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들은 자연을 
쪼개어 살지 않고 
바람이 부는 자연에 들어가 산다. 
나는 그들의 시가 그리워 거의 매년 티베트에 간다.
그곳에서 걷고, 웃고, 울고, 고독하고, 우울해하면서 
피와 살을 고르는 시인들을 만나고 그들이 사는 
집에 머문다. 그러다 어떤 슬픈 뼛조각이나 
머리카락을 발견하면 그걸 기록하고 
글을 쓴다. 

- 심혁주의《소리와 그 소리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중에서 - 


* 아침편지가 매년 산티아고에 
가는 이유도 비슷합니다. 자연 그대로의 풍광,
순례자들의 천년 기도가 서린 곳, 그 길을 걷고 쉬고 
울고 웃으며 스스로 시인이 됩니다. 그러면서 얻어지는 
깊은 휴식과 치유. 인생의 터닝 포인트를 찍는
그 경이로운 경험이 해마다 발걸음을 
다시 옮기게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칭과 운동  (0) 2019.08.16
다시는 부서지지 않는다  (0) 2019.08.16
눈을 감고 본다  (0) 2019.08.13
반 컵의 물로 살아나왔다  (0) 2019.08.12
정신과 도덕, 마음의 근력  (0) 2019.08.12
반응형

나도 사람이라서 힘들거나 괴로울 때가 생긴다.
성격상 나는 힘들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힘들다’고 말하면 더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그 말을 듣는 사람도 힘들게 된다.
나는 주위를 힘들게 하거나 폐 끼치는 일을 세상에서 제일 싫어한다.
- 손흥민, ‘축구를 하며 생각한 것들’에서 

주변에서 ‘사장은 힘들고 외로운 자리다’는 위로의 말을 많이 해줍니다.
그 위로가 맞다고 생각하는 순간 더 외로워지고
더 힘이 빠지는 경험을 자주 하게 됩니다.
힘들겠다는 따뜻한(?) 위로를 받으려고 하는 대신에
힘들기에 오히려 재미있다고 생각하려 애씁니다.
생각이 세상을 바꿉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림을 하나 골라서 
마음의 눈으로 사진처럼 찍어 본다. 
그림의 세부 사항까지 가능한 한 모든 
것들을 시각적으로 생생하게 찍는다. 
그런 다음 눈을 감는다. 이제 눈을 
감은 채 마음의 눈으로 그 그림을 
마치 사진처럼 다시 떠올려 
볼 수 있는지 살펴본다. 

- 조너선 S. 캐플런의《도시에서 명상하기》중에서 -


* 눈을 뜨고도 못 보는 것이 있고
눈을 감고도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하늘나라에 계신 아버님의 얼굴, 빗물 쏟아지는 
처마 밑에서 어머니를 기다리며 훌쩍이던 
일곱 살 어린 시절의 모습, 눈을 감아야 
비로소 생생히 보이는 그림들입니다.
그래서 다시 눈을 감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는 부서지지 않는다  (0) 2019.08.16
매년 티베트에 가는 이유  (0) 2019.08.14
반 컵의 물로 살아나왔다  (0) 2019.08.12
정신과 도덕, 마음의 근력  (0) 2019.08.12
집, 그리고 사랑  (0) 2019.08.09
반응형

인간은 본래 성공하도록 만들어졌다.
다른 동물들과 달리 단순히 살아있기만 해서는 만족하지 못한다.
정신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새로운 문명과 문화를 창조하려고 애쓰는 등
더 높은 성공을 좇는 경향이 있고,
그걸 실현하는 힘을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났다.
즉 모든 인간은 성공에 대한 매커니즘을 갖고 태어났다.
- 쓰쓰미 구미코, ‘책임은 어떻게 삶을 성장시키는가’에서 

사람이 다른 동물들과 다른 점은,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를 스스로 찾고,
인생의 목적을 높게 설정하고, 그것이 실현된 미래를 상상하며,
희망찬 미래를 향해 매일 매일 더 나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데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는 어떤 핍박에도 
굴하지 않고 살아남아서 
신이 주신 삶의 목적을 찾고, 
나치의 잔학상을 폭로하겠다고 결심한다. 
그래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하루에 한 컵씩 배급되는 물을 반만
마시고, 나머지는 세수를 위해 아껴 두었고, 
유리조각으로 면도까지 했다. 그리고 결코 
낙담하거나 절망적인 말을 입에 담지 않았다. 
그 덕분에 그는 끝까지 살아남아서
아우슈비츠에서 해방되었다. 

- 김재일의《멘탈경쟁력》중에서 - 


* '죽음의 수용소'를 쓴
빅터 프랭클의 이야기입니다.
반 컵의 물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주고
극한의 자리에서 살아나올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희망과 자존감을 잃지 않으면
사는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단 반 컵의 물로
몸을 닦고 수염을 깎으며 견디는 모습에서
위대한 생명의 불꽃을 발견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년 티베트에 가는 이유  (0) 2019.08.14
눈을 감고 본다  (0) 2019.08.13
정신과 도덕, 마음의 근력  (0) 2019.08.12
집, 그리고 사랑  (0) 2019.08.09
'순수한 있음'  (0) 2019.08.08
반응형

지각, 판단, 
차별적 감정, 정신활동, 
나아가 도덕적 기호까지도 포함하는 
인간의 능력은 선택하는 과정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
관습에 따라 행동할 때는 선택이 끼어들 틈이 없다. 
이 경우, 사람들은 최고를 분별하거나 
탐하는 것에서 경험을 쌓을 수 없다. 
정신과 도덕도 근력과 마찬가지로 
사용해야 좋아진다.

- 마이클 샌델의《정의란 무엇인가》중에서 - 


* 우리 삶은 선택의 연속입니다.
스스로 한 선택에 만족할 때도 있고,
돌이킬 수 없는 선택에 후회를 하기도 합니다.
선택의 결과가 어떠했든, 그 결과는 마음의 근력을 
튼튼하게 하고, 더 좋은 선택을 하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을 감고 본다  (0) 2019.08.13
반 컵의 물로 살아나왔다  (0) 2019.08.12
집, 그리고 사랑  (0) 2019.08.09
'순수한 있음'  (0) 2019.08.08
누가 마침내 이기는가  (0) 2019.08.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