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겨울 채비를 하는 계절이 돌아왔다.
나무의 겨울 채비는 낙엽 지는 일로 시작한다.
가지에 무성하던 잎들의 미련을 냉정히 뿌리친다.
때가 되면 지난 계절 생명줄이었던 물을 끊어내는
것이다. 그다음은 농축이다. 몸속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숨조차 제대로 쉬지 않고 버틴다.
그리고 다시는 잎사귀를 달지 않을 것처럼
빈 가지로 겨울을 난다.


- 김정묘의 《마음 풍경》 중에서 -


* 겨울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나무도 사람도 겨울 채비가 필요한 때입니다.
나무의 겨울 채비는 잎을 떨구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 무성했던 잎들을 단 하나도 남기지 않고 버리는 것입니다.
빈 가지로 겨울을 나야 얼지 않고 견디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두 버려야 새봄에 다시 새싹을
낼 수 있음을 나무는 압니다. 빈 가지가
되는 것이 겨울을 나는 길입니다.


채비

: 어떤 일이 되기 위하여 필요한 물건, 자세 따위가 미리 갖추어져 차려지거나 그렇게 되게 . 또는  물건이나 자세.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앉자  (0) 2021.10.27
'거대한 가속'의 시대  (0) 2021.10.26
묵언의 터널  (0) 2021.10.25
가난한 자들이 기뻐할 때까지  (0) 2021.10.22
파종과 추수, 거대한 순환에 대하여  (0) 2021.10.21
반응형

만약 우리에게 겨울이 없다면
봄은 그렇게 즐겁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에게 고난이 없다면
성공 역시 그토록 환영받지 못할 것입니다.
- 앤 브래드스트리트


"성공하는 사람들은 기꺼이 스스로를 불편한 상태로 만드는 반면,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모든 결정에서 편안함을 추구합니다."
그렌트 카돈의 '10배의 법칙'에 나오는 말입니다.
근심할 일은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나중에 즐기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을
실천에 옮길 줄 알아야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만약 우리에게 겨울이 없다면
봄은 그렇게 즐겁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에게 고난이 없다면
성공 역시 그토록 환영받지 못할 것입니다.
- 앤 브래드스트리트


"성공하는 사람들은 기꺼이 스스로를 불편한 상태로 만드는 반면,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모든 결정에서 편안함을 추구합니다."
그렌트 카돈의 '10배의 법칙'에 나오는 말입니다.
근심할 일은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나중에 즐기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을
실천에 옮길 줄 알아야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겨울 산이 적막한 것은
추위 때문이 아니라 거기 새소리가
없어서일 것이다. 새소리는 생동하는
자연의 소리일 뿐 아니라 생명의
흐름이며 조화요 그 화음이다.

- 법정의《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중에서 -


* 적막해도
겨울산은 깊은 묘미가 있습니다.
새소리 대신 찬바람이 거세도 시야가 트여
눈이 시원해집니다. 모든 것이 보입니다.
눈발이 날리거나 눈꽃이 피는 날에는
눈부시게 아름답습니다.
멋진 화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방향  (0) 2020.01.10
참된 자기 모습  (0) 2020.01.09
좋은 상상력  (0) 2020.01.07
자식과 부모 사이  (0) 2020.01.06
나는 나다  (0) 2020.01.04
반응형

저녁 밥상에 올려놓은
흰밥을 먹다가
문득 쳐다본 창밖
짙은 어둠이 밀려드는 산자락 앞으로
하얀 새 한 마리가 날아간다
저 흰색의 새가
왜 인간의 영혼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이모나 엄마, 아버지,
속절없이 떠난 언니의 영혼이라고
믿는 저녁


- 한순의 시집《내안의 깊은 슬픔이 말을 걸 때》에 실린
              시〈하얀 새〉(전문)에서 -


* 옹달샘에도 겨울이 오고 있습니다.
화려했던 단풍은 지고 벌거벗은 나무들이
거세지는 찬바람에 부딪치듯 떨고 있습니다.
그 사이에 갈색 꿩 한 마리가 푸드득 푸드득
날갯짓을 하며 날아갑니다. 아, 살아 있구나!
벌거벗은 나무들도, 갈색 꿩 한 마리도!
하늘나라에 먼저 가신 이들이 불현듯
생각나고, 속절없이 떠난 우리
아이들의 영혼도 보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산병  (0) 2016.11.29
피하고 싶은 고통  (0) 2016.11.25
아이디어와 민주적인 활동  (0) 2016.11.23
내 몸을 내가 알아야...  (0) 2016.11.22
'돈'보다 중요한 것  (0) 2016.11.21
반응형
나무의 나이테가 우리에게 가르치는 것은
나무는 겨울에도 자란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겨울에 자란 부분일수록
여름에 자란 부분 보다 훨씬 단단하다는 사실입니다.
- 신영복
‘좋은 쇠는 뜨거운 화로에서 백번 단련된 다음에 나오는 법이며,
매화는 추운 고통을 겪은 다음에
맑은 향기를 발하는 법’입니다.(역경)
‘위대한 인간이란 역경을 극복할 줄 아는 동시에
그 역경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니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