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선한 노력은
반복될 때만이 착하다.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라.
다시 노력해야 할 때
절망 속에 주저앉아버리면 안 된다.


- 레프 톨스토이의《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중에서 -


* '다시 일어나라'는 말은
'다시 시작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계속해서 '반복하라'는 뜻과도 통합니다.
반복할 때 비로소 경지에 오르게 됩니다.
넘어지거든 주저앉지 말고
벌떡 일어나십시오.
다시 시작하세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감'을 넘어서...  (0) 2016.06.13
비움과 채움, 그리고 해독  (0) 2016.06.13
나의 장미꽃 한 송이  (0) 2016.06.09
바람에 흔들리니까 청춘이다  (0) 2016.06.08
몰두  (0) 2016.06.07
반응형

획기적인 발견은
그것이 온 과거와 그것이 시작되는
미래의 일부라고 말한다. 마치 길의 커브가
어느 한 방향의 끝이자 다른 방향의
시작인 것과 같은 원리다.

- 윌리엄 더건의《전략적 직관》중에서 -



* 숲길을 걸을 때도
늘 새로운 것들이 발견됩니다.
갑자기 새로운 것이 튕겨 나온 것이 아닙니다.
이미 존재했던 것을 처음으로 보았을 뿐입니다.
삶의 커브를 긍정의 방향으로 틀면
모든 것이 새롭게 보입니다.
획기적인 발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균형  (0) 2016.04.21
과일 가게 아저씨가 의사보다 낫다  (0) 2016.04.20
눈이 흐려지면...  (0) 2016.04.18
엎질러진 물  (0) 2016.04.16
'3필(必) 원칙'  (0) 2016.04.15
반응형

신궁이 되는 비결을 찾아 헤매던 궁수가
어느 산에 신궁이 있단 소식을 듣고 찾아갔다.
소문대로 표시된 과녁마다 예외없이 명중되어 있었다.
신궁에게 비결을 물었다.
“먼저 쏘아라.
그런 다음 붓으로 과녁을 그려 넣으면 된다.”
- 최윤식 저, ‘2030 기회의 대이동’에서

 

 

과녁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수시로 변화하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완벽하게 준비하느라
막상 화살을 쏘아보지도 못하고
타임아웃 될 위험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완벽주의는 때론 해악을 불러옵니다.
일단 지금 시작하는 것이 수많은 준비보다 훨씬 나은 시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아는 만큼 보는 것은 내 것이 아닙니다.
아는 만큼 행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내 것이 됩니다.


- 이철환의《못난이만두 이야기》중에서 -


* 문제는 시작입니다.
시작이 있어야 행함도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악보도 홀로 있으면 무엇합니까?
피아노에 앉아서 건반을 두드리기 시작해야
비로소 빛이 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기 있다. 봐라."  (0) 2013.07.01
삐뚤삐뚤 날아도...  (0) 2013.06.29
긍정 에너지  (0) 2013.06.27
내 인생 내가 산다  (0) 2013.06.26
함께 산다는 것  (0) 2013.06.25
반응형
작은 점 하나가
위대한 시작입니다.
새로운 경험과 경이로운 만남이 점이 되고
그 점들이 이어져 선이 되고 이야기(story)가 됩니다.
그 이야기가 빛나면 인생도 빛이 납니다.
그 이야기가 위대하면 그 사람의
인생도 위대해집니다.


- 고도원의《위대한 시작》중에서 -


* 위대한 사람에게는
반드시 '위대한 시작'이 있습니다.
새로운 경험, 새로운 발견, 새로운 만남!
그 한 번의 짧은 순간이 그 사람의 일생에
새로운 꿈을 안겨주는 '위대한 시작'입니다.
숨겨진 재능이 빛을 내기 시작하고
새로운 자신감과 도전이
시작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의 여왕' 장미  (0) 2013.06.07
사고의 틀  (0) 2013.06.06
힐러의 손  (0) 2013.06.04
'실속 없는 과식'  (0) 2013.06.03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0) 2013.06.01
반응형

당신 앞에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다.
망설이는 태도가 가장 큰 장애물이다.
결심을 가지면 드디어 길이 열리고
현실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러셀

 

마키아벨리는 ‘이 세상에서 가장 나쁜 지도자는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사람이 아니라,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이다’고 했습니다.
나폴레온 힐 역시
‘실패의 최대 원인은 결단력의 결여’라고 지적했습니다.
모든 일은 망설이는 것보다
불완전한 상태로 시작하는 것이 한 걸음 앞서는 것이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