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동안 쌓아온
자신만의 이력과 그 과정에서
직접 부딪치며 깨달은 것들이 있을 것이다.
그 낱낱의 이야기들 속에서 사람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포인트들을 살펴보자. 혼자 떠드는
이야기는 사람들의 호응을 얻기 어렵다. 그러나
상대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글, 위로를 건네고
용기를 불러일으키는 글, 상대의 가슴을
파고들어 치유를 주는 글은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퍼져나가며
생명력을 얻는다.


- 김대근의 《먹히는 글쓰기 끌리는 말하기》 중에서 -


* 뜻밖에도
혼자 떠드는 사람이 많습니다.
교만하거나 절제력을 잃으면 자신도 모르게
혼자 떠들게 됩니다. 타인의 공감을 얻기가 어렵고,
도리어 반감을 사기 쉽습니다. 사람의 말과 글은
영혼의 무늬입니다. 침묵 속에 경청하고, 사랑과
위로를 담은 말을 건네고, 치유와 기쁨을 주는
글을 공유하는, 그런 사람이 많아질 때
우리 사회는 한 뼘이라도 더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심과 공정이 이끄는 세상  (0) 2025.03.28
역사를 지닌 동물  (0) 2025.03.27
괴팍한 노인네가 안되려면  (0) 2025.03.25
역풍(逆風)  (0) 2025.03.24
최악  (0) 2025.03.24
반응형

결국 나를 글쟁이로
만든 것은 고난의 경험이었다.
글의 재료는 행복한 시간보다 불행한 시간,
고난의 시간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재수 없는' 시간, 일생에서 가장 재수 없는 저점의
시간에 만들어진다. 사람을 믿었다가 한순간에 똥통에
빠진 그 재수 없는 시간이 나를 독서가로 만들었고,
고되고 힘들었던 고난이 나를 글쟁이로 만들었다.


- 고도원 윤인숙의《고도원 정신》중에서 -


* 누구에게나 물어보면 자신의
인생을 한 권의 책으로 쓸 수 있다고들 합니다.
그중에서도 행복했던 시간보다는 힘들고 어려웠던 시간이
더 기억나고 오래 남습니다. 그런 힘든 순간이 우리 삶을
바꾸는 터닝 포인트가 되기 때문입니다. 삶의 여정에서
걸려 넘어진 부분이야말로 신이 우리에게 주신 커다란
보물의 끝자락인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 삶의
모든 것은 버릴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2023.03.07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2023.03.06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2023.03.03
'나'는 프리즘이다  (0) 2023.03.02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0) 2023.03.01
반응형

말과 글이 거칠면
그 나라 사람의 뜻과 일이
다 거칠어지고, 말과 글이 다스리어지면
그 나라 사람의 뜻과 일도
다스리어 지나니라.


- 주시경의 '한나라말'('보성중친목회보' 제1호) 중에서 -


* 말과 글.
그 사람의 거울입니다.
그 사람이 품은 뜻과 일과 정신입니다.
최명희 작가는 '언어는 영혼의 무늬'라 했습니다.
자기가 쓰는 언어의 격과 수준에 따라
출렁이는 그의 삶과 영혼의 무늬를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나의 불행이다  (0) 2022.11.22
내 몸을 내가 모른다  (0) 2022.11.18
'치료'와 '치유'  (0) 2022.11.16
자아 존중, 자아상  (0) 2022.11.15
'현대판 칸트'  (0) 2022.11.14
반응형

말과 글이 거칠면
그 나라 사람의 뜻과 일이
다 거칠어지고, 말과 글이 다스리어지면
그 나라 사람의 뜻과 일도 다스리어 지나니라.

- 주시경이〈보성중친목회보〉(제1호)에 쓴《한나라말》 중에서 -

* 사람의 말과 글, 뜻과 일은
하나로 통합니다. 말이 글을 낳고,
그 글이 그 사람의 뜻을, 그 뜻이 그 사람의 일을
일러줍니다. 말과 글이 가벼우면 뜻과 일도
가벼워지고 전체 삶까지 가벼워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삶이 바뀌지 않고
글도 바뀌지 않는다.
익숙한 글감을 쓰면서 늙어가지 않고,
내가 좋아하며 알고 싶은 세계로 삶을 옮긴
것이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파종부터 탈곡까지
논농사를 지었다. 수확한 벼 품종은 630종이다.
텃밭과 정원을 가꾸는 것도 만만치 않았다.
농번기 두 달은 집필을 멈추고
들녘으로 향했다.


- 김탁환의《섬진강 일기》중에서 -


* 농사꾼이 농번기를 놓치면
그해 농사는 보기 좋게 망치고 맙니다.
농번기 두 달은 모든 일을 제쳐놓고 들녘에서
살아야 합니다. 날씨를 살펴 비 내릴 때는 논두렁
물꼬를 열고, 비가 개면 얼른 물꼬를 막아야 합니다.
그 모든 과정에서, 글쟁이는 수많은 글감을 얻게
됩니다. 농번기에 일을 열심히 한 사람만이
더욱 풍요로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정하세요  (0) 2022.08.05
사랑하는 연인의 사진  (0) 2022.08.04
퇴직 후 노후 대책  (0) 2022.08.02
희망이란  (0) 2022.08.01
사랑의 힘은 원망보다 크다  (0) 2022.08.01
반응형

초등학교도 제대로 못 나온 내가
글을 써서 한 권의 책이 되어
내 손에 돌아오다니
고르지 못한 생각들이 글이 되어
내 품에 안기다니
앞으로 구십이 넘도록 글을 써야지

비록 받침도 틀리고
글씨도 들쑥날쑥하지만
문우들이 함께하니 아무 걱정이 없다.


- 노은문학회가 펴낸《2021 노은문학》에 실린
  박명자의 시〈감사1〉전문 -

* 글 쓰는 것 나이가 없습니다.
학력도 글재주도 필요 없습니다.
소녀처럼 앳되고 순수한 마음이면 충분합니다.
구십을 넘고 백 살을 넘어도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꿈꾸는 것도 나이가 없습니다. 본인이 이루지
않아도 좋습니다. 물려주고 가면 됩니다.
글도 꿈도 유산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춰진 과녁  (0) 2022.01.13
오산천의 추억  (0) 2022.01.12
겨울꽃, 고드름  (0) 2022.01.10
나의 일 사랑하기  (0) 2022.01.10
한 시간에 2,400보를 걷는 아이  (0) 2022.0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