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힘이 들어간 눈에 힘을 빼니 
뚜렷하게 보이던 편견이 사라졌다. 
힘이 들어간 어깨에 힘을 빼니 매일같이 
나를 누르던 타인의 기대와 관심에서 가벼워질 수 
있었다. 채워 넣기에 급급했던 삶이 비워내는 
삶으로 바뀌니 발걸음부터 가벼워졌다. 
작은 여유와 쉼이 내 삶을 
바꿔주었다. 

- 신옥철의《천만 명이 살아도 서울은 외롭다》중에서 -


* 천근만근
발걸음이 무거울 때가 있습니다.
걷기도, 앉기도, 눕기조차도 힘들 때가 있습니다.
힘을 빼고 잠시 숨을 돌리라는 신호입니다. 
마음을 비우고 발걸음을 가볍게 하라는
신호입니다. 솜털 만한 작은 여유가
하루 일상에 생기를 줍니다.
삶이 바뀝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마침내 이기는가  (0) 2019.08.07
변화의 주도자, 다이내믹 코리아  (0) 2019.08.07
어떻게 진실이 그래!  (0) 2019.08.07
인생의 투자  (0) 2019.08.02
희망이란  (0) 2019.08.01
반응형

어떤 한 모습이 나의 전부가 아니듯
사진 속 풍경이 풍경의 전부는 아니다.
풍경은 우리에게 무엇도 먼저 말하거나 요구하지 않았으나
피사체를 두고서 우리는 자의적으로 풍경을 해석했다.
그러할진대 어느 날 그것이 오해였다고
어떻게 진실이 그래, 라고 울부짖는다면
풍경은 뭐라 할 것인가.

- 이규리의《시의 인기척》중에서 - 


* 우리는 종종 보이는 대로
그것에 갇혀버리는 실수를 합니다.
보이는 대로 판단하고, 편견과 고정관념의 방해를 받으며
전체 모습을 오롯이 바라보지 못합니다. 생각의 확장을 
스스로 가로막고 진실을 보는 시야를 차단해버리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보이는 것 너머의
진실을 바라보는 눈이 열려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의 주도자, 다이내믹 코리아  (0) 2019.08.07
발걸음이 가벼워졌다  (0) 2019.08.07
인생의 투자  (0) 2019.08.02
희망이란  (0) 2019.08.01
나무에게 배운다  (0) 2019.07.31
반응형

"편안하게 지낼 적에 위태로움을 생각하라고 했습니다.
생각하면 대비가 있게 되고, 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습니다. 
(居安思危, 思則有備, 有備無患)"
- 좌씨전 

주희가 송 효종에게 올린 봉사(封事)에서 말했습니다.
“천하의 일은 어렵거나 일이 많은 것을 근심할 것이 아니라
편안한 것이 짐독(酖毒)이 됨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설령 정치가 잘 행해져서 해야 할 일이 한 가지도 없다 하더라도
아침저녁으로 두려워하고 거안사위하면서 조금이라도 게을러서는 안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생에도 수업료가 있다. 
귀한 것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가를 치러야 하고 
기약이 없는 인내를 해야 할 때도 있다. 
대가를 크게 치를수록, 오래 기다리고 
오래 배울수록, 인생은 깊고 넓어진다. 

- 이애경의《나를 어디에 두고 온 걸까》중에서 - 


* 세상에 쉬운 일이 없습니다.
마냥 거저 얻어지는 것도 없습니다.
응당한 수업료를 내고 기술도 배우고 
유학도 가고 박사 과정도 열심히 밟습니다.
좋은 기술, 큰 공부일수록 수업료도 많습니다.
어렵고 힘든 고난이 닥치거든, 수업료 없이
큰 공부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자기 인생의 빛나는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걸음이 가벼워졌다  (0) 2019.08.07
어떻게 진실이 그래!  (0) 2019.08.07
희망이란  (0) 2019.08.01
나무에게 배운다  (0) 2019.07.31
서른 살부터 마흔 살까지  (0) 2019.07.30
반응형

나는 1년 내내 좋아하는 일만 한다.
일터로 향하는 내 발걸음은 탭댄스를 추듯 가볍다.
나는 일터에 있을 때면 등을 기대고 누워 천장에 벽화를 그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은 정말 재미있다.
돈을 더 번다고 내 삶의 질이 나아지지 않는다.
내 재산의 99%를 사회에 돌려주면 다른 사람들의 삶은 훨씬 나아진다.
- 워렌 버핏 

직업은 우리들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남들 보기에 좋은 일, 당장 유망한 직업이 아닌,
내가 평생 좋아하면서 즐겨서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쏟을 수 있는 일, 자신의 열정과 연결될 수 있는 곳에서
즐기면서 일할 때 누구나 위대함에 이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은 것이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한 사람이 먼저 가고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 루쉰의《고향》중에서 -


* 그렇습니다. 
희망은 처음부터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도 생겨나는 것이 희망입니다. 
희망은 희망을 갖는 사람에게만 존재합니다. 
희망이 있다고 믿는 사람에게는 희망이 있고, 
희망 같은 것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실제로도 희망은 없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진실이 그래!  (0) 2019.08.07
인생의 투자  (0) 2019.08.02
나무에게 배운다  (0) 2019.07.31
서른 살부터 마흔 살까지  (0) 2019.07.30
당신이 '예술작품'이다  (0) 2019.07.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