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단 하나다.
당신은 이미 충분히 강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그것을
깨우지 못하면, 당신 안의 가능성은 그저
죽은 꿈으로 남을 뿐이다. 그러니
스스로를 깨워라. 당신의 미래는
이미 당신 손안에
쥐어져 있다.
- 프리드리히 니체의 《위버멘쉬》 중에서 -
* 누구나
자신만의 삶과 꿈이 있습니다.
자기가 그린 청사진을 품고 때를 기다리는
씨앗들입니다. 누군가는 떡갈나무로, 누군가는
소나무로 자라날 것입니다. 더러는 곧게, 더러는
구불구불, 그러나 강인하게... 바로 그곳에서
글은 탄생합니다. 저도 제 안의 강인함을
일깨우고, 독자와 교감하며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 글을 씁니다.
삶
- 니체가 글을 쓰는 이유 2025.07.23
- 마음마저 가렸네 2025.07.04
- 100세 장수 노인의 특징 2025.07.02
-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2025.06.17
- 엄마의 마지막 얼굴 2025.06.13
- 우연은 없다 2025.06.05
니체가 글을 쓰는 이유
마음마저 가렸네
가려진 코와 입이
이제는 자연스레
익숙한 반쪽 얼굴
벗기도 어색하네
얼굴만
가리라 했지
마음마저 가렸네
- 최성자의 시조집 《수렴의 시간》에 실린
시조〈마스크〉중에서 -
* 코로나로 한동안 쓰던 마스크가
우리 삶의 많은 것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처음에는 답답하다가 차츰 익숙해지면서
얼굴만 가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까지
가리고 말았습니다. 마스크는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많습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나를' 찾는다 (0) | 2025.07.07 |
---|---|
신뢰 (0) | 2025.07.07 |
주의 깊게 듣기 (0) | 2025.07.03 |
100세 장수 노인의 특징 (0) | 2025.07.02 |
사랑에 빠진 사람은 (0) | 2025.07.01 |
100세 장수 노인의 특징
100세를 넘긴 장수 노인은
대개 결단력이 뛰어나다. 그들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그것을 향해 똑바로
나아간다. 하지만 삶이 적응을 강제할 때는
유연한 사고로 변화를 수용한다.
또 그들은 쉽게 타인의
호감을 산다.
- 마시 코트렐 홀 외의 《살아가는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중에서 -
* 상선약수(上善若水).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과 같은
삶의 지혜와 태도야말로 천수를 누리는 길입니다.
곳곳에 파인 웅덩이와 나뭇가지, 돌멩이에 걸려
마음을 추스르지 못하면 스스로 소중한
생명력을 깎아 먹는 일이 되고 맙니다.
막힌 길도 돌아 흐르는 물 같은 삶이
장수의 비결입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마저 가렸네 (0) | 2025.07.04 |
---|---|
주의 깊게 듣기 (0) | 2025.07.03 |
사랑에 빠진 사람은 (0) | 2025.07.01 |
세포자살 '아포토시스'(Apoptosis) (0) | 2025.06.30 |
악수 (0) | 2025.06.30 |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예술 활동이
수명을 연장한다는 것은 연구가 증명한다.
하지만 오래 사는 것과 일생을 충만하게 잘
사는 것은 다른 이야기다. 신체의 건강은
질병이 없는 상태만 말하는 게 아니다.
일생에 걸쳐, 심지어 이런저런 병이
몸 상태를 저하한다 해도 감정적
고통과 괴로움을 비교적 적게
겪으며 삶을 꽃피우는 것을
말한다.
- 수전 매그새먼의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중에서 -
* 일생을 충만하게 산다는 것은
주어진 시간을 의미 있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누구에게나 하루 24시간이 주어집니다. 그 시간을
어떻게 쓰는지에 따라 그의 삶이, 건강이, 영혼의
충만함이 달라집니다. 일도 열심히 해야 하지만
예술 활동, 운동, 휴식도 절대 필요합니다.
그래야 삶을 꽃피울 수 있습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감을 얻는 길이라면 (1) | 2025.06.19 |
---|---|
보지 않고도 본다 (0) | 2025.06.18 |
몸이 내 맘대로 안 움직인다 (3) | 2025.06.16 |
새벽 숲 (0) | 2025.06.16 |
엄마의 마지막 얼굴 (0) | 2025.06.13 |
엄마의 마지막 얼굴
나는 엄마에게
죽음을 준비해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엄마가 여덟 명이나 되는 형제들의 마지막
얼굴도 못 보고 떠나선 안 된다. 요양원에서
면회를 못 오게 해서 엄마 얼굴을 못 본
이모들도 있었다. 엄마가 이렇게
가 버리면 이들이 얼마나
비통해할까.
- 유미의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중에서 -
* 어머니의 마지막 얼굴,
누구든 한 번은 겪어야 할 운명의 시간입니다.
삶의 여정 끝에서 하는 마지막 인사는 긴 여운을
남깁니다. 특히 어머니를 떠나보내며 나누는 이별의
눈 맞춤은 비통합니다. 속절없이 꺼져가는 생명의
불씨를 하루라도, 아니 잠시라도 더 살릴 수
있기를 소망하지만 소용없습니다.
살아 계실 때 잘해드리는 것이
최선입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 내 맘대로 안 움직인다 (3) | 2025.06.16 |
---|---|
새벽 숲 (0) | 2025.06.16 |
깨진 수박 (0) | 2025.06.12 |
첫 수영 레슨의 기억 (0) | 2025.06.11 |
편하게 앉으렴 (1) | 2025.06.10 |
우연은 없다
사람은
우연히 태어나
우연히 죽는 것이다.
혼자서 살고 혼자서 죽는다.
죽은 뒤는 무無다. 이런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내셔널리즘에서 오는 현기증을 극복할 수
있을지 없을지가 달려 있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이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너무도 힘겨운
일이다.
- 서경식의 《디아스포라 기행-추방당한 자의 시선》 중에서 -
* 세상은 우연으로
점철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각지도 않게 우연히, 우연히, 그 우연들이
겹치고 겹쳐 필연이 되고 역사가 됩니다.
우연을 가장한 필연입니다.
우연은 없습니다.
-
우연 (偶然):원인 없이 예상치 못하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복권에 당첨되는 것은 우연한 일입니다.
-
필연 (必然):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할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방탕한 생활을 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몰락으로 이어지는 것은 필연입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지기 (0) | 2025.06.09 |
---|---|
페이스 조절 (1) | 2025.06.09 |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 2025.06.04 |
상처를 씻는다 (0) | 2025.06.04 |
새도 사나워질 수 있다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