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핵심근육(Core Muscle).
핵심근육이란 몸통을 둘러싸는 근육인데, 
위로는 횡격막(주호흡근), 앞과 옆으로는 복횡근, 
뒤로는 척추의 작은 근육(감자탕에 붙어 있는 작은 근육), 
척추 앞의 장요근 아래의 항문과 요도를 수축하는 
근육을 말한다. 평소에 이 근육을 강화시키면 
여러 가지 좋은 점이 있다. 

- 이승원의《의사가 말해주지 않는 건강하게 장수하면서 행복하기》중에서-


* 그렇습니다.
핵심근육을 강화하면 
정말이지 여러가지가 좋습니다.
무궁무진합니다. 그 핵심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운동이 
스쿼트입니다. '굴슬운동'으로도 불리는 하체운동입니다.
사람은 남녀를 막론하고 하체가 단단해야 건강합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하루 10분만 투자해도 됩니다.
도전해 보세요. 인생이 달라집니다. 
좋은 일이 많이 생깁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적 변화와 성장  (0) 2020.02.14
구조선이 보인다!  (0) 2020.02.13
면역력이 강한 아이  (0) 2020.02.11
가슴으로 듣기  (0) 2020.02.11
미련없이 버려라  (0) 2020.02.11
반응형

성공의 공식에서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_테어도어 루즈벨트

반응형
반응형

어린 시절 어머니는 내게 항상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스로 삶의 목표를 세우지 않으면 다른 누군가가 대신 네 삶의 목표를 세울거야.”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로 일정을 채우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로 나의 일정이 채워질 것이다.
- 멜린다 게이츠, ‘누구도 멈출 수 없다.’에서

꿈이 없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꿈을 이뤄주기 위해 살아가게 되어 있습니다.
내 인생은 나의 것입니다.
‘오늘부터 내 인생 내가 결정한다’고 크게 외쳐보면서 
힘차게 하루를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아이가 아플 때는 
성급하게 약을 먹이기보다 
생강차 등 따뜻한 음식으로 
면역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 상형철의《병원 없는 세상, 음식 치료로 만든다》중에서 -


* 면역력이 핵심입니다.
'아이가 아플 때'보다 '아이가 아프기 전에'
면역력이 강한 아이로 키워야 합니다.
아무리 독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도
면역력이 강한 사람에게는 감히 
근접하지 못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선이 보인다!  (0) 2020.02.13
스쿼트와 핵심근육(Core Muscle)  (0) 2020.02.13
가슴으로 듣기  (0) 2020.02.11
미련없이 버려라  (0) 2020.02.11
'디제스터'(Disaster)  (0) 2020.02.07
반응형

성취의 규모는 생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최대한 야심차게 큰 꿈을 꾸는 게 좋다.
큰 인물이 되려면 크게 생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성장에 만족할 줄 몰라야 한다.
- 라파엘 배지아그, ‘억만장자 시크릿’에서

꿈꾸기를 멈춘 사람은 죽은 사람과 마찬가지입니다. 
지식에는 한계가 있지만 꿈꾸는 데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큰 꿈이 우리를 움직입니다.
큰 결과를 얻으려면 큰 야망이 필요합니다(헤라 클레이토스).
꿀 수 있는 가장 큰 꿈을 꿔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멈춰서 들으면 
그것을 알 수 있다. 
귀로 듣거나 머리로 듣기보다는 
가슴으로 듣고, 모든 순간을 조건화된 대로 
경험하는 것 너머로 이끌어주는 다정하고 
친밀한 알아차림으로 듣는다. 그것이 
명상의 핵심이며, 거기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발견하는 곳이다. 

- 아디야 산티의《가장 중요한 것》중에서 - 


* 멈추면 비로소 들립니다.
바깥 소음 때문에 놓쳤던 소리,
내 안의 들끓음 때문에 듣지 못했던 소리...
가슴으로 듣습니다. 그 소리를 우리는 영감이라고도 하고
신의 음성이라고도 합니다. 새로운 발견, 
놀라운 깨달음의 순간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쿼트와 핵심근육(Core Muscle)  (0) 2020.02.13
면역력이 강한 아이  (0) 2020.02.11
미련없이 버려라  (0) 2020.02.11
'디제스터'(Disaster)  (0) 2020.02.07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0) 2020.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