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삶의 무대에서 몰아치는 

파도와 만나면 누구나 주저앉고 싶어진다. 

하지만 그 파도가 나를 더 나은 곳으로 데려갈 

수도 있다. 두 손에 꼭 쥔 열정을 놓치지 않는다면,

열정으로 벅찬 가슴을 믿는다면, 그 무대는 

온전히 나의 것이 될 것이다. 


-  강수진의《한 걸음을 걸어도 나답게》중에서 - 



*  삶은 파도타기와 같습니다.

한없이 잔잔할 때도 있고 삼킬 듯 몰아칠 때도 

있습니다. 어느 쪽이든 피할 수 없습니다. 왜 이렇게 

파도가 계속 밀려오는 거야 하고 탓할 수 없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파도타기를 즐기는 것이고

더 좋은 것은 그 파도 위에서 

춤을 추는 것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고 맡겨라  (0) 2017.09.01
'멍 때리기'(default mode network)  (0) 2017.08.31
인생을 바꾸는 사건  (0) 2017.08.29
한 번 쉬어간다  (0) 2017.08.28
가장 영적인 행위  (0) 2017.08.28
반응형

열정을 느끼는 뭔가에 몰두하다 보면

삶이 바뀔 수 있고,

손을 뻗어 하늘에 닿을 수 있다.

- 시모어 번스타인 


사람은 누구나 무한 잠재력을 갖고 태어납니다.

적성에 맞는 일, 좋아하는 일,

사회적 가치가 있는 일을 찾아 열정을 다해 꾸준하게

도전한다면 누구나 자신의 무한한 잠재력이

현실이 되는 기적을 맛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운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역경을 견디지 못하고 포기해 버린다.

일이 잘되고 있을 때도 부정적인 일이 일어나면

바로 자신을 믿지 못하게 된다. 신념이 흔들린다.

이래선 성공에 도달할 수가 없다.

운이 좋다고 믿어야 운이 좋아진다.

- 니시다 후미오, ‘매일 매일 긍정하라.’에서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늘 긍정적으로 사고합니다.

긍정적 사고가 열정과 적극적 노력을 불러옵니다.

운을 느끼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믿기에

주위에 좋은 사람들이 몰려듭니다.

운이 좋다고 믿어야 성공이 따라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오직 나만을 생각하고 나만의 행복을 원한다면,

불행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내가 남을 돕지 않는다면,

자기 자신도 도울 수 없는 존재가 바로 사람인 까닭입니다.

행복하려면 타인에 대해 자비심을 가지세요.

- 달라이 라마, ‘한국인을 위한 달라이 라마의 인생론’에서

 

“평생 행복해 지고 싶다면, 다른 사람들을 도와라.”라는

중국 속담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받기 위해 주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 자체에서 기쁨을 느낍니다.

자신의 노력이 타인에게 유익을 가져오기 때문에 열심히 일합니다.

타인의 행복에 기여하려는 의도가 열정을 불러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대추나무에 상처를 내면 그해 대추가 더 많이 열린다.

조개 속 상처가 바로 진주이고,

많이 밟힌 길이 좋은 땅이 된다.

모두가 상처의 힘이다.

실패도 스펙이다.

- 안명옥 시인 


가시에 찔리지 않고는 장미를 모을 수 없습니다.

성공을 위해서도 가시에 찔리는 고통을 감수해야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상처를 경험했습니다.

그 상처를 열정의 에너지로, 재능의 발판으로 삼은 사람들이

곧 성공한 사람들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수행자가

제대로 수련하기 위해서는 

헌신, 열정, 끊임없는 각성, 꾸준한 노력 등 

네 가지 자질이 요구된다. 수행자도 수준에 따라 

약한 수행자, 보통 수행자, 열의에 찬 수행자, 최상의 

수행자, 이 네 가지로 나뉜다. 그리고 수행자의 단계도

네 가지로 나뉜다. 요가를 처음 시작한 초보자, 신체 

내면의 기능을 머리로 이해한 수행자, 지성을 몸의 

모든 부분과 연결시킬 수 있는 수행자, 자신의 몸,

마음, 영혼을 하나로 만든 수행자가 

그것이다. 


- B.K.S 아헹가의《요가 수트라》중에서 - 


* 모든 일에는

수준과 단계가 있습니다.

한 걸음에 최상의 달인이 될 수 없습니다.

고통스런 반복의 계단을 하나하나 어렵게 오르면서 

자라고 무르익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시작'입니다.

첫 단계부터 시작해야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단계에 이를 수 있고, 몸과 마음과 영혼이 

하나가 되는 경지도 맛볼 수 있습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가 더 중요하다  (0) 2017.06.12
고통의 짐  (0) 2017.06.11
'예술의 어머니'  (0) 2017.06.08
산삼을 대하는 태도  (0) 2017.06.07
케네디의 명연설은 어떻게 탄생했나  (0) 2017.06.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