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비바람과 눈보라 속에서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상록수처럼
청년들의 어깨 위로 불안과 서투름이 휘몰아쳐도
그들의 푸르름을 앗아갈 수 없도록 제 어깨를
내어주고 싶습니다. 거대한 바다도 새 세상을
향해 떠나는 모험가들을 가로막을 수 없었던
것처럼 청년들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각자의
모험을 떠날 수 있도록 바람이 되어
그들의 배가 바다를 가로질러
나아가도록 격려하고
싶습니다.


- 이문수의《누구도 벼랑 끝에 서지 않도록》중에서 -


* 청년들의 어깨에는 언제나
비바람 눈보라 삭풍이 몰아칩니다.
배고픔이나 굶주림에서 오는 고통은 아니지만
이 시대의 청년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상대적 박탈감과
불안과 무거움이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아직은
서투르기 때문에 제대로 기댈 수 있는 '더 큰 어깨'가
필요합니다. '우리 때는 더 힘들었어'가 아닌,
다시금 도전하고 모험에 뛰어들 수 있는
위로와 격려의 멘토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해 봄'을 응원합니다  (0) 2022.01.24
눈물 범벅, 땀 범벅, 콧물 범벅  (0) 2022.01.21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0) 2022.01.19
'아름다운' 넘어짐  (0) 2022.01.18
꽃을 피울 준비  (0) 2022.01.17
반응형

사실 인간은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누구나 어떤 궁극적 '헌신의 대상'을 찾는다.
자기 삶에 의미와 목적을 제공할 궁극적 가치,
지고선 같은 것이다. 그것이 신이든, 사랑이든,
사회정의든 혹은 한 국가나 정당이나 사회단체든,
또는 돈, 명예, 쾌락, 스포츠, 심지어 도박 같은
것이든, 우리의 궁극적 관심과 헌신의 대상이
되는 것은 모두 '종교적' 의미를
지니게 된다.


- 길희성의《종교에서 영성으로》중에서 -


* 사람은 누구나
사랑의 대상, 헌신의 대상이 필요합니다.
부모, 자녀, 배우자, 멘토, 스타, 신(神) 등등.
그 대상을 위해 모든 것을, 심지어 목숨까지도
바칠 수 있습니다. 나를 텅 비워야 가능한 일입니다.
나를 불태울 수 있어야 하고, 온몸을 풍덩 내던질 수
있어야 합니다. 사랑하고 헌신하는 것은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아픔과 상처와 희생을
각오하는 것이며, 그 안에서 평화와 기쁨을
얻는 것입니다. 헌신의 대상을 통해
내가 성장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을 피울 준비  (0) 2022.01.17
춥지요?  (0) 2022.01.17
감춰진 과녁  (0) 2022.01.13
오산천의 추억  (0) 2022.01.12
구십이 넘도록 글을 써야지  (0) 2022.01.11
반응형




못이 없던 시절에
집을 짓고 가구를 맞추고
배를 만드는 공정은 나무와 나무를
연결하는 일이었다. 목수는 연결하는 사람,
소통하고 이해하게 만드는,
평화를 만드는 이다.


- 김민식의《나무의 시간》중에서 -


* 목수.
나무만 있으면
무엇이든 만들 수 있습니다.
못이 없어도 물 한 방울 새지 않는 배도 만들고
그림같은 집도 지을 수 있습니다. 사람은 더합니다.
한 사람이 어떤 멘토를 만나느냐에 따라
그의 인생이 달라집니다.
'사람을 만드는 목수'
진짜 목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기쁨을 빼앗기지 않겠다  (0) 2020.10.28
'서번트십'이 답이다  (0) 2020.10.27
원하는 것을 현실로 만들려면  (0) 2020.10.26
파도치는 삶이 아름답다  (0) 2020.10.23
미래 교육의 핵심 가치 4C  (0) 2020.10.22
반응형

다행히 우리 부모님은
나의 특이함을 높이 샀다. 그래서
내가 식료품 창고에서 캔을 쌓아 놓고
몇 시간씩 놀아도 어머니는 먹을 것 가지고
장난치지 말고 다른 데 가서 놀라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창의적인 아이라는 증거라며 마음껏
놀 수 있게 창고 문을 닫아 주었다. 내가
장편 시리즈 드라마를 좋아하게
된 것도 다 어머니 덕분이었다.


- 숀다 라임스의《1년만 나를 사랑하기로 결심했다》중에서 -


* 특이한 아이일수록
지지와 응원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그 특이함이 개성으로, 재능으로,
창의성으로 이어져 '인물'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지지와 응원을 받지 못하면 외톨이로,
왕따로 이어져 '낙오자'가 되고 맙니다.
특이함을 인정해 주고 놀이터까지
만들어주는 사람이 진정한
멘토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이란  (0) 2020.08.03
내려야 보입니다  (0) 2020.08.03
정신적 외상을 입은 사람  (0) 2020.08.03
귀인(貴人)  (0) 2020.07.28
육체적인 회복  (0) 2020.07.28
반응형

모차르트는 여행을 많이 다녔다.
그는 걸출한 음악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그중 한 명이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다. 그는 런던에
찾아온 어린 모차르트에게 교향곡 작곡법을 가르쳤다.
이처럼 선배에게 지지와 사랑을 받은 모차르트는
자신의 후배에게도 이를 전했다. 1787년 어느 날,
그의 집에 한 소년이 찾아왔다. 바로 베토벤이었다.
서른한 살의 모차르트는 갓 열일곱 살이 된
소년에게 반해 이렇게 말했다.
"이 젊은이를 주목하십시오.
곧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릴 것입니다."

- 문갑식의《산책자의 인문학》중에서-


* 바흐는 모차르트에게,
모차르트는 베토벤에게 좋은 선배이자
좋은 멘토 역할을 했습니다. 타고난 재능이
아무리 빼어나도 좋은 스승, 좋은 멘토를 만나야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훗날 그 후배가
자신을 넘어서 더 뛰어난 인물이 되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받아들일 때
진정한 멘토 멘티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르다'를 기쁘게 인정하자  (0) 2019.11.11
작은 오름  (0) 2019.11.08
신의 숨결  (0) 2019.11.06
왜 하필 나인가?  (0) 2019.11.05
사람의 만남  (0) 2019.11.04
반응형

아무리 뛰어난
선수에게도 코치가 있습니다.
아무리 위대한 사람에게도 멘토가 있습니다.
그들은 내가 듣고 싶지 않은 말을 들려주고,
보고 싶지 않은 내 모습을 보여주고,
내가 원치 않은 일을 하게 합니다.

- 조정민의《사람이 선물이다》중에서 -


* 선수와 코치는 한 몸입니다.
둘이면서 하나인 공동 운명체입니다.
고락을 함께 하고, 희망을 함께 합니다.
어떤 코치, 어떤 멘토를 만나느냐에 따라
자기 능력을 열 배, 백 배 높일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이 합심하면 못 이룰 것이 없고,
합심하면 이루지 못해도
아름답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  (0) 2019.10.18
아름답게 시작하라  (0) 2019.10.17
말솜씨  (0) 2019.10.15
기립박수  (0) 2019.10.14
고치고, 고치고, 또 고치고  (0) 2019.10.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