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아이가 
얼음물에 빠질까 봐 걱정하면 
빙판에서 놀지 않기로 약속하세요. 
빙판에서 놀지 않으면 얼음물에 빠질 일이 없으니까요. 
그래도 아이가 계속 두려워하면 구명조끼를 입으면 
물 위에 떠서 죽지 않는다고 가르쳐 주세요. 
실제로 구명조끼를 사 주면 아이의 
심리가 더 안정될 거예요. 

- 인젠리의《아이의 마음을 읽는 연습》중에서 -


* 빙판은 위험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의 좋은 놀이터입니다.
두려움에 밀리면 좋은 놀이터를 잃습니다.
물에 빠질 수도 있으니 얇은 얼음을 조심하게 하고,
그래도 두려워하면 구명조끼를 입혀 아이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은 어른의 몫입니다. 
빙판에서도 놀아봐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어서 고치는 것이 낫다  (0) 2019.09.09
'언젠가'는 대체 언제쯤일까?  (0) 2019.09.07
'고도를 기다려'  (0) 2019.09.05
내 아이가 변해가는 모습  (0) 2019.09.04
삶의 양념  (0) 2019.09.03
반응형

사람이 가는 길에는 자연의 섭리처럼 장애물이 있게 마련이며,
책이나 스승을 통해서가 아니라 이 장애물을 극복하려는
끊임없는 분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많은 것을 배운다.
자연이 사람의 가는 길에 장애물을 두는 것은 말 조련사가 군데군데 허들과
레일을 쳐놓고 말이 뛰어넘도록 해서 속도 감각을 익히게 하는 것과도 같다.
- 나폴레온 힐 

장애물을 말 그대로 장애물로 생각해서 회피하는 사람,
반대로 장애물을 나를 훈련시키기 위한 선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생각에 따라 인생이 달라집니다.
장애물은 피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높이 날아오를 힘을 모아주는 도약대로 크게 반겨야 할 대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삶의 의미를 
개인이 느끼는 행복한 경험 같은 
것으로 쉽게 착각하고는 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이런 생각의 공허함을 알아차렸습니다. 
이들은 아마 사뮈엘 베케트의 유명한 부조리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등장인물 에스트라공처럼 
묻고 싶을 것입니다. "우리는 행복해. (침묵) 
행복하니 이제 무얼 할까? "
그러자 블라디미르가 대답합니다. 
"고도를 기다려."


- 스벤 브링크만의《철학이 필요한 순간》중에서 -


* 인생은 기다림입니다.
그래서 50년을 기다려도 오지 않는 '고도'를 
끝없이 기다리는 연극이 오랜 시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어떤 상태에서
무엇을 기다리느냐입니다. 오늘 행복한 상태에서
내일을 기다리면 행복한 사람입니다.
스스로 불행을 기다리지 말고
행복을 기다리세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젠가'는 대체 언제쯤일까?  (0) 2019.09.07
빙판  (0) 2019.09.06
내 아이가 변해가는 모습  (0) 2019.09.04
삶의 양념  (0) 2019.09.03
'급할 거 하나도 없다'  (0) 2019.09.02
반응형

요산 배출에 좋은 음식 

뉴욕타임즈 지에 따르면, 통풍의 가장 큰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지만, 식생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비만인 사람들은 통풍 발병 위험이 더 높은데, 이것은 더큰 신체조직이 더 많은 양의 요산 생성을 유발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알코올 섭취가 많은 사람들에게도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통풍은 대표적인 대사 질환 중 하나로 요산이 혈액 내 남아 농도가 높아지며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발병하면 심한 통증과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만성화되면 발가락과 발목, 무릎, 손가락 등에 통풍 관절염이 발생하여 관절이 뒤틀리고, 콩팥이 망가지며 만성신부전 위험도 커집니다.


통풍은 연령이나 성별, 유전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데요. 후천적으로는 비만, 약물, 콩팥 등 장기 이식, 불규칙한 식습관과 알코올 섭취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통풍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통풍은 특히 ‘퓨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퓨린은 음식을 통해 신체로 들어오는 물질인데, 인체가 퓨린을 대사하고 남은 물질을 ‘요산’이라고 합니다. 통풍은 요산이 혈액 내에 남아 관절의 연골 힘줄 또는 주위 조직에 쌓여 염증이 유발되는 질환입니다. 즉, 퓨린을 섭취하고 쌓인 요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통풍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통풍은 혈중 요산 농도가 과도하여 관절 내에 결정체가 생기면서 발병하게 됩니다. 즉, 술을 많이 마시고, 비만이고, 퓨린이 함유된 육류나 어류를 과도하게 섭취하는 사람에게 통풍 발병률이 높습니다. 특정 약물, 예컨대 이뇨촉진제, 또한발, 발목, 무릎, 그리고 다른 관절에 통풍을 유발합니다.

어떻게 통풍을 예방할 수 있을까? 항상 그렇듯이,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붉은 육류, 가금류, 알코올(특히 맥주),케이크, 비스킷, 과자류 등의 산성 음식을 줄이고, 참치, 연어, 저지방 유제품, 그리고 시리얼, 파스타, 쌀 등의 복합탄수화물, 채소, 그리고 체리, 딸기, 포도와 같은 과일의 섭취를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통풍에 좋은 음식

1. 바나나
퓨린 함유량이 낮고, 칼륨이 풍부하여 산성 성질을 띈 소변을 알칼리성으로 바꾸어 주는 효과가 있어 통풍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2. 수박
수박은 수분 함량이 높아 신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통풍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줍니다.

3. 현미
현미는 피티산 성분 등 신체의 독소를 배출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통풍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음식입니다.

4. 우유
우유는 요산의 배설을 촉진해 관절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통풍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5. 양파
양파 속 퀘르세틴 성분이 요산 수치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어 통풍 질환에 유효합니다. 

통풍에 나쁜 음식

1. 햄, 베이컨, 삼겹살 등 돼지 육류
동물성 단백질에는 통풍을 유발하는 퓨린이 포함되어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2. 고등어, 참치, 정어리 등 등 푸른 생선
등 푸른 생선에는 오메가 3와 같은 영양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퓨린 함량 또한 높아 통풍에는 좋지 않습니다.

3. 가리비, 게, 새우 등 갑각류
갑각류 역시 퓨린이 많이 들어 있어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맥주
대부분의 술은 체외로 요산이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는데요. 특히, 맥주는 퓨린이 많이 들어있고, 급격하게 요산을 증가시킬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5. 과일 주스
과일 주스의 단맛을 낼 때 보통 과당이 사용되는데, 과당은 요산을 높게 만들기 때문에 통풍에 좋지 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목표를 높은 곳에 두어야 한다.
똑같은 노력이지만 목표가 큰 사람은 큰 곳을 향한 노력이 되고,
먹고 사는 것에 급급한 사람은 뜻이 작기 때문에 작은 노력이 되고 만다.
자신에게 내재된 무한한 능력을 꺼내 쓰자.
스스로 못할 것이라는 생각은 스스로를 속이는 가장 큰 거짓말임을 명심해야 한다.
- 워너 메이커 

목적과 목표가 내 속에 잠재된 무한 잠재력을 깨웁니다.
목적 없이 산다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또한 목적이 있더라도 그것이 낮은 것이라면 역시 위태롭습니다.
목적이 희미하거나 있어도 낮은 것은 죄악에 가까이 서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 태어난 목적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토론 교육을 하면 
할수록 학생들이 재미있어하고 
열중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교육에 
뿌리내릴 수 있겠다는 확신을 굳히게 되었다. 
학생들이 대립토론을 통해서 변해 가는 모습에 
보람도 느꼈다. 말하는 태도가 바뀌고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고 능동적으로 독서를 하기 
시작했다. 학교 성적도 자연스럽게 
향상되었다. 

- 박보영, 조슈아 박의《실전! 대립토론》중에서 - 


*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가장 큰 보람과 기쁨의 순간이 있습니다. 
내 아이가 변해가는 모습입니다. 그저 건강하게
쑥쑥 자라는 것도 좋지만 집중력과 생각이 깊어지고,
그것이 말과 행동에 배어 나오는 것을 대견스레 
바라보는 순간이 다시 없는 행복입니다.
그 길잡이가 되는 것이 교육이고 
좋은 부모의 역할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판  (0) 2019.09.06
'고도를 기다려'  (0) 2019.09.05
삶의 양념  (0) 2019.09.03
'급할 거 하나도 없다'  (0) 2019.09.02
행복의 반대쪽으로 가라  (0) 2019.09.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