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mooki83.tistory.com/2656530 에서 온전히 펌

루씬 (Lucene) -  http://lucene.apache.org/ 
JAVA 기반 색인과 검색 기술

솔라 (Solr) - http://lucene.apache.org/solr/ 
루씬 코어로 구성된 검색 서버
(with XML/HTTP and JSON/Python/Ruby APIs, ...)

패스트캣 -  http://www.getfastcat.org/ 
국내 오픈소스 검색엔진

$2
루씬 한글분석기 오픈소스 프로젝트

검색이야기 with Lucene, solr
http://zeous.egloos.com/1412280

Solr : Lucene을 더 쉽고, 확장성 높게 사용하자!
Solr
[SOLR] SOlR 1.2 Windows 설치기 - 한글 셋팅 포함
Apache Solr 3.5.0 셋팅하기(db dataimport), Lucene, 한글형태소분석기
Lucene + Solr 연동한 한글검색 세팅하기
Solr 톰캣 연동 세팅 방법
[pylucene] Python용 lucene검색엔진에 한글형태소 분석기 lucenekorean 붙이기
Lucene 공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개발 시작의 변
루씬, 톰켓, 이클립스 삽질기
루씬 설치 방법.
쿠폰모아에 검색엔진 ‘실제로’ 적용하기 Part.1
Sunspot과 Lucene을 이용한 풀 텍스트 검색엔진 구축하기
--
[패스트캣]1. 시작하기
반응형
반응형
소프트웨어 우수 인재 양성·확보를 위한 제언
http://www.seri.org/db/dbReptV.html?s_menu=0202&pubkey=db20111109001
소 프트웨어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기업 간 인재 전쟁이 치열하다. 한국은 우수한 소프트웨어 인재가 부족해 소프트웨어 경쟁력의 취약성을 노출하고 있다. 고급 인재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이 열악한 직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어서 인재難의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 구조를 탈피하고 우수 인재를 양성·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Ⅰ. 소프트웨어 인재, 왜 중요한가?
Ⅱ. 소프트웨어 인재難의 악순환
Ⅲ. 인재 양성·확보의 5大 전략
Ⅳ. 시사점




반응형
반응형
http://allofsoftware.net/entry/%EC%82%AC%EC%97%85%EB%B6%80%EC%9D%98-%ED%95%9C%EA%B3%84



우리나라 많은 기업들이 선택하고 있는 사업부제는 단기적인 성과를 내기에는 유리하나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면 문제가 많다.

물론 사업부제 자체의 문제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업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보면 된다.

사업부는 사업부내에 모든 기능 조직을 포함하여 마치 하나의 회사처럼 동작을 하며 모든 전략, 매출 등을 책임지고 물론 그 성과에 대한 보상도 사업부가 누리는 것이다.

얼핏 들으면 아주 그럴듯 하지만 사업부의 이익과 회사의 이익이 상반되는 경우는 대단히 많다. 이런 경우 사업부에서는 회사 전체의 이익을 따르지 않는다.

그럼 소프트웨어 쪽으로 포커스를 해보자. 사업부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한 부서가 쪼개져서 각 사업부로 흩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전사적으로 소프트웨어 역량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 전사적으로 일관된 소프트웨어 전략을 구사할 수 없다.
  • 사업부간 소프트웨어 지식이 공유되지 않는다.
  • 사업부간 인력의 왕래가 자유롭지 않다.
  •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의 부속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사업부의 장이 하드웨어 출신인경우이다.
  • 단기적인 이익에 급급해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크게 신경쓰지 못한다.
  • 전사적인 큰 그림은 그리지 못한다.
이런 체제에서는 위에서 지시하면 뭘 빨리 만들어 내기는 하지만 흉내만 낼뿐 금방 밑천이 드러나게 된다.

사실 기업의 경영자들이 이러한 것을 모르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기업의 조직 구조는 수시로 바뀌지만 인내심이 부족한 경영자들은 금방 다시 사업부제로 돌아온다. 그래도 그럴 것이 대기업의 최고 경영자들도 6개월, 1년안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하면 자리를 보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그렇게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많은 대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역량을 향상하고 싶다면 소프트웨어 조직을 분리를 해야 한다. 사업부에서는 반대를 하겠지만 우선 가능한 부분부터 소프트웨어 조직을 통합하여 좀더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를 해야한다. 단기적인 성과에 집중하는 전략의 폐해는 이미 드러났다.

이것이 변화가 가능한 중소, 중견 기업에 기대를 거는 이유이다.

반응형
반응형

혁신적인 아키텍처와 창발적 설계: 언어, 표현성 및 설계, Part 1


코드의 표현성을 개선하여 창발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Neal Ford,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IBM

요약: 창발적 설계의 경우에는 관용적 패턴을 찾아서 개선하는 기능이 중요합니다. 또한, 설계하는 데 있어서는 코드의 표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된 이 기사에서 Neal Ford는 표현성과 패턴의 교차점을 논의하고 관용적 패턴과 정규 설계 패턴을 사용하여 이러한 개념을 설명합니다. 그는 JVM용 동적 언어의 고전적인 네 가지 패턴 중 일부를 수정하여, 모호한 언어로 인해 불명료해진 설계 요소를 표현성이 우수한 언어를 이용하여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프로토타이핑은 개발기간을 수개월에서 혹은 수년 단축할 수 있다.
더 이상 망설일 이유가 없지 않은가?
어떤 형태로든 우리는 프로토타이핑을 하고 있다.

프로토타이핑은
* 창의적이다.
* '보여주기' 와 '말하기'를 통해 커뮤티케이션 한다.
*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을 절감시킨다.
* 빠른 피드백 순환 구조를 생성하여, 궁극적으로는 프로젝트의 위험 부담을 줄여준다.

"무언가 설명할 것이 있다면, 스토리보드와 실제상황을 함께 보여주라."
- Robert Hoekman, Jr.

디자인을 문서화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에는 요구사양서, 와이어프레임, 비주얼 컴포넌트, 프로토타입을 포함한 다양한 기법들이 존재한다.

프로토타입은 최종적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또는 대표모델이라 할 수 있다.
다른 기법들과 달리 실제로 디자인을 경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요구사양서는 보는 관점에 따라서 각기 다른 해석을 불러올수 있다.
프로토타입은 디자인과 시스템에 대한 보다 명확한고 매우 구체적인 표현방법으로
사람들에세 손에 잡히는 경험을 제공해준다.

반응형
반응형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12&pubkey=db20110721001
애플: PC 시대의 개척자에서 파괴자로

2011 년 6월 애플은 가을부터 '아이클라우드(iCloud)'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애플의 클라우드 서비스 개시는 클라우드 주도권 경쟁을 본격화하여 포스트 PC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다. 30여 년 전 IBM과 함께 PC 시대를 개척했던 애플이 지금은 PC 시대의 끝을 재촉하는 파괴자인 셈이다. PC 시대 개막의 주역 가운데 지금까지 살아남은 거의 유일한 기업인 애플의 생존 비결을 짚어보았다.
1. 포스트 PC 시대를 준비
2. PC 시대의 개척자이자 생존자
   ① PC 시대와 애플의 역사
   ② 애플, PC 시대 생존의 3대 비결
3. 시사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