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따뜻한 어둠은 바로 자궁이다.
생명을 잉태하고 따스하게 키워내는
어미닭의 품속처럼 우주의 자궁은 양수 속의
따스함으로 생명의 태동을 품고 있다. 가장
적절한 온도로 어둠은 빛을 품고 있다.
옴파로스 Ompharos!


- 디팩 초프라 등의 《당신이 우주다》 중에서 -  


* 자궁(子宮)은
아기의 궁전이라는 뜻입니다.
아기의 보금자리인 자궁은 어둡고 따스합니다.
생명이 자랄 수 있는 모든 것이 갖춰져 있습니다.
큰 의미에서 우주도 자궁과 같습니다. 수많은
별들이 어둠 속에 잉태되고 탄생합니다.
빛으로 태어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왜 사는 거지?'  (0) 2023.06.07
약속을 지키는지 하나만 봐도  (0) 2023.06.06
좋은 여행  (0) 2023.06.03
자신에 대한 탐구  (0) 2023.06.02
외톨이가 아니다  (0) 2023.06.01
반응형

빛의 뒤뜰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이 열린다  (0) 2023.05.23
영웅의 탄생  (0) 2023.05.22
베토벤의 산책  (0) 2023.05.19
아버지는 아버지다  (0) 2023.05.18
마음의 위대한 힘  (0) 2023.05.17
반응형

너의 세상은
네가 남기고 간
모든 작은 것들에 지나지 않아
여름 해는 쉽게 지지 않았다.
이제 그렇게 시간이 오래 남아 있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아직은, 그래도
아직은 눈부신 빛이 우리의 세상을
비추었다. 모든 작은 것들을.


- 브래디 미카코의 《인생이 우리를 속일지라도》 중에서 -


* 문득
소소했던 것들이, 미미했던 것들이
눈에 들어오고 귀해 보이는 때가 있습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의 한시성이 불현듯 깨달아져
눈물이 날 지경입니다. 손안에 움켜지려는 마음을
잠시 내려놓게 됩니다. 에고의 창고가 비어질 때
세상은 눈부십니다. 모든 작은 것들이
다시 살아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는 아버지다  (0) 2023.05.18
마음의 위대한 힘  (0) 2023.05.17
마음을 담은 손편지 한 장  (0) 2023.05.15
아름다움  (0) 2023.05.13
꽃이 핀 자리  (0) 2023.05.12
반응형

우리는
무엇인가를 얻으면 기뻐하고
반대로 잃으면 슬퍼한다. 하지만
얻음과 잃음은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예컨대 누구라도
어린 시절을 거쳐야 청년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것은 어린아이로부터 청춘을 얻었다고 할 수
있지만, 반대로 유년 시절을 잃어서 건강한
성인이 된 것과 다르지 않다.


- 이일야의《마지막 말의 철학》중에서 -


* 우리는 매 순간
세포를 잃음으로써 새 세포를 얻습니다.
씨앗이 껍질을 벗어야 새싹이 나오고, 애벌레가
고치를 벗어야 나비로 나옵니다. 아기집을 버려야
아기는 태 밖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세상 이치가
모두 그렇습니다. 그것이 순리입니다.
얻음과 잃음, 빛과 어둠은
늘 공존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락방의 추억  (0) 2023.03.23
어린 시절 부모 관계  (0) 2023.03.22
진실이면 이긴다  (0) 2023.03.20
봄은  (0) 2023.03.18
세상을 만나는 방식  (0) 2023.03.17
반응형

20여 년 전
실리콘밸리를 방문했을 때
"세계에서 미래가 가장 빨리 오는 곳"이라는
인상적 문구를 본 적이 있다. 고대와 중세 시절에는
100~200년 단위로 장기간에 걸쳐 국가 간의 경쟁이
이뤄졌다. 하지만 현대의 국가 간 경쟁은 10~20년
단위로 이뤄진다. 일례로 25년 전만 해도 중국은
한국의 하청 공장 정도로 취급됐지만, 지금은
한국 기업들의 가장 중요한 투자처이자
강력한 경쟁국이 되었다. 변화의
속도만큼이나 경쟁자들의
발전 속도도 빠르다.


- 민병두의《도시는 사람이다》중에서 -


* 1초, 2초, 1시간, 2시간.
시간의 절대 속도는 예나 지금이나 같습니다.
그러나 시간의 상대 속도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인류가 손으로 물을 떠마시기까지 1백만 년이 걸렸으나
지금은 초 단위로 세상이 바뀌고 있습니다. 미래는
더 그럴 것입니다. 빛의 속도로 다가오는 미래의
시간, 누가 먼저 자기 시간으로 만드느냐가
피할 수 없는 숙제가 되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뇌적 생각과 우뇌적 생각  (0) 2023.02.20
단 하나의 차이  (0) 2023.02.18
나를 버린 친모를 생각하며  (0) 2023.02.16
심리치유 과정에서 조심할 일  (0) 2023.02.15
시인에게서 내가 배운 것  (0) 2023.02.14
반응형

명상은
고통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알아 가는 거예요. 평생 외면했던
감정을 직면하게 되면 어찌 아프지 않을 수가 있겠어요.
자신의 구속과 아픔을 더 생생하게 느껴서 자유로워지는
거예요. 자신의 무지를 알아봐야지 지혜로워지는 거예요.
슬픔과 불안이 나쁘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지 벗어나게 돼요.
명상은 행복해지는 게 아니라 밝히는 거예요.
어둠을 밝혀야지 빛을 알게 돼요.


- 용수의《내가 좋아하는 것들 명상》중에서 -

나의 구속과
아픔, 무지를 마주하는 게
즐겁지만은 않겠지요. 도망가도
어느새 꼭 따라붙는 그림자.
인정하니 마음은 조금 개운해집니다.
슬픔과 불안, 빛과 어둠이 함께 살아가는
세상 속에서 나의 그림자에게 명상 등불
하나 쥐여줄게요. 새해에도
같이 살아봐요 우리.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개월 입양아와 다섯 살 입양아  (0) 2023.01.10
문병객의 에티켓  (0) 2023.01.09
혼자 잘났다고 생각하는 아이  (0) 2023.01.06
쉰다는 것  (0) 2023.01.05
튼튼한 사람, 힘없는 사람  (0) 2023.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