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꿈과 희망을 먹고 사는 동물이라고 한다.
꿈과 희망은 오직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보다 나은 바람’을 바라는 특권이다.
이 특권을 초월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꿈과 희망이 없는 사람에게는 내일도 없다.
내일은 ‘내일이 있다고 믿는 사람’에게만 있다.
- 백영훈 원장, ‘대한민국에 고함’에서


모든 성공의 시발점은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 그리고 의지와 믿음입니다.
나의 꿈과 희망은 나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의 성취동기와 에너지를 낳고,
동기와 에너지는 실천을, 그리고 실천은 성공을 낳습니다.
3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낙담과 좌절을
꿈과 희망으로 돌릴 수 있음을 상기하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사실 우리에게도
그런 경험이 있다. 자기 인생의
과거, 현재, 미래에서 결코 피해갈 수 없는
사건들이 있음을 깨닫는 것 말이다. 지지부진한
사랑 끝의 이별, 잘못된 결혼 후의 이혼, 그 밖에도
병고, 사고 등 각자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고통과
마주하게 된다. 인간으로 태어나 살면서
어쩌면 처음부터 각오했어야 하는
고통들이다.


- 조은강의《마흔 이후 멋지게 나이 들고 싶습니다》 중에서 -


* 살다보면
피할 수 없는 일들이 많습니다.
늘 각오해야 합니다. 계획되고 예상했던 것보다
예기치 못한 일들이 더 많은 것이 우리네 삶이니까요.
혼자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일도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 안녕과 행운을 빌어줍니다.
뜻밖의 불운과 불행이 닥쳤을 때는 액땜을
했다고 위로도 해줍니다. 피해갈 수 없는
사건도 누군가와 함께 하면
피할 길이 보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 타는 법'을 먼저  (0) 2021.07.23
처음 손을 잡았던 날  (0) 2021.07.22
내가 '나다움'을 찾는 길  (0) 2021.07.20
산티아고 앓이  (0) 2021.07.19
조각 지식, 자투리 지식  (0) 2021.07.16
반응형

미국 저술가이자
비평가인 레베카 솔닛은
'이 폐허를 응시하라'라는 책에서
"거대한 재난은 낡은 사회질서를 작동 불능으로
만든다. 인간은 패배자가 되는 대신 새로운 사회를
실현한다. 이것이 재난 유토피아다"라고 설명했어요.
재난은 '물리적 지옥'이지만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서로를 구조하고 서로를 보살피는 '사회적
유토피아'를 경험하게 할 수도
있다는 거예요.


- 김누리 외의《코로나 사피엔스 새로운 도약》중에서 -


* 세상은
크고 작은 재난의 연속입니다.
지금도 우리는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재난 속에
허우적거리고 있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사람 사이의 유대와 협력입니다.
서로 돕고 보살피는 마음이 사회적 시스템으로 자리 잡아
지속 가능하게 해야 합니다. 그 어떤 재난의 지옥과도 같은
상황에서도 패배자가 아닌 승리자가 되는 것이
우리가 꿈꾸는 '사회적 유토피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각 지식, 자투리 지식  (0) 2021.07.16
수혈용 혈액  (0) 2021.07.15
하루 가장 적당한 수면 시간은?  (0) 2021.07.13
배꼽을 잡게 하는 동화  (0) 2021.07.12
아이들의 말이 희망이 될 수 있게  (0) 2021.07.12
반응형

조금 더 생각해 본다면 어쩌면 금이나 은이 아닌
‘사람 그 자체’가 부(富)라고 볼 수도 있다.
진정한 부의 광맥은 암석이 아닌 인간 속에 존재한다.
모든 부의 최종적인 완성은 원기 왕성하고 눈이 반짝거리는
행복한 인간들을 많이 키워내는 것이다.
- 존 러스킨


“가장 부유한 사람은 자신의 기능을 최대한 완벽하게 발휘해
그 인격과 재산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한 영향을 최대한
널리 미치는 사람이다.”
존 러스킨의 주장에 크게 공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류가
최상위 포식자라고 해서
지구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를 마음대로
처결해선 안 된다. 우리 인간을 중심에 두고
생물들을 도구처럼 다루다간 심각한 재앙을
겪을 것이다. 최근 반복해서 등장하는 전염병들은
인류가 지나치게 야생동물과 그들의 서식지에
접근하고 간섭하고 심지어 그 전부를
파괴해 온 결과이다.


- 김탁환의《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중에서 -


* 지구가 병들고 있습니다.
땅이 병들고, 물이 병들고, 공기가 병들었습니다.
더불어 식물과 동물이 병들었습니다. 여러 재앙이
겹쳐 발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단지
그중의 작은 하나일 뿐입니다. 백신을 개발해도
또 다른 변종이, 더 고약한 전염병이 창궐할 수
있습니다. 그 모든 것이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이 씨뿌린 재앙입니다. 땅, 물, 공기,
동물과 식물을 살리는 것에서부터
길을 찾아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0) 2021.06.24
글쓰기 공부  (0) 2021.06.23
어머니의 육신  (0) 2021.06.21
늙는 것에 초연한 사람이 있을까  (0) 2021.06.21
속근육, 자세 근육, 코어근육  (0) 2021.06.18
반응형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진다.
왕년의 대배우 오드리 햅번과
오랑우탄의 외형은 전혀 다르다. 하지만
그 둘의 몸에서 세포를 떼내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형상과 기능이 거의 같다. 이것은 파리도
마찬가지다. 세포의 기본적인 구성과 구조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그러나 세포의 수는 생물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인간은 약 37조 개의세포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것은 세포 하나하나를 셀 수는 없으므로
추측해서 도출한 수치다. 이 수치를 알게 된 것은
2013년, 즉 21세기에 들어와서였다.


- 요시모리 다모쓰의《바이오 사이언스 2025》중에서 -


* 37조 개의 세포.
어마어마한 숫자입니다.
그 천문학적인 숫자보다 더 놀라운 것은
그 많은 세포 하나하나가 그 안에 우주를 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마치 현미경으로 보아야 겨우 보이는
그 작은 정자 하나에 한 인간의 모든 DNA가 담겨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다른 동물이 따라올 수 없는 것은
숫자뿐만이 아닙니다. 최상위의 고등 생물인
인간에게 37조 개 보다 많은 마음의 세포,
영혼의 세포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은 내가 만든다  (0) 2021.06.09
고추밭을 굽어보며  (0) 2021.06.08
스승의 존재  (0) 2021.06.07
어린이 시인, 어린이 물리학자  (0) 2021.06.04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0) 2021.06.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