번개처럼
사라졌다." 진나라 병사들만이 아니라 이후
칭기즈칸 군대와 맞붙은 적이라면 모두가
이와 똑같은 반응을 보였다.


- 벤 호로위츠의《최강의 조직》중에서 -


* 로마군의
하루 이동 속도는 25km, 몽골군은
그 4배에 이릅니다. 보병이 아닌, 모두가
말을 탄 기병대였기 때문입니다. 말을 타고
달리는 속도가 곧 점령 속도였고, 그래서 가장
짧은 시간에 가장 넓은 세계 최대 지도를 그린
제국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몽골 기병대보다
더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변화의 시대입니다.
그 속도를 놓치면 단 하루가 10년, 100년을
뒤쳐지게 만듭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의 두뇌는 편안한 곳을 안전한 곳으로 착각한다.
하지만 편안한 곳은 위험한 곳이다.
변화를 가로막고 그 자리에 머물도록 정체시킨다.
결국 더 큰 위험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 수전 데이비드


“고통은 여러분을 강하게 만들어 줄 뿐이죠.
물론 눈앞에 비바람이 몰아칠 수도 있을 거에요.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아주 오랜 기간 동안 몰아칠 수도 있겠죠.
퍼붓는 물줄기에 눈앞이 보이지도 않고 눈물이 날 수도 있을 거에요.
하지만 그 비바람은 당신을 부수지 않아요. 오직 당신을 깨끗하게 만들 뿐이죠.”
미국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가 2015년 연설에서 한 이야기 함께 보내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1990년에 설립한 이즈미회는
800명의 암 환자들이 모인 자조모임인데
이 단체의 암 환자 생존율은 95%이다.
이곳에서 지켜야 할 원칙은 너무나 간단하다.
1. 암은 낫는다고 생각한다
2. 현미, 채식을 한다
3. 운동을 한다
이 세 가지만 철저히 지키면
경이적인 생존율을 달성하게 된다.


- 이상윤의《외롭다, 참 좋은 일이다》중에서 -


* 암을 이기는
첫 단계는 마음입니다.
"이길 수 있다"고 믿어야 이길 수 있습니다.
마음이 무너지면 모든 것이 무너지고 맙니다.
그다음은 음식, 그다음은 운동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평소에
마음 관리, 좋은 음식 습관, 꾸준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오늘부터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토리는 전달하면
'스토리텔링'(Story Telling)이 되지만,
실천하면 '스토리두잉'(Story Doing)이 된다.
스토리두잉이 있어야 스토리는 공유되고, 이
과정이 지속되면 기업의 실천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기업의 DNA로 뿌리내린다. 특별한 관계는
말로만 만들어지지 않는다. 크건 작건 경험할 수
있는 액션 프로그램이 지속돼야
스토리는 사실이 된다.


- 최장순의《의미의 발견》중에서 -


* 스토리텔링은
굴곡이 있어야 재미가 있습니다.
늘 기쁘고 늘 행복하기만 하면 누가
그 이야기를 들으려 하겠습니까? 고점과 저점,
기쁨과 슬픔, 행복과 불행이 뒤섞이고 겹쳐져야
흥미진진해집니다. 스토리두잉은 이를 실제 행동과
실천으로 옮기는 것입니다. 그냥 옮기는 것이 아니라
저점을 고점으로, 슬픔을 기쁨으로, 불행을 행복으로
전환시키는 것입니다. 그런 스토리두잉이어야
비로소 스토리텔링도 제 빛을 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 기병대  (0) 2021.05.21
암을 이기는 3가지 원칙  (0) 2021.05.21
수녀들에게 딱 맞는 신발  (0) 2021.05.18
왜 '지성'이 필요한가  (0) 2021.05.17
공감  (0) 2021.05.17
반응형

비전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전체 직원이 공감하느냐에 있다.
직원들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그런 것이다. 이것이 첫 번째 요소다.
두 번째 요소는 비전을 제시하고 그로 말미암아
직원의 행동이 변화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행위를 하는 자가 힘을 기울여야 비전은 비로소 중요한 것으로 변한다.
- 모리스 창, TSMC 회장


소위 비저너리 리더라 함은
첫째,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원대한 꿈을 꿔야 합니다.
둘째, 그 비전이 자신만의 것이 아닌 모두의 것이 되게 하여
구성원의 가슴을 울렁거리게 하고, 한 방향으로 조직의 힘을 결집시켜야 합니다.
셋째, 그 꿈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실천까지 잘 챙길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