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4%EC%8D%AC

 

파이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스 신화의 괴물에 대해서는 피톤 문서를, 미사일에 대해서는 파이톤 5 미사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이썬Py

ko.wikipedia.org

파이썬[3](영어: Python)은 1991년[4] 네덜란드계 프로그래머 귀도 반 로섬[5]이 발표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인터프리터식, 객체지향적, 동적 타이핑(dynamically typed) 대화형 언어이다. 파이썬이라는 이름은 귀도가 좋아하는 코미디인〈Monty Python's Flying Circus〉에서 따온 것이다. 이름에서 고대신화에 나오는 커다란 뱀을 연상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이와는 무관하다. 다만 로고에는 뱀 두마리가 형상화되어 있다.

파이썬은 비영리의 파이썬 소프트웨어 재단이 관리하는 개방형, 공동체 기반 개발 모델을 가지고 있다.

 

파이썬은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사용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루비와 자주 비교된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쓸 수 있고, 라이브러리(모듈)가 풍부하여, 대학을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 연구 기관 및 산업계에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 파이썬은 순수한 프로그램 언어로서의 기능 외에도 다른 언어로 쓰인 모듈들을 연결하는 접착제 언어로써 자주 이용된다. 실제 파이썬은 많은 상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스크립트 언어로 채용되고 있다. 도움말 문서도 정리가 잘 되어 있으며, 유니코드 문자열을 지원해서 다양한 언어의 문자 처리에도 능하다.

 
구문이 강조된 파이썬 코드 예제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해석기(인터프리터) 위에서 실행될 것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 주요 특징
    •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실행 시간에 자료형을 검사한다.)
    • 객체의 멤버에 무제한으로 접근할 수 있다. (속성이나 전용의 메서드 훅을 만들어 제한할 수는 있음.)
    • 모듈, 클래스, 객체와 같은 언어의 요소가 내부에서 접근할 수 있고, 리플렉션을 이용한 기술을 쓸 수 있다.
  • 해석 프로그램의 종류
    • Cython: C로 작성된 인터프리터.
    • 스택리스 파이썬: C 스택을 사용하지 않는 인터프리터.
    • 자이썬: 자바 가상 머신용 인터프리터. 과거에는 제이파이썬(JPython)이라고 불렸다.
    • IronPython: .NET 플랫폼용 인터프리터.
    • PyPy: 파이썬으로 작성된 파이썬 인터프리터.

현대의 파이썬은 여전히 인터프리터 언어처럼 동작하나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 파이썬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바이트 코드(Byte code)를 만들어 냄으로써 다음에 수행할 때에는 빠른 속도를 보여 준다.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를 사용해서 블록을 구분하는 독특한 문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 문법은 파이썬에 익숙한 사용자나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들여쓰기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는 사용자에게는 잘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다른 언어의 사용자에게서는 프로그래머의 코딩 스타일을 제한한다는 비판도 많다. 이 밖에도 실행 시간에서뿐 아니라 네이티브 이진 파일을 만들어 주는 C/C++ 등의 언어에 비해 수행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사업 분야 등 일반적인 컴퓨터 응용 환경에서는 속도가 그리 중요하지 않고, 빠른 속도를 요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프로토타이핑한 뒤 빠른 속도가 필요한 부분만 골라서 C 언어 등으로 모듈화할 수 있다(ctypes, SWIG, SIP 등의 래퍼 생성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다). 또한 Pyrex, Psyco, NumPy 등을 이용하면 수치를 빠르게 연산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 공학 분야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점차적인 중요성의 강조로 대한민국에서도 점차 그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4%EC%8D%AC%EC%9D%98_%EC%97%AD%EC%82%AC

 

파이썬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이썬의 로고 (1990년대~2006년)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은 1980년대 말에 구상되었으며[1] 그 구현체는 1989년 12월[2] 예외 처리가 가능하고 아메바 운영 체제와 통

ko.wikipedia.org

 
파이썬의 로고 (1990년대~2006년)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은 1980년대 말에 구상되었으며[1] 그 구현체는 1989년 12월[2] 예외 처리가 가능하고 아메바 운영 체제와 통신이 가능한 ABC의 후속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CWI(Centrum Wiskunde & Informatica)의 귀도 반 로섬에 의해 시작되었다.[3]

파이썬 2.0은 2000년 10월 16일 출시되었으며 메모리 관리를 위한 사이클 감지 쓰레기 수집기(참조 카운팅뿐 아니라), 유니코드 지원을 포함한 새롭고 수많은 주요 기능들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가장 중대한 변화는 개발 프로세스 그 자체로서, 더 투명하고 공동체의 지원을 받는 프로세스로의 전환이다.[4]

파이썬 3.0은 메이저급의 하위 호환성이 없는 릴리스로서 2008년 12월 3일 출시되었으며[5] 이는 수많은 테스트 기간을 거친 뒤에 개발되었다. 주요 기능들 중 다수가 하위 호환이 가능한 파이썬 2.6, 2.7로 백포팅되고 있다.[6]

2018년 7월 12일, 귀도 반 로섬은 리더의 자리에서 내려왔다.[7]

버전 표[편집]

출시 전 내용:

버전최신 버전발표일제품 지원 종료일보안 지원 종료일

0.9 0.9.9[2] 1991-02-20[2] 1993-07-29[a][2]
1.0 1.0.4[2] 1994-01-26[2] 1994-02-15[a][2]
1.1 1.1.1[2] 1994-10-11[2] 1994-11-10[a][2]
1.2   1995-04-13[2] 지원 안함
1.3   1995-10-13[2] 지원 안함
1.4   1996-10-25[2] 지원 안함
1.5 1.5.2[8] 1998-01-03[2] 1999-04-13[a][2]
1.6 1.6.1[8] 2000-09-05[9] 2000-09[a][8]
2.0 2.0.1[10] 2000-10-16[11] 2001-06-22[a][10]
2.1 2.1.3[10] 2001-04-15[12] 2002-04-09[a][10]
2.2 2.2.3[10] 2001-12-21[13] 2003-05-30[a][10]
2.3 2.3.7[10] 2003-06-29[14] 2008-03-11[a][10]
2.4 2.4.6[10] 2004-11-30[15] 2008-12-19[a][10]
2.5 2.5.6[10] 2006-09-19[16] 2011-05-26[a][10]
2.6 2.6.9[17] 2008-10-01[17] 2010-08-24[b][17] 2013-10-29[17]
2.7 2.7.18[18] 2010-07-03[18] 2020-01-01[c][18]
3.0 3.0.1[10] 2008-12-03[17] 2009-02-13[19]
3.1 3.1.5[20] 2009-06-27[20] 2011-06-12[21] 2012-06[20]
3.2 3.2.6[22] 2011-02-20[22] 2013-05-13[b][22] 2016-02-20[22]
3.3 3.3.7[23] 2012-09-29[23] 2014-03-08[b][23] 2017-09-29[23]
3.4 3.4.10[24] 2014-03-16[24] 2017-08-09[25] 2019-03-18[a][24]
3.5 3.5.10[26] 2015-09-13[26] 2017-08-08[27] 2020-09-13[28]
3.6 3.6.12[29] 2016-12-23[29] 2018-12-24[b][29] 2021-12[29]
3.7 3.7.9[30] 2018-06-27[30] 2020-06-27[b][30] 2023-06[30]
3.8 3.8.6[31] 2019-10-14[31] 2021-04[31] 2024-10[31]
3.9 3.9.0[32] 2020-10-05[32] 2022-05[33] 2025-10[32][33]
3.10 3.10.0[34] 2021-10-25[34] 2023-05[34] 2026-10[34]
범례:
오래된 버전
오래된 버전, 지원 중
최신 버전
최신 미리보기 버전
배포 예정
 
 

내용주:

  1.  이동:            최신 버전 발표일
  2.  이동:     최신 비보안 전용 발표 날짜
  3.  공식 지원은 2020-01-01에 종료되었지만 2.7.18를 2020-04-20에 발표.[18]

차트[편집]

반응형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7kJMBT9pv8Y 

오늘 새벽 5시부터 판교 데이터센터의 전력 공급이 완료됐습니다. 카카오도 판교 서버 3만 2천 대 중 3만 1천 대가 복구됐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는 오늘 오전 11시 긴급 기자회견을 엽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mk.co.kr/news/it/view/2022/10/912486/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 무더기 장애

SK C&C "화재 전원 차단으로 서비스 장애 데이터센터 정상화 총력" 카카오 "전원공급 재개 시 2시간 내 전체 서비스 복구 전망"

www.mk.co.kr

카카오가 이용하고 있는 판교 SK C&C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톡을 비롯한 주요 서비스가 접속 오류를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카카오 관계자는 "이날 오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영향으로 카카오톡 등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장애가 발생했다"며 "세부 장애 범위 등은 파악 중이고, 빠른 복구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현재 소방당국이 화재 진압을 위해 데이터센터 전원을 차단한 상태"라며 "전원이 들어오는 시점으로부터 2시간 안에 전체 서비스가 복구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33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SK판교 캠퍼스 지하 3층 배터리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불이 난 건물은 지상 6층에 지하 4층 규모(연면적 6만7000여㎡)로 네이버, 카카오, SK계열사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설이다. 화재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특성상 발열이나 전기 누전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불이 나자 인원 60여명과 펌프차 등 장비 20여대를 투입해 약 2시간 만인 이날 오후 5시 46분께 큰 불길을 잡았다. 하지만 건물 안에 연기가 많아 불을 완전히 진압하는 데는 시간이 다소 더 걸릴 전망이다. 이날 불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화재 발생 당시 건물 안에 20여명의 근무자가 있었으나 모두 무사히 대피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당국은 지하 3층 무정전전원장치(UPS)에서 불이 났다는 건물 관계자의 신고를 토대로 잔불을 정리하는 대로 자세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SK C&C 관계자는 "안전을 위해 데이터센터 전원 공급을 차단했고, 화재 관련해 추가적인 상황을 확인한 뒤 전원 공급을 재개할 예정"이라며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카카오와 네이버, SK계열사 등 입주 회사의 서비스에는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데이터센터가 정상적으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화재 여파로 카카오톡, 포털 다음, 카카오내비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가 접속 장애와 작동 오류가 발생했다. 카카오톡은 이날 오후 3시 33분 무렵부터 오후 7시 현재까지 메시지 전송 오류 장애를 겪고 있다.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받을 때 전송이 아예 안 되거나 시간이 한참 지나서야 전송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카카오톡 PC 버전에서도 로그인을 시도해도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지속되고 있다. 이날 카카오톡뿐 아니라 카카오의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도 로그인이 안 되고 커뮤니티 서비스도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다만 다음 검색과 뉴스 등 다른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다음은 지난 1일부터 로그인 방식이 기존의 다음 아이디 대신 카카오계정으로 일원화된 상황이다. 나아가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내비와 카카오 T 앱 등도 원활히 접속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반응형
반응형

[모두의 말뭉치 활용 방법] 모두의 말뭉치 소개 및 파일 신청하기 (1회차)

https://www.youtube.com/watch?v=bEWw5oqNugA 

 

반응형
반응형

 

노션에 대하여 몇 페이지 만들어보고 나니

 

Notion 의견 : 여러 의견이 있었지만,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점 : 블로그 보다 화면구성이 손쉽고, IT지식이 부족해도 운영에 어려움이 없다.

한 화면에 주요정보를 노출하기 쉽고, 모바일 친화적이라 접근성이 높다.

 

단점 : 사용목적에 따른 기획이 없으면 화면을 구성하는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시작해야 한다.

파일첨부시 보안에 문제가 있을만한 파일은 업로드 하지 않는것을 권고한다.

 

 

 

반응형
반응형

https://brunch.co.kr/@delivan/15
구글의 운명을 바꾼 경영 도구, OKR

 

구글의 운명을 바꾼 경영 도구, OKR

전설적인 벤처 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 | 구글과 아마존을 키운 벤처 투자자로 잘 알려진 존 도어는 1999년, 고민 끝에 당시엔 신생기업이었던 구글에 투자하기로 결정을 

brunch.co.kr



https://brunch.co.kr/@jty9480/39
OKR의 실패 원인 4가지와 성공을 만드는 방식(알로)

 

OKR의 실패 원인 4가지와 성공을 만드는 방식(알로)

지난번, <요즘 시대 OKR> 이라는 주제로 기업들이 활용하는 목표관리기법이자 경영철학인 OKR(Obejctives & Key Results)에 대해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2018년 OKR이 본격적으로 소개되면서, 국내에 다양

brunch.co.kr




OKR 이란?
측정 가능한 팀 목표를 설정하고 추적하는데 도움이 되는 목표설정 방법론으로, John Doerr가 고안했으며 구글, 인텔 등 실리콘밸리 기업의 성공적인 목표관리기법으로 꼽힌다. 이 과정에서 구성원들에게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 가능하게 하며, 분기/반기 단위 성과공유를 통한 Align 과정을 중시하는 기법이다.

OKR의 개념
OKR은 목표(Objective)와 핵심 결과(Key Result)의 줄임말로, 팀 혹은 개인이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이자 시스템이다. 

 여기서 목표(O)는 우리가 궁극적으로 성취해야 할 대상,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말한다. 공격적이고 동시에 현실적이어야 하며, 성공 가능성을 떠나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해야 한다. 행동 지향적(~하기)이고 영감을 자극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가면 더 좋다. 

 효과적으로 작성한 목표는 애매모호한 생각과 행동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일을 하지 않도록 만든다. 

핵심 결과(KR)는 우리가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이며 목적지에 다다르기 위한 이정표와 같다. 앞서 세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여야 한다. 중요한 특징은 측정과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숫자가 들어간다거나, 충족/충족하지 못함을 판단할 수 있는 뚜렷한 기준이 있는 것이 좋다.

존 도어는 보통 목표 하나 당 3~5가지의 핵심 결과를 묶는 것이 적당하다고 조언한다. 너무 많은 핵심 결과는 집중력을 흩뜨리고 측정을 까다롭게 만든다. 또한 핵심 결과들을 모두 성취했다면 목표는 당연히 이뤄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애초에 OKR을 잘못 설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렇게 목표를 달성했다면 모두가 인정할만한 뚜렷한 가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 기업들이 OKR을 망치는 4가지 이유
1. OKR을 성과 평가관리에 활용하려고 한다. 즉, KPI처럼 똑같이 활용한다.
2. 도전적인 목표달성을 추구하면서, 정작 보상은 도전적이지 않다.
3. OKR의 핵심은 지속적 소통 및 피드백을 통한 동기부여임을 망각하고, 성과공유/평가만 진행한다.
4. 목표에 대한 'Why'를 부여하지 못하여 공유·공감 없이 Top-Down 형식의 Align 만 강조한다.


개발조직은 월단위 스크럼 · 스프린트 미팅과 같은 활동들을 진행한다. OKR에서는 이것을 분기 성과 공유인 'OKR 파티'와 같은 활동들로 언급하는데, 개발조직에서의 업무를 전사차원으로 확장해서 가져온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활동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6가지가 있다.

✅ 회사가 기대하는 것
1) 회사의 상위 목표를 공유·공감하고, 모든 조직이 Align 되어 있음을 인지시키는 것
2) 회사의 성장에 모두가 기여하고 있음을 공유하며, 소속감 및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것
3) 잘하는 조직의 에너지를 전사 차원에 공유하여, 모두가 목표지향적으로 보여지는 것

✅ 조직 및 개인이 기대하는 것
1) 조직 성과를 공유하며, 타 조직으로부터 인정·성취감을 얻어내는 것
2) 협업 조직과 필요사항을 논의하고 협력을 이끌어내 성과를 극대화 하는 것
3) 상호 성과에 대한 발전적 피드백을 바탕으로, 시너지를 내는 것

OKR의 성공 포인트는 
① '공동의 목표'라는걸 상기시키고, 
② 투명한 성과 및 과정 공유를 통해 보상에 대한 구성원 간 상호 원칙을 수립하는 것, 
③ 조직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CFR의 원활한 방식을 만드는 것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