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심장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일수록
1인칭 대명사를 습관적으로 쓰고 있었다.
‘나’를 많이 쓰는 사람들은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위험 또한 높았다.
습관적으로 ‘나’를 쓴다는 것은
 내 입장과 내 생각을 강요할 때가 많다는 것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 심리학 교수 래리 셔비츠


“내가 이렇게 하랬잖아.” “내 말 좀 들어” 처럼,
타인에 대한 마음을 닫고 ‘나’의 중요성만 강조할 때
 심장과 몸은 고통받게 됩니다.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나만큼 그들을 존중하려고 하며
 그들이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결국 나의 건강을 챙기는 것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아웃라이어

 

 

 

아웃라이어
국내도서
저자 :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 / 노정태역
출판 : 김영사 2009.01.26
상세보기

 

“타고난 지능, 탁월한 재능, 끊임없는 열정과 노력이 정말 성공을 보장하는가?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성공의 비결은 모두 틀렸다!”

빌 게이츠는 타고난 컴퓨터 천재인가? 모차르트는 위대한 클래식 신동인가? 빛나는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게는 정말 평범한 사람이 감히 근접할 수 없는 재능과 지능, 아니면 그 무언가가 있는 것인가?

『아웃라이어』는 보통 사람의 범위를 넘어서는 비범한 사람, 즉 천재들에 관한 이야기다. 『블링크』『티핑포인트』로 유명한 말콤 글래드웰이 4년간의 공백을 깨고 탄생시킨 이 책은 ‘비약적으로 성공한 사람’ ‘상위 1%의 부자(로버 베론)’ ‘천재’들이 지니는 ‘일반적인 성공 매커니즘과 이유(선천적 재능, 타고난 직관력, 우월한 신체조건, 높은 IQ)’ 또는 ‘가난한 환경을 노력으로 극복했다는 신파적 반전 드라마’를 정면으로 반박하였다.

이 책은 성공한 사람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숨겨진 이점과 특별한 기회요소, 그리고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공동체의 혜택을 누려왔다고 지적하며, 재능과 지능, 놀라운 성공신화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특별한 기회’와 ‘역사·문화적 유산’의 두 측면에서 ‘상위 1%의 성공 비결’을 파헤친 이 책은 인류의 영원한 관심사 ‘성공과 부’의 비밀을 밝히는 경영교양서이자 성공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부: 기회
1장 마태복음 효과
2장 1만 시간의 법칙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5장 조셉 플롬에게 배우는 세 가지 교훈

2부: 유산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

반응형
반응형

사전에서 장애(disabled)라는 말을 찾아본 적이 있어요.
‘불구의, 쓸모없는, 망가진, 약한’ 같은
 부정적이고 패배감이 묻어나는 단어였죠.
난 장애를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나에게 장애는 장애물이 아니라
 능력을 일깨우고 끊임없이 나를 갈고 닦을 수 있도록 자극하는
 기회나 마찬가지입니다.
- 에이미 멀린스 

 
두 다리가 없는 미국 국가대표 육상 선수 에이미 멀린스는
 어떻게 장애를 극복했냐는
 사람들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습니다.
진짜 장애는 육체적 결함이 아닌,
장애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패배감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이가 든다고 모두가 똑같이 늙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감정을 억제하는 것, 외로움, 좌절감, 근심, 분노,
직업에 대한 불만, 경제적 불안감은 노화를 부추긴다.
반면 솔직하고 친구를 잘 사귀며
 작은 일에 행복을 느끼는 것,
직업에 대한 만족감, 경제적 안정감은 노화를 막는다.
- 디팩 초프라, ‘사람은 왜 늙는가’에서

 

연구에 의하면 장수인들은 절망과 분노를 멀리합니다.
그들은 늘 호기심이 많고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걱정거리는 빨리 털어버리고
 삶을 즐겁게 살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몸은 마음의 상태를 그대로 반영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당신 말대로 난 키도 작고,
피부도 검은데다가, 너무 뚱뚱해요.
하지만 어머니는 늘 내게 이렇게 말씀하셨죠.
‘딸아, 있는 그대로의 네 모습을 당당하게 보여줘라.
그러면 너는 물론 다른 사람들이 네가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느끼게 될거란다.’ 라고 말입니다.”
- 미국 흑인 여가수 샤론 존스 



 
샤론 존스는 한 인터뷰에서
 뚱뚱하고 전혀 예쁘지도 않은 얼굴로 20년 동안
 사랑받는 가수가 된 비결을 이처럼 이야기 했습니다.
다른 사람을 흉내 내서는 행복해 질 수 없습니다.
자신을 유일한 존재로 만들어주는
 자신만의 가치를 찾는데 더 많은 시간을 써야 합니다.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에서 인용)





.

반응형
반응형

창업하며 1조원 짜리 회사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잡았다.
목표를 자신조차 믿지 못할 정도로 높게 잡아야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된다.
목표를 이루지 못해도 실패라 말하지 말고
 이번에 이루지 못했을 뿐
 다시 도전하면 된다고 자기 최면을 걸어야 한다.
- 김종훈 벨연구소 사장

 

비현실적으로 높게 설정한 목표를 달성 못하게 되면,
이는 실패가 아니라,
목표를 향해 나아간 만큼 성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꿈과 비전은 달성 가능성 보다는
 가슴을 뛰게 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