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익숙한 패턴을 깨고
더 건강하고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지금 당장 세포가 신나게 춤을 추며 활짝 웃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더 좋은 방법은 실제로
춤추고 웃으며 몸속 세포들도
나와 똑같이 하고 있다고
상상하는 것이다.


- 에릭 프랭클린의 《세포 혁명》 중에서 -  


* 명상의 기법 중에
'심상화(心象化) 명상'이 있습니다.
마음속에 생각으로 상을 떠올려 시각화하고
그것을 현상화하는 작업은 단지 상상에 그치지
않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생각으로부터
생성되었습니다. 세포가 춤추며 웃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일상의 삶도
그렇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이란  (0) 2024.12.04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2024.12.03
첫눈  (0) 2024.12.02
손짓 하나만으로도  (0) 2024.11.29
영원한 연인  (0) 2024.11.28
반응형

연인이란
단 한 사람에게만
허락할 수 있는 자리이기에
우리는 누군가를 연인으로 인정하기까지
숙고를 거친다. 나와 함께하는 것이
그에게도 행복이 될 때 우리는
타인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 이두형의 《불완전한 삶에 관한, 조금은 다른 이야기》 중에서 -


* '소울메이트'(Soulmate),
영혼의 동반자라는 뜻입니다.
이번 한 번의 삶에서 만이 아니라
영혼까지 이어지는 영원한 연인입니다.
그러려면 서로의 영혼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살아 있을 때) 인내하고, 이해하고, 수용하며,
서로의 마음을 얻는 사랑이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눈  (0) 2024.12.02
손짓 하나만으로도  (0) 2024.11.29
멋진 걸 보는 눈  (0) 2024.11.27
부모의 책 읽어주기  (0) 2024.11.26
재테크보다 근테크가 더 중요하다  (0) 2024.11.25
반응형

삶이란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옛 성현들은 '안빈낙도'의
수양을 그치지 않았다. 그 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감사하는 마음'이다.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에
관계없이, 주어진 하루하루가 모두 우리 삶을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하루를 마치는 시간,
감사하는 마음으로 내가 나아갈 길을
생각하고, 이루고자 하는 일을
되새겨 보기를 바란다.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 조윤제의 《신독, 혼자 있는 시간의 힘》 중에서 -


* '가난을 편안히 여기고 도를 즐긴다'.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우리말로 푼 뜻입니다.
'안빈'이라 해서 가난이 좋다는 뜻으로 오해해선
안됩니다. 욕심을 버리라는 뜻도 아닙니다. 재물을
쫓아가는 일에 목숨 건 인생을 살지 말라는 뜻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이 '감사'입니다. 재물의 있고 없음,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늘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안빈낙도입니다.
그래서 '수양'(修養)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보다 근테크가 더 중요하다  (0) 2024.11.25
벌거숭이  (0) 2024.11.25
'왜 하필 나야?'  (0) 2024.11.21
무릎관절, 고관절, 허리관절  (0) 2024.11.20
마침내 너를 만나다  (2) 2024.11.19
반응형

몇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엘리자베스를 기억한다.
엘리자베스는 그토록 젊은 나이에 홀로
외롭게 죽어가야 했지만, 그가 슬퍼하거나
화내는 모습을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다.
엘리자베스는 절대로 '왜 하필 나야?'라고
묻지 않았다. 자신이 가진 것에
진정으로 감사했다.


- 해들리 블라호스의 《삶이 흐르는 대로》 중에서 -


* 영혼은
죽은 자의 것이 아닙니다.
살아있는 동안 보여준 삶 속에
그 사람의 영혼이 깃들어 있습니다.
이따금 우리는 '위대한 영혼'을 만납니다.
삶 앞에 다가온 불행에 "왜 하필 나야?" 묻지 않고,
주어진 모든 것에 진정으로 감사하는 사람이
성숙한 영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거숭이  (0) 2024.11.25
안빈낙도(安貧樂道) 수양  (0) 2024.11.22
무릎관절, 고관절, 허리관절  (0) 2024.11.20
마침내 너를 만나다  (2) 2024.11.19
깨달아야 한다  (0) 2024.11.18
반응형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기만의 이야기가 있다.
그건 기본적으로 우리의 믿음과 생각이
하나로 뭉쳐진 집합체다. 우리는 자신의
이야기 속에서 살아가고 있고, 그 이야기는
비록 사실이 아니더라도 우리의 진실이 된다.
우리는 자신의 기본적인 인생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기 삶에 그때그때
일어나는 일과 관련된
챕터를 만든다.


- 트레이시 리트의 《당신은 꽤 괜찮은 사람입니다》 중에서 -


* 가수 이은미가 말했습니다.
"나보다 노래 잘하는 사람은 많지만
나처럼 노래하는 사람은 나밖에 없다."
누구에게나 자기만의 삶, 자기만의 목소리와
자기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아무도 대신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자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몸 관리, 생각 관리, 건강 관리를 잘 해야
어제보다 더 나은 자기 이야기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0) 2024.11.08
돈은 '힘'이다?  (0) 2024.11.07
'좋은 선생님'이 된다는 것  (0) 2024.11.05
박테리아의 무서운 진화  (3) 2024.11.04
호떡집  (0) 2024.11.04
반응형

극단적인 괴로움과
지옥 같은 고통은 왜 오는 걸까?
두말할 나위 없이 집착에서 온다.
집착은 왜 하게 되는 걸까? 집착하는 대상으로
하여금 내가 원하는 욕심을 채워 행복하기 위함이다.
감정에만 취해서 복잡한 업의 내용을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고통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요원하다. 집착하는 만큼 고통의
과보를 감내해야 한다.


- 진우의《두려워하지 않는 힘》중에서 -


* 집착은
여러 형태의 내적 고통을 안겨줍니다.
집착이 강할수록 고통의 강도도 세집니다.
삶 전체를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지옥 같은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집착은 욕심에서, 그것도 이기적
욕심에서 비롯됩니다. 그 이기적 욕심을 이타적
꿈으로 방향을 바꾸는 순간 고통은 사라지고
마음의 평화와 행복이 찾아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  (0) 2024.10.21
혼은 어디로 갈까  (0) 2024.10.18
파종과 추수, 거대한 순환에 대하여  (0) 2024.10.16
저체온 여성이 늘고 있다  (1) 2024.10.15
인공지능  (0) 2024.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