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러니 
역사를 연구하려면 
먼저 역사가를 연구하라. 
역사가를 연구하기 전에 그 역사가가 살았던 
역사적, 사회적 환경을 살펴보라. 


- 에드워드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중에서 -


* 중요한 것은
'올바른 시각'입니다.
그 시대의 역사적 사회적 환경을 
'올바른 시각'으로 살펴볼 수 있어야 올바른 역사가가 
될 수 있습니다. 새 역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시대를 잘 읽어야 합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도 가지 않은 길  (0) 2019.03.07
지문  (0) 2019.03.06
남이 못 보는 꿈과 환상을 보라  (0) 2019.03.04
사연이 많은 친구  (0) 2019.03.02
무엇이 옳은 일이고 무엇이 죄인가  (0) 2019.03.01
반응형
행복언어가 말버릇이 되면 행복을 끌어당겨 천국 같은 인생을 살게 된다.
반대로 불행언어가 말버릇인 사람은 불행을 끌어당겨
지옥 같은 인생을 살게 된다.
인생이란 그 사람의 말 그 자체인 것이요,
말에서 당신의 인생이 태어난 것이다.
- 미야모토 마유미, ‘돈을 부르는 말버릇’에서

입 밖으로 내뱉은 말은 반드시 이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내가 하는 말은 내가 가장 크게, 그리고 자주 듣게 됩니다.
긍정의 말을 자주하게 되면 삶이 행복해지고,
불행을 부르는 말을 자주하게 되면 불행이 현실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당신이 겪는 
고통이나 외로움, 
실망감이나 가슴 아픈 경험, 
중독이나 인생의 함정처럼 보이는 것들은 
모두 깨달음으로 통하는 문이다. 이런 것들은 
영혼의 균형이나 성장을 돕기 위한 것들로서 
환상을 초월해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게리 주커브의《영혼의 의자》중에서 -


* 아이도 아프면서 성장합니다.
아픔이 고통과 통증을 안겨주지만
그걸 견디고 나면 어느새 쑥 자라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몸뿐만이 아니라 마음도 함께 자라
생각과 표정과 행동도 달라져 있음을 보게 됩니다.
영혼의 균형과 깨달음은 고통과 고독의 문을 
거쳐야 얻을 수 있는 선물입니다. 나만의 
꿈을 찾고 남이 못 보는 환상도 
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문  (0) 2019.03.06
시대를 잘 읽어야 한다  (0) 2019.03.05
사연이 많은 친구  (0) 2019.03.02
무엇이 옳은 일이고 무엇이 죄인가  (0) 2019.03.01
'사랑에 빠지게 하는' 기술  (0) 2019.02.28
반응형
#인스타그램 #지도 #기본앱 #지도기본앱 #안드로이드 설정변경 방법
인스타그램에서 지도 눌렀는데 카카오맵이나 네이버앱 실행되서 외국지도 못찾을때.
설정 > 애플리케이션 > 해당지도앱 > 기본으로설정 > 기본 설정 삭제
다시 인스타그램에서 지도 선택하면 기본지도 선택하라고 아래에 나옴.
그때 구글지도 선택하면 기본 지도로 설정 됨.

반응형
반응형
어느 새벽, 
뭔가 웃기는 일이 하나 생겼다.
그러나 그 얘길 듣고 웃을 사람은 그간의 사연을 
다 아는 친구 S뿐이었다. 다른 사람에게 처음부터 얘기하자면
얘기도 장황해지고 싱거운 반응만 있을 것이 분명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잘 시간이라 아침이 오기만을 기다린 그 시간이 
무척 길게 느껴졌다.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아도 함께 
웃을 수 있는 사연이 많은 친구가 귀하다.


- 도대체의《일단 오늘은 나한테 잘합시다》중에서 - 


* 척하면 척! 
눈빛만 보아도 통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마음이 통하는 오랜 친구는 설명이 필요없습니다.
설명은 커녕 단어 하나에도 웃음이 끊이지 않습니다.
가족도 직장 동료도 다 마찬가지겠지요.
함께 웃을 수 있는 사연있는 사람,
모두가 더없이 귀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꿈.
출근해서 일 하는 꿈을 요즘 자주.
예전 다녔던 회사 직원들이 여럿 나온다.
꿈 속에서 이미 꿈인지 알고 있지만, 즐겁다.
근데 깨고 나면 왜캐 인상을 쓰고 잤는지 얼굴에 주름이!
개꿈인가? 악몽인가? 현몽인가?

2003년 이후로 취업 스트레스는 오랜만이군.
50번의 이력서와 면접.
그땐 그랬지. 그 이후 나를 찾는 곳이 많았으나...

이젠 아무도 찾지않는다. 경단남 1년 이후.
육아에 대한 사회의 불편함이 현실로.
방송에서 육아대디에 대한 것을 보면서 가식적이라고 많이 생각하고 있다.
누군가 집에 애 봐줄 사람이 없다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아마 육아휴직을 했어도 결국엔 퇴사를 할 수 밖엔 없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래도, 항상 잘 이겨내왔으니 이 또한 지나가리.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