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쉬운 길은 성장하는 방식이 아니다. 우리는 불편을 거치면서 성장한다.
성취도가 낮은 사람들은 편안함을 갈망하고, 성취도가 높은 사람들은
단순히 불편을 참거나 불편 속에서 잘해내는 게 아니라, 스스로 불편을 추구한다.
그들은 끊임없이 어려움의 정도를 높여서 어쩔 수 없이 스스로 분투하고,
확장하고, 개선하게 만든다.
불편함은 장애물이 아니라 출발선인 셈이다.
- 엘렌 스테인 주니어, ‘승리하는 습관’에서 

안전지대는 새장과 같습니다. 편안함은 우리의 적입니다.
편안함은 우리를 연약하게 만들고, 현실에 안주하게 만듭니다.
어떤 분야든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불편 속에서 성장했습니다.
역경이 우리를 키웁니다. 불편함이 편해지도록 스스로 훈련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고난의 시대에 태어난 것은 천재에게는 행운이다.
천부적인 능력을 발휘해 시대의 고난을 떨쳐내고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 영광스러운 무대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천재에게 고난의 시대는 기회의 또 다른 이름이다.
- 괴테 

평온한 시기에 영웅이 탄생하기는 어렵습니다.
고난과 역경은 영웅이 탄생할 터전을 만들어 줍니다.
고난과 역경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대신 이를 최고의 기회로 삼기 위한
역발상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좋은 위기를 낭비하지 말라(Never waste a good crisis)’
처칠의 말을 새겨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의 운명은 겨울철 과일나무와 같다.
그 나뭇가지에 다시 푸른 잎이 나고 꽃이 필 것 같지 않아도
우리는 그것을 꿈꾸고, 그렇게 될 것을 잘 알고 있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했습니다.
궁즉통(窮則通)입니다.
극단의 상황에 이르면 도리어 해결할 방법이 생기게 되어있습니다.
밤이 어두울수록 새벽이 가까운 법입니다.
역경은 희망에 의해 극복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높은 역경지수를 가진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첫째, 그들은 역경이나 실패 때문에 다른 사람을 비난하지 않는다. 
둘째, 그들은 자신을 비난하지 않는다. 
그들은 실패가 초라한 자신 때문에 생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이 직면한 문제가 규모나 지속력에 있어서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과 얼마든지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

경영과 사업을 함에 있어서 호황도 있고 불황도 있습니다. 
깊은 침체의 골을 잘 이겨내는 기업은 호황기에 그 빛을 발합니다. 
어떻게 보면 역경은 하늘이 내린 기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이나 경영자, 그리고 종업원 모두 
역경지수 (AQ: Adversity Quotient)를 높게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역경은 회복력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정신적 이상은 종종
개인적 성장을 촉진 시킨다.
과거에 역경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새로운 질병에 걸리거나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이 적었다.
삶에서 가장 힘든 경험이 무엇이든,
그것은 그 사람을 더욱 강하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역경 때문에 파멸할 운명을 타고 나지 않았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인생을 살아가면서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편이 더 좋기는 하지만,
결국 성장을 일궈내는 것은 어려운 시기입니다.
작은 좌절은 큰 수확의 징조입니다.
역경 속에서 희망과 의미를 찾아내는 능력은 인간이 갖춘 기본적인 역량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이베이라는 고국에서 쫒겨났다. 그래서
뿔뿔이 흩어져 새로운 집을 지어야만 했다.
이베이에서 쫒겨나 각자의 새 회사를 차리기까지의 역경은 마치
불구덩이에서 달궈지는 듯한 시련이었다.
그 불구덩이가 불순물을 모두 태워버리자 순도 높은 강철만이 남았다.
- 데이비드 색스 (페이팔 COO) 

페이팔 마피아가 탄생한 비결은 바로 고국에서 쫓겨난 시련에 있습니다.
역경이 없는 편안함은 안주를 가져옵니다.
안주는 시나브로 죽어가는 것과 같습니다.
고통과 시련은 당장은 힘들지만, 불순물을 제거해
순도 높은 강철을 만드는 주요 재료가 됩니다.
위대해지고 싶다면 편안함을 두려워하고, 고통을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