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백준] 1008번 A/B - PYTHON  A slash B

 

 

A/B  A slash B
    https://www.acmicpc.net/problem/1008

 

1008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 [백준] 1008번 A/B - PYTHON  A slash B
    https://www.acmicpc.net/problem/1008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첫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9 이하이면 정답이다.
        
"""

a,b = input().split()
print(int(a)/int(b))

#----------------------------------------------

A,B = map(int, input().split() )
print(A/B)

#----------------------------------------------

class Error_001(Exception):
    pass

def Example_01():
    A, B = map(int, input().split())
    if not 0 < A < 10 or not 0 < B < 10:
        raise Error_001()
    print(A/B)

try:
    Example_01()
except Error_001:
    print(" 조건에 맞는 수를 입력하세요. ")
반응형
반응형
[백준] 1007번 벡터 매칭 - PYTHON vector matching

https://www.acmicpc.net/problem/1007

 

1007번: 벡터 매칭

평면 상에 N개의 점이 찍혀있고, 그 점을 집합 P라고 하자. 집합 P의 벡터 매칭은 벡터의 집합인데, 모든 벡터는 집합 P의 한 점에서 시작해서, 또 다른 점에서 끝나는 벡터의 집합이다. 또, P에 속

www.acmicpc.net

문제
        평면 상에 N개의 점이 찍혀있고, 그 점을 집합 P라고 하자. 집합 P의 벡터 매칭은 벡터의 집합인데, 모든 벡터는 집합 P의 한 점에서 시작해서, 또 다른 점에서 끝나는 벡터의 집합이다. 또, P에 속하는 모든 점은 한 번씩 쓰여야 한다.
        벡터 매칭에 있는 벡터의 개수는 P에 있는 점의 절반이다.
        평면 상의 점이 주어졌을 때, 집합 P의 벡터 매칭에 있는 벡터의 합의 길이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짝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의 좌표가 주어진다.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좌표는 절댓값이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다. 모든 점은 서로 다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정답을 출력한다. 절대/상대 오차는 10-6까지 허용한다.
    알고리즘 분류
        수학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import sys, itertools
input=sys.stdin.readline
T=int(input())
for _ in range(T):
    N=int(input()) # 점의 개수
    points = [] # 좌표의 리스트
    total_x,total_y = 0,0
 
    for _ in range(N):
        x,y = map(int,input().split())
        total_x +=x ; total_y += y # 모든 x의 합과 y의 합 저장
        points.append((x,y))
 
    comb = list(itertools.combinations(points, N//2))
    ans=3e5
    
    for c in comb[:len(comb)//2]: # len(comb)는 항상 짝수
        x1,y1 = 0,0
        for x,y in c:
            x1 += x ; y1 += y
        x2,y2 = total_x-x1,total_y-y1 # x와 y를 x1,y1과 x2,y2 두 그룹으로 절반 나누기
        
        hab_vector = ((x2-x1)**2 + (y2-y1)**2)**(0.5) # 절반 나눈 두 그룹간의 합벡터
        ans=min(ans,hab_vector)
    print(ans)

반응형
반응형

[PYTHON] Gradio 웹앱 만들기


Build & share delightful machine learning apps easily

Gradio 
        https://gradio.app/             
        https://github.com/gradio-app/gradio   

 

"""_summary_
     # Gradio 
        https://gradio.app/             
        https://github.com/gradio-app/gradio     
        
        
Returns:
    _type_: _description_
"""
import gradio as gr

def greet(name):
    return "Hello " + name + " !"

demo = gr.Interface(fn=greet, inputs="text", outputs="text")


if __name__ == "__main__":
    demo.launch(share=True)

반응형
반응형

현자(賢者)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사람이고,
부자(富者)는 자기가 가진 것에 만족하는 사람이다.
강자(强者)는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사람이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쉽게 이룰 수 있다.
- 이명환, 전 동부그룹 부회장


강하게 마음먹고 그대로 실천하면 누구나
지혜와 부를 얻을 강한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읽지 않고,
세상을 보고 배우기 위해 돌아다니지 아니하며,
전문가들에게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경영자는 나쁜 경영자다.’라고 말하는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 주장도 거듭 생각해 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 친모는
나를 기를 수 없었거나 기르기를
원하지 않아 모르는 사람에게 나를 버렸다.
내가 그 과거와 마주한 것은 몇 년 되지 않았다.
그런 과거를 인정한 뒤에 조건 없는 사랑을 믿는 게
가능할까? 나를 사랑한다고 말하는 사람의 진심을
의심하지 않을 수 있을까? 나는 부모님,
더 나아가 프랑스 사회에게 또다시
거부당할 이유를 만들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 플뢰르 펠르랭의《이기거나 혹은 즐기거나》중에서 -


* 입양됐다 파양되기를 거듭하는
반려동물은 또다시 파양당할까 싶어서
과도하게 순종합니다. 버려지는 쓰라림을 너무나
잘 아는 것입니다. 친부모로부터 버림받고, 타국에서
또다시 거부당할 이유를 만들지 않고자 노력했다는 말이
참으로 아프게 다가옵니다. 사정이야 있었겠지만
한 번 거부당했던 원초적 상처는 사랑 자체를
거부하게 만들었을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 하나의 차이  (0) 2023.02.18
미래가 가장 빨리 오는 곳  (0) 2023.02.17
심리치유 과정에서 조심할 일  (0) 2023.02.15
시인에게서 내가 배운 것  (0) 2023.02.14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0) 2023.02.13
반응형

불확실한 것은 결국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 수 있는 자원이다.
잃는 것을 배워야 자신의 행운을 개척하고
무언가를 얻을 수 있는 입장이 된다.
실패할 각오는 무언가를 얻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 아르민 나세히, 사회학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확실한 것이 확실해 질 때까지 기다리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런 기다림은 기회를 잃게 만듭니다.
반면 현명한 사람은 불확실하기 때문에 그 속에 숨겨진 더 좋은 기회를 찾게 됩니다.
‘인생의 참 맛은 불확실성과 도전, 위험한 선택에서 비롯됩니다.’ (철학자 존 롤스)
진품이 되길 원한다면, 설령 불편하더라도 불확실성을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