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여행하다
사랑하다
사진찍다
이 셋은 같은 말이다
그날의 바람,
그날의 구름,
그날의 몸짓,
그날의 웃음소리를 기억한다는 것.
그것이 여행일 것이다.
그것이 아마 사랑일 것이다.


- 최현주의《그 여자, 인도여행》중에서 -


* 여행, 사랑, 사진.
이 세 가지에 공통점이 있습니다.
마음의 앨범에 남아 오래 기억된다는 점입니다.
아름다운 기억도 있고, 슬픔과 아픔과 고통의
기억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기억들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줍니다.
더 사랑하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잠시 전 자동차를 타고
올 때만 해도 내가 머릿속에 그렸던 것은
군대 가기 바로 직전 보았던 스물두 살 무렵의
자현이 얼굴이었다. 그때 그대로는 아니지만,
나이는 먹었어도 그래도 옛 모습이 많이 남아있는
얼굴이었다. 첫사랑의 느낌은 나이를 먹지 않아도
그 첫사랑은 어쩔 수 없이 나이를 먹은 얼굴로
내 앞에 서 있었다. 내가 마흔두 살이듯
자현이도 마흔두 살인 것이었다.
"오랜만이다. 정말."


- 이순원의《첫사랑》중에서 -


* 세월이 흘렀어도 첫사랑의 느낌은
20년 전 그 시간, 그 자리에 머물러 있습니다.
나이들어 몸은 늙었어도 마음만은 늘 청춘입니다.
그 첫사랑의 기억이 우리를 풋풋하게 합니다.
그 풋풋함이 말라버린 내 마음을
다시 촉촉하게 적셔 줍니다.
꽃이 피어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을 끓이며  (0) 2016.05.02
사랑이 깃들어진 손길  (0) 2016.04.30
꽃에 물을 주는 사람  (0) 2016.04.28
기적의 섬  (0) 2016.04.27
두 팔 벌려 안고 싶다어린  (0) 2016.04.26
반응형

치유란 무엇을 의미할까?
기억을 치유한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
부정적인 믿음, 화, 좌절감, 분개, 죄책감,
절망감 그리고 그 밖의 파괴적인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는 뜻이다.


- 알렉산더 로이드, 벤 존슨의《힐링코드》중에서 -


* 기억은
이미 지나간 과거의 파편들입니다.
파편이고 흔적일 뿐인데 언제든 다시 살아나
멀쩡하던 사람을 바닥부터 뿌리째 흔들어 놓습니다.
치유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지워버리는 것'과
'뜻을 찾는 것'입니다. 그것이 명상입니다.
기억을 치유하는 것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립심과 이타심  (0) 2016.03.24
혀를 다스리는 기술  (0) 2016.03.23
한 걸음 물러서는 것  (0) 2016.03.21
메모도 쌓이면 노하우가 된다  (0) 2016.03.19
힘내요! 나도, 당신도.  (0) 2016.03.18
반응형
기억되지 못한 것은
일어나도 일어나지 않은 것과 다를 바 없다.
인생 후반으로 갈수록 사물이나 장소에 대한 기억이
삶을 추동시키는 커다란 힘임을 알게 된다. 인생이
깊어질 수 있는 것은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삶을 좀 더 풍요롭게 하고자 한다면
부지런히 기억하는 수밖에 없다.


- 신순옥, 최서해, 최인해의《아빠의 서재》중에서 -


* 생각해 보니 매일매일 일어나는
수많은 일 중, 나의 기억에 남은 이야기가
그다지 많지 않다는 사실에 문득 서글퍼집니다.
깊이있고 풍성한 삶은 기억으로 만들어지는 만큼
나의 삶, 나의 경험들을 부지런히 잘 기억해
이야기들을 만들어내야겠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성에 핀 한송이 꽃  (0) 2016.02.16
당신을 위한 기도  (0) 2016.02.15
살아야 할 이유  (0) 2016.02.12
인간성  (0) 2016.02.11
그리움의 끝은  (0) 2016.02.06
반응형
얼굴을 높이 쳐들려고 하지 않는 젊은이는
발밑만 내려다보고 사는 사람이 될 것이다.
하늘높이 비약하려고 하지 않는 정신 상태를 가진 사람은
땅바닥만 기어다니는 운명을 면치 못할 것이다.
- 벤자민 디즈레일리

 

전두엽에는 미래의 목표를 기대하고 마음에 품어
현재의 불편함이 미래의 목표를 이루는 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미래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힘든 준비과정에 마음속으로
이미 꿈을 이룬 자신의 모습을 그릴 수 있다면
훨씬 수월하게 자신의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것을 ‘꿈 바라보기 기술’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제 정답을 말하겠다.
이 정답은 중대한 핵심이며
우리가 이 책을 쓴 진정한 목적이다.
체내 스트레스가 생기는 원인에 대한 답은
우리가 수년 동안 알고 논의해왔던 내용이지만
이제야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스트레스는 세포의 기억이
일으킨다.'


- 알렉산더 로이드, 벤 존슨의《힐링코드》중에서 -


* 만병의 원인인 스트레스,
그 스트레스의 원인이 세포의 기억이라 합니다.
그것이 정답이라면 다행히 해결의 정답도 있습니다.
나쁜 기억을 좋은 기억으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너무 아픈 세포의 기억도 따뜻한 사랑의 말,
사랑의 포옹, 힐러의 손길로 어루만지면
눈 녹듯이 녹아내립니다.
정답은 사랑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