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style>
    #mask {
      position:absolute;
      z-index:9000;
      background-color:#000;
      display:none;
      left:0;
      top:0;
    }
    .window{
      display: none;
      position:absolute;
      left:100px;
      top:100px;
      z-index:10000;
    }
    </style>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latest.js"></script>
    <script>
    function wrapWindowByMask(){
        //화면의 높이와 너비를 구한다.
        var maskHeight = $(document).height();
        var maskWidth = $(window).width();  
 
        //마스크의 높이와 너비를 화면 것으로 만들어 전체 화면을 채운다.
        $('#mask').css({'width':maskWidth,'height':maskHeight});  
 
        //애니메이션 효과 - 일단 1초동안 까맣게 됐다가 80% 불투명도로 간다.
        $('#mask').fadeIn(1000);
        $('#mask').fadeTo("slow",0.8);    
 
        //윈도우 같은 거 띄운다.
        $('.window').show();
    }
 
    $(document).ready(function(){
        //검은 막 띄우기
        $('.openMask').click(function(e){
            e.preventDefault();
            wrapWindowByMask();
        });
 
        //닫기 버튼을 눌렀을 때
        $('.window .close').click(function (e) {
            //링크 기본동작은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e.preventDefault();
            $('#mask, .window').hide();
        });       
 
        //검은 막을 눌렀을 때
        $('#mask').click(function () {
            $(this).hide();
            $('.window').hide();
        });
    });
    </script>
</head>
<body>
    <div id="mask"></div>
    <div class="window">
        <input type="button" href="#" class="close" value="나는야 닫기 버튼(.window .close)"/>
    </div>
    <a href="#" class="openMask">검은 막 띄우기</a>
</body>
</html>

 

 

 

jQuery 레이어 팝업(modal window) 띄울 때 전체를 덮는 반투명 검은 막(black mask) 만들기

출처: https://dev23.tistory.com/26 [Hello. Android!!]

 

jQuery 레이어 팝업(modal window) 띄울 때 전체를 덮는 반투명 검은 막(black mask) 만들기

< html > < head >     < meta http-equiv = "Content-Type" content = "text/html; charset=utf-8" >     < style >     #mask {       position:absolute;       z-index:9000;       b..

dev23.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DateDiff 를 이용한 현재 일시 비교

 

<% dim nowtime_chk
   nowtime_chk = DateDiff("n", "2022년 01월 07일 00:00:00", now()) 

   if( nowtime_chk > 0 )then %>
         console.log(" 날짜 지났다.");
<%  else %>
         console.log(" 날짜 아직.");
<%
end if
%>
반응형
반응형

이미지 갤러리 한 줄에 4개씩 보여지다가, 모바일 세로일때 (가로 480px 이하일때) 한 줄에 2개씩 보여주기. 

이미지는 width=100% 로 하고 넓이는 div에서 조절. 

object-fit:contain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1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2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3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4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5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6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left' ><img src='image/7번.jpg' width='100%'  ></div>
 	<div class='img_contain_end'  ><img src='image/8번.jpg' width='200px'  ></div>
 </div>
    @media screen and (min-width: 480px) {                
        .img_contain_left {
        width:23.5%;
        float:left;
        object-fit: contain;
        margin: 0.25rem!important;
        }
        .img_contain_end {
        width:23.5%;
        float:left;
        object-fit: contain;
        margin: 0.25rem!important;
        }
    }
    
    @media screen and (max-width: 480px) {    
        .img_contain_left {
        width:47%;
        float:left;
        object-fit: contain;
        margin: 0.25rem!important;
        }
        .img_contain_end {
        width:47%;
        float:left;
        object-fit: contain;
        margin: 0.25rem!important;
        }
    }

1. meta viewport 설정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

 

2. 4개의 반응형 분기점

- 낮은 해상도의 PC, 태블릿 가로 : ~1024px

- 태블릿 가로 : 768px ~ 1023px

- 모바일 가로, 태블릿 : 480px ~ 767px

- 모바일 : ~480px

 

3. 3개의 반응형 분기점

- PC : 1024px ~

- 태블릿 가로, 세로 : 768px ~ 1023px

- 모바일 가로, 세로 : ~768px

 

4. Media Query 사용법

@media screen and (min-width:1024px) {
	/* Desktop */
}
@media screen and (min-width:768px) and (max-width: 1023px) {
	/* Tablet */
}
@media screen and (max-width:767px){ 
	/* Mobile */
}

5. PC / Tablet / Mobile 구분해서 CSS 파일 작성 

<link href="style_pc.css" media="screen and (min-width:1024px)" rel="stylesheet" />
<link href="style_tablet.css" media="screen and (min-width:768px) and (max-width:1023px)" rel="stylesheet" />
<link href="style_mobile.css" media="screen and (min-width:320px) and (max-width:767px)" rel="stylesheet" />

 

https://record22.tistory.com/98

반응형
반응형

피그마 Figma, 주목받는 UI GUI 디자인 프로그램

 

https://www.figma.com/

 

Figma: the collaborative interface design tool.

Build better products as a team. Design, prototype, and gather feedback all in one place with Figma.

www.figma.com

1) 윈도우OS, 맥OS 대응 + 웹 브라우저를 통한 디자인 진행

  • 웹 기반 브라우저로 사용하여 프로그램 활용 범위가 용이하며 앱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 스케치는 맥OS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피그마는 윈도우OS 및 웹 브라우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가 아니라도 컴퓨터에 직접 (네이티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빠르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실시간 협업 시스템 (공동 라이브 디자인)

  • 웹 기반 브라우저 프로그램으로서, 피그마 계정 소유자가 링크를 공유하여 여러 명이 아트 보드를 확인하며 동시에 온라인으로 실시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개발자가 참조할 수 있는 정보를 주는 ‘개발 툴바’가 있어 개발자와 소통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마우스 툴바로도 수치값을 확인할 수 있어 가이드라인이 없어도 빠른 작업이 가능합니다.
  • 스케치는 제플린 zeplin이라는 앱을 따로 사용하여 (핸드오프) 작업물을 내보내는 방식으로 개발자와 소통하는 반면, 피그마는 앱 하나에서 바로 핸드오프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버전 히스토리 관리

  • 히스토리 영역을 통해 협업자 중 누가 무엇을 변경했는지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날짜&시간별로 기록되어 있는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버전 관리 필요 없이 히스토리 기능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버전 관리가 가능합니다.
  • 포토샵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날짜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최대 30일까지 히스토리 저장이 가능합니다.
  • 히스토리뿐만 아니라 피그마 파일로도 저장이 가능하므로 필요시 파일로 내보내기 하여 파일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4) 최적화된 어댑티브(ADAPTIVE) 레이아웃 시스템

  • 포토샵은 해상도에 맞추어 매번 새롭게 작업을 해야 하는 것에 비해, 피그마는 외곽 선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콘텐츠 레이아웃을 크기에 맞게 자동 조정해 줍니다.

5) SKETCH 파일과의 연동

  • 기존에 작업하던 스케치 파일들을 피그마에 임포트 하여 작업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온라인에 배포되어 있는 스케치 UI 키트들을 피그마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프로토타이핑 PROTOTYPING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UI 상호작용 및 애니메이션 제작이 가능합니다.
  • 클릭/호버/버튼 동작 등 단순한 인터렉션을 넣어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에 최적화되어있어 플레이 시 프레임 및 모멘텀 스크롤과 같은 세부적인 부분의 프로토타입 또한 실제 화면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장점

  • 스케치와 거의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윈도우와 맥 모두 호환이 가능하여 사용 환경이 넓습니다.
  •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고, 1인은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단점

  • 스케치에서 옮겨올 시 폰트가 깨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한글 폰트는 무조건 깨집니다. 앱으로 사용할 시 폰트 깨짐 현상이 줄어듭니다.
  • 심볼 기능이 없으나, 스케치에서 옮겨온 것은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Figma → Sketch로 파일을 옮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출처 : https://medium.com/designcodeio/figma-vs-sketch-c01e5e74eddd#.jufkza6p1

 

Figma VS Sketch

Figma is like Sketch in the browser with real-time collaboration.

medium.com

 

.

반응형
반응형

광주 AI 체험 쇼케이스 가보니…"무인매장서 AI 비전 기술 느껴보니 색다르네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776 

 

광주 AI 체험 쇼케이스 가보니…"무인매장서 AI 비전 기술 느껴보니 색다르네" - AI타임스

“치O스는 1,200원입니다”“진열된 모든 상품은 인공지능(AI) 데이터로 학습된 상태입니다”“로봇 팔이 컵을 순서대로 카메라에 비추면 컵 속 재료들을 맞춰요”광주영상문화관 1층에 위치한 A

www.aitimes.com

'광주시민 대상 AI 체감 높인다'…AI 기술 체험관 운영돼
시민들, 미래 무인매장 방문해 AI 비전 기술 생생히 느껴
디투리소스, AI 매장관리 주방 무인화 플랫폼 선보여
AI 체험관, 단기적 운영 넘어 지속적 확대‧개선 필요 지적

광주영상문화관 1층에 위치한 AI 기술 체험관 ‘인공지능 카페 테스트베드’ 에서는 로봇 팔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었다. 컵을 카메라에 비추고, 'AI 영상 비전' 기술로 내용물을 인식하고 있는 모습. (사진=구아현 기자).
반응형
반응형

심층강화 학습을 위한 전제

도메인 지식, Domain Knowledge-기술지식


“도메인 지식이란, 인간활동 영역이나 자율적인 컴퓨터활동이나, 다른 전문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유효한 지식을 말한다.” (Domain knowledge is valid knowledge used to refer to an area of human endeavour, an autonomous computer activity, or other specialized disciplin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