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왜 저는 항상 저를
무시하는 사람들과 연애를 할까요?
처음엔 좋은 사람인 줄 알았는데, 결국엔
저를 존중하지 않는 사람으로 변해요."
그녀는 자신의 연애 패턴을 바꾸고 싶어 했지만,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알지 못했다. 코치가 물었다.
"이런 감정을 예전에도 느껴본 적이 있나요?"
그녀는 잠시 생각하더니 말했다.
"어릴 때 아버지가 저를 무시하는 말을 많이 했어요. "


- 김종명의 《코칭이 심리학을 만났을 때》 중에서 -


* 어린 시절 아버지의 한마디 말은
평생에 걸쳐 엄청난 심리적 영향을 줍니다.
특히 아버지에게서 들은 무시의 말은 잠재의식 속에
깊이 박혀 일정한 패턴이 되어, 반복해서 무시당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 패턴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이제
아버지가 아닙니다. 다름 아닌 자기 자신입니다.
'나는 괜찮은 사람이야.' 연애를 할 때마다
스스로 자기 최면을 거십시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가슴속 나만의 메시지  (0) 2025.10.31
지금 행복하세요  (0) 2025.10.30
순례길을 걷는 속도  (0) 2025.10.28
잠이 솔솔 온다  (0) 2025.10.27
가을  (0) 2025.10.27
반응형

스물두 살에 결혼한
타고르는 2남 3녀의 자식을 두었으나,
자식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자상한 아버지는
아니었다. 큰 아들 라딘드라나트는 "아버지는 자식들보다
문학을 더 사랑한다고 생각할 만큼 많은 시간을 글쓰기로
보내셨다. 그러나 성장하면서 차츰 아버지의 그 열정이
아버지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아버지는 우여곡절이 많은 인생을 사셨지만
자신의 소명을 완전히 실현하신 분"이라고
말했다.


- 하진희의《표현되었을 뿐 설명할 수 없습니다》중에서 -


* 아들이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는 나이는 언제일까요?
아마도 아버지의 나이가 되었을 때 일 것입니다.
물론 그때가 되어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겠지만
많은 원망과 섭섭함이 옅어지는 지점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평범한 아버지나 위대한 위인이나
그다지 다를 것이 없을 것입니다.  
더 늦기 전에, 하루라도 일찍
아버지를 이해하는 자식이
복을 받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가 길을 찾는 방법  (0) 2025.05.30
단 한 표 차로 역사가 바뀌었다  (0) 2025.05.29
늙은 바위와 씨앗  (0) 2025.05.27
진짜 마법 같은 일  (0) 2025.05.26
공분  (0) 2025.05.26
반응형

머릿속에
아버지를 떠올리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내 손이 수화를 하고
있음을 발견하곤 한다. 그리고 기억의
안개 저편에서 대답을 하는
아버지의 손이 보인다.


- 마이런 얼버그의《아버지의 손》중에서 -


* 청각 장애 때문에
오로지 수화로만 대화를 하던 아버지.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면 '입' 대신
'손'이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들.
그 아버지의 손에, 그 아들의
영혼이 깃들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법  (0) 2023.10.23
새벽은 아무에게나 오지 않는다  (0) 2023.10.20
상처에 빠져 허우적거릴 때  (0) 2023.10.18
'건강한 피로'  (0) 2023.10.17
그대, 지금 힘든가?  (0) 2023.10.16
반응형

아들에게는
아버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지난 수천 세대를 거치며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여 주었던 모습은 가족을 지키고 울타리가
되어 주던 강인함이었다. 아버지라는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은 어린 시절 부모에게서 받은
거부와 인정 결핍이 주요 원인이 된다.
자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데 인색한 부모는
자녀가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 최광현의 《아들은 아버지의 등을 보고 자란다》 중에서 -


* 아버지의 등에는
살아온 지난 역사가 새겨 있습니다.
특히 한국 전쟁을 경험한 이 땅의 아버지들은
참담하고 궁핍했던 시절을 주린 배를 움켜쥐고
살아야 했던 처절함이 배어 있습니다. 그 강인함 뒤에
숨어있는 열등감이 행여라도 자식들에게 보여질까봐
더 엄격했을지도 모릅니다. 이제는 있는 그대로
가슴을 열어 보이셔도 괜찮습니다. 누가 뭐래도
아버지는 아버지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늘  (0) 2023.05.21
베토벤의 산책  (0) 2023.05.19
마음의 위대한 힘  (0) 2023.05.17
네가 남기고 간 작은 것들  (0) 2023.05.16
마음을 담은 손편지 한 장  (0) 2023.05.15
반응형

"말은 꾸미지 마라.
쉬운 말이어야 한다.
거짓은 절대 금물. 미사여구를 쓰지 마라.
솔직해야 한다. 자세는 언제나 반듯해야 한다.
표정은 늘 밝게 해라." 아버지가 수없이
반복해서 가르친 말이었다.


- 고도원 윤인숙의 《고도원 정신》 중에서 -


* 시골교회 목사였던 아버지가
저를 웅변대회에 자주 내보내면서 강조했던 것이
'사람 앞에서 말하는 사람'의 마음과 태도였습니다.
"언어는 지식인의 무기"라고도 했습니다.
덧붙여 '무기'가 '흉기'가 되는 것을
한사코 경계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0) 2023.03.27
나는  (0) 2023.03.26
다락방의 추억  (0) 2023.03.23
어린 시절 부모 관계  (0) 2023.03.22
얻음과 잃음, 빛과 어둠  (0) 2023.03.21
반응형

나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 관계가 좋지 않았다.
무엇보다 소통이 되지 않아 힘들었다.
대학에 입학할 때까지 평생 아버지와 대화다운
대화를 나눈 시간은 아마도 다 합쳐도 2시간 분량도
안 될 것이다. 아버지와 나는 굉장히 어색한 부자
사이였다. 아버지가 날 사랑하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경상도 출신인 아버지는 아들과
대화하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았을 뿐이다.


- 최광현의《아들은 아버지의 등을 보고 자란다》중에서 -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아버지와 아들은 서먹합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단어도 그래서
생겼을지 모릅니다. 이 땅의 대부분의 아버지들은
아들이 자신과 같지 않기를 바랍니다. 자신이 이미
겪어봤기 때문입니다. 자신보다 더 잘 되고 더 나은
삶을 살기를 바라는 마음은 한결같습니다.
차갑고 투박한 언행 뒤엔 아버지의
뜨거운 사랑과 눈물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에 대한 태도  (0) 2023.03.08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2023.03.07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2023.03.04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2023.03.03
'나'는 프리즘이다  (0) 2023.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