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깨달음은 갑자기 온다.
어느 순간, 그동안 지니고 있던
생각을 버리고 전혀 다른 시선으로
사물을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삶을 만들어가는 과정도
깨달음을 얻는 것과 비슷하다.


- 리처드 J. 라이더 등의《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깨닫게 되는 것들》중에서 -


* 깨달음은 갑자기 온다?
그렇지 않습니다. 갑자기 오는 것처럼 보일 뿐입니다.
그것은 마치 물이 끓는 이치와 같습니다. 물은
99도 온도에 이르기까지는 아무 일도 없는 듯
잠잠하다가 1도 더 높여 100도가 되었을 때
비로소 '갑자기' 끓게 됩니다. 깨달음은
99도까지 삶을 숙성시킨 사람에게
어느 순간 갑자기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동과 행복의 역치가 낮은 사람  (0) 2023.02.11
기억의 뒷마당  (0) 2023.02.10
살아야 할 이유  (0) 2023.02.08
'우리편'이 주는 상처가 더 아프다  (0) 2023.02.07
아, 그 느낌!  (0) 2023.02.06
반응형

[백준] 1004번 어린완자 the Little Prince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04

 

1004번: 어린 왕자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 출발점 (x1, y1)과 도착점 (x2, y2)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행성계의 개수 n이 주

www.acmicpc.net

 

어린 왕자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128 MB 33687 14843 12410 45.196%

문제

어린 왕자는 소혹성 B-664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한 송이 장미를 위해 살아간다. 어느 날 장미가 위험에 빠지게 된 것을 알게 된 어린 왕자는, 장미를 구하기 위해 은하수를 따라 긴 여행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린 왕자의 우주선은 그렇게 좋지 않아서 행성계 간의 이동을 최대한 피해서 여행해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어린 왕자가 펼쳐본 은하수 지도의 일부이다.

빨간 실선은 어린 왕자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도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최소화하는 경로이며, 원은 행성계의 경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지만 적어도 3번의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은하수 지도, 출발점, 도착점이 주어졌을 때 어린 왕자에게 필요한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행성계의 경계가 맞닿거나 서로 교차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행성계 경계에 걸쳐진 경우 역시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 출발점 (x1, y1)과 도착점 (x2, y2)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행성계의 개수 n이 주어지며, 세 번째 줄부터 n줄에 걸쳐 행성계의 중점과 반지름 (cx, cy, r)이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어린 왕자가 거쳐야 할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출력한다.

제한

  • -1000 ≤ x1, y1, x2, y2, cx, cy ≤ 1000
  • 1 ≤ r ≤ 1000
  • 1 ≤ n ≤ 50
  • 좌표와 반지름은 모두 정수

예제 입력 1 복사

2
-5 1 12 1
7
1 1 8
-3 -1 1
2 2 2
5 5 1
-4 5 1
12 1 1
12 1 2
-5 1 5 1
1
0 0 2

예제 출력 1 복사

3
0

예제 입력 2 복사

3
-5 1 5 1
3
0 0 2
-6 1 2
6 2 2
2 3 13 2
8
-3 -1 1
2 2 3
2 3 1
0 1 7
-4 5 1
12 1 1
12 1 2
12 1 3
102 16 19 -108
12
-107 175 135
-38 -115 42
140 23 70
148 -2 39
-198 -49 89
172 -151 39
-179 -52 43
148 42 150
176 0 10
153 68 120
-56 109 16
-187 -174 8

예제 출력 2 복사

2
5
3

 


T = int(input())
for _ in range(T):
    cnt = 0    
    x1,y1,x2,y2 = map(int, input().split())
    N = int(input())
    for i in range(N):
        cx, cy, cr = map(int, input().split())
        dist1 = (x1 - cx) ** 2 + (y1 - cy) ** 2
        dist2 = (x2 - cx) ** 2 + (y2 - cy) ** 2
        if (dist1 < cr**2 and dist2 > cr**2) or ( dist1 > cr**2 and dist2 < cr**2):
            cnt += 1
    print(cnt)

반응형
반응형

[백준] 1003번 피보나치 fibonacci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

 

1003번: 피보나치 함수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www.acmicpc.net

"""_summary_
   1003번 피보나치 함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fibonacci(0)은 0을 출력하고, 0을 리턴한다.
        fibonacci(2)는 fibonacci(1)과 fibonacci(0)의 결과를 얻고, 1을 리턴한다.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의 결과를 얻고, 2를 리턴한다.
        1은 2번 출력되고, 0은 1번 출력된다. N이 주어졌을 때,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0
            1
            3
        예제 출력 1 
            1 0
            0 1
            1 2
        예제 입력 2 
            2
            6
            22
        예제 출력 2 
            5 8
            10946 17711
 
처음에 zero는 1,0,1로 나열되고 one은 0,1,1로 나열된다.
그 이후의 n번째부터는 피보나치 수열(N2 = N1 + N0)로 나열된다.

그렇다면 이제, 규칙을 가지고 구현해보자.

0과 1의 초기배열을 먼저 만들어준다.
0은 [1,0,1] 1은 [0,1,1] 로 정해져있음.
for문으로 초기배열 이후 피보나치 수열로 구한 값을 배열에 추가해준다.
각 테스트케이스마다 0과 1의 횟수를 공백으로 출력해야한다.

"""

t = int(input())
zero = [1,0,1]
one = [0,1,1]

def fibo(n) : #[0,1,3]
    if len(zero) <= n :
        for i in range(len(zero), n+1) :
            zero.append(zero[i-1]+zero[i-2])
            one.append(one[i-1]+one[i-2])
    print(zero[n],one[n])

for i in range(t) : #[3]
    a = int(input()) #[0,1,3]
    fibo(a)
반응형
반응형

리더는 다른 사람을 최우선시 함으로써 맨 앞에 설 자격을 얻는다.
다른 사람을 자극하는 것이 리더의 주된 임무이다.
다른 사람들이 최고가 되지 않고서는 리더 역시 최고가 될 수 없다.
리더의 권위는 봉사와 희생에서 생긴다.
봉사와 희생이 권한과 권력을 권위로 바꿔준다. 자신을 낮출수록 팀은 더욱 강해진다.
- 켄 제넹스 & 곤슈탈 베르트


리더로서 역할이 커지면 커질수록 봉사의 역할도 함께 커집니다.
구성원 한사람 한 사람이 성공하도록 돕는 것이 리더의 성공을 결정합니다.
윌리엄 제임스는 말합니다.
“평생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습관이 있는 리더야말로 유산을 만들어낸다.”

반응형
반응형

제2차 대전 당시, 유태인 의사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곳은 지옥보다 더 끔찍한 곳이었다. 발진티푸스에
걸리고 만 그는 고열에 시달리며 생사를 넘나들었다.
하지만 그는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살아야 할 이유가 있었다. 병마를 이겨낸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의 수감자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가치 있는
목표를 가진 사람이 살아남은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호아킴 데 포사다의《바보 빅터》중에서 -


* 당신의
살아야 할 이유는 무엇입니까?
당신께 묻는다면 무어라 답하겠습니까.
사랑하는 사람 때문에 우리는 살아야 합니다.
선한 목표와 꿈이 있기 때문에 살아야만 합니다.
고난과 역경이 절망의 끝이 아니라 희망의 시작임을
증명하기 위해 더 열심히 살아남아야 합니다.
살아있는 것이 사랑입니다.
가장 큰 승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의 뒷마당  (0) 2023.02.10
깨달음  (0) 2023.02.09
'우리편'이 주는 상처가 더 아프다  (0) 2023.02.07
아, 그 느낌!  (0) 2023.02.06
좋은 독서 습관  (0) 2023.02.03
반응형

 

인공지능 시대
일잘러가 되는법

 

물론 인공지능이 앞서 말씀 드린 스스로 학습하고 일하는 인공 일반 지능이 아닌 이상에야, 당장 인간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 같아요. 다만 미래의 세상에는 인공지능을 잘 다루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위상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믿어요. 예를 들어 챗GPT로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요?

 

정확한 정보 검색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다면, 더 빠른 속도로 정보를 찾을 수 있어요. 지메일 창업자인 폴 부하이트는 구글이 혼란에 빠지는 데까지 1~2년이 안 남았다고 경고를 했을 정도입니다. 향후 실시간 데이터를 받아들일 경우 정확하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사람이 더 업무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 질문을 입력하는 기술(?)이 필요해요.

 

글을 작성한다

사실 글을 쓴다는 것은 고단한 일인데요. 논란이 있지만 직장에서라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유용해요. 오히려 유펜 교수인 이던 몰리는 학생들한테 일부러 챗GPT를 권장한다고 해요. “공부 알아서 하고, 더 정확하고, 더 엄격한 리포트를 갖고와하고 말이죠. 글의 눈높이가 앞으로는 더 높아질 듯 합니다.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런 기능은 잘 안써 봤는데요. GPT를 활용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고 해요. 어떻게? 좀 더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 데이터 요약 요청
  • 데이터 관계 설명을 요청
  •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예측을 요청해 본다 (안되네요..)
  • 데이터 시각화를 요청 (아직은 안됩니다)
  • 추가 분석을 위한 권장 사항을 요청

 

시간 관리에 활용

유튜버인 Micha는 챗GPT를 활용해 작업 일부를 자동화하는 영상을 시연했는데요. 좌표는 여기. 인공지능을 활용해 일정과 작업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고 해요. 예를 들어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과 상사와 회의 일정을 잡는 것처럼 일정이 겹쳐버린다면? 시간 단위로 가능한지 여부를 알려준다고 해요. 개인 비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