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이 충분한 사람이다’라는 말은 대단히 강력한 힘이 있다.
자신이 여러 면에서 충분한 사람이라는 것을 믿으면
 자신감을 손상시키는 불필요한 불안감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 가치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
호감이 가지 않는 사람이라는 생각은
 수많은 현대인이 겪는 불안감과 우울증의 원인이다.
- 마리사 피어 (영국 심리 치료사)
촌철활인

 


타인에게 칭찬받기를 바라는 것은
 부족한 자신감의 또 다른 표식입니다.
스스로를 칭찬하면 독립적이고
 자기 확신이 강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남에게 칭찬받는 것은 바람직하고, 기분 좋은 일이지만
 진정한 자신감을 위해선
 스스로를 주기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차동엽, ‘천금말씨’에서 인용)

 

반응형
반응형

 

16년간 지켜본 결과 감사를 습관화한 학생의 연평균 수입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2만 5천 달러가 많았다.
그뿐 아니라 감사를 습관화한 사람의 평균 수명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9년이나 더 길었다.
- 캘리포니아 데이비스대학 로버트 에먼스 교수


매우 흥미로운 연구 결과입니다.
머피의 법칙으로 유명한 죠셉 머피 박사는
“하루 한번 자신이 받은 모든 은혜에 감사하라.
그러면 은혜가 끊이지 않을 것이다”고
 감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매사에 감사하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저절로 따라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애벌레 상태로 머물러 있다.
안락한 상태를 떠나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애벌레가 나비가 되기 위해서는
 딱 한번의 기회뿐이다.
그것은 큰 위기, 즉 작은 죽음으로써 가능하다.
- 티키 퀴스텐마허, ‘단순하게 살아라’에서

변화는 두려움을 수반합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내려놓고 번데기가 되는 사람,
즉 앞이 보이지 않는 어두운 길로 들어설 용기가 있는 사람만이
 인생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급변하는 세상에선 현실에 안주하는 것은
 더 큰 위험으로 서서히 빠져드는 것에 다름 아닙니다.

 

 

 

 

 

 

 

반응형
반응형
정직하고 성실해야 한다. 그리고 행운이 필요하다.
아무리 정직하고 성실해도
누구도 당신이 성공하리라 보장 못한다.
그러나 행운은 정직하지 않고 성실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절대 오지 않는다.
- 윤윤수 휠라 회장
 
미국에서 20대 흑인 청년이 다가와 옷깃을 잡으면서
“당신은 매직 퍼슨(magic person)이다.
어떻게 하면 당신과 같은 사업가가 될 수 있나?”
라고 묻자 윤회장이 답해준 자신의 좌우명입니다.
정직하고 성실한, 그리고 꾸준히 덕을 베푸는
사람들에게 행운이 돌아갑니다.

 

반응형
반응형

 

훌륭한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이익이 돌아가게 하는 사람이다.
상대에게 먼저 이익을 주면 결국 그 이익이 한 바퀴 돌아
나에게 기회라는 모습을 하고 찾아온다.
더 나아가서는 나 자신의 이익이 창출된다.
- 이나모리 가즈오 교세라 회장

 

 


상대방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한다면
나에게 손해가 아니냐고 물을 수 있습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얻고자 한다면 먼저 내놓아야 한다’는 도덕경 구절,
사업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새겨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행복의 반대말은 불행이 아니라 불만이다.
불행은 한순간에 찾아오지 않는다.
늘 불만을 늘어놓다보면 나도 모르게
어느새 불행과 친해져 버리는 것이다.
마치 천천히 늪에 빠지는 것처럼.
- 정철, ‘머리를 9하라’에서

 

 


 

역시 주범은 부정적인 생각입니다.
과도한 걱정과 소용없는 후회가
불행해지는 지름길입니다.
조건에서 행복을 구하지 말고,
불만을 긍정으로 바꾸는 데서 행복을 찾아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