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고개를 숙이는 것은 후퇴가 아니라

전진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위대함은 겸손한 시작에서 비롯되며

힘들고 귀찮은 일에서 비롯된다.

덜 중요한 존재가 되고 더 많은 것을 해야 한다.

- C. S 루이스 


“신이 파괴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때

신은 그에게 유망한 인재라고 말한다.”

비평가인 시릴 코널 리가 한 말입니다.

그리스 시인 테오그니스는 친구에게 똑같은 내용을 편지에 썼습니다.

“쿠르노스, 신이 없애버리고 싶은 사람이 있을 때

신이 맨 먼저 그 사람에게 주는 것이 자만심이라네”



...

반응형
반응형

진정으로 나아지고 싶다면

더 힘들고 고통스러운 훈련을 원해야 한다.

고통스럽고 힘든 훈련은 성과 개선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따라서 이런 어려움이 사라지길 바라는 건

어리석은 생각이다. 다시 말해,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싶다면 때로는 부상을 감내해야 한다.

- 스탠 비첨, ‘엘리트 마인드’

 

고통이 사라지길 원하는 것은 자신을 더 나아지게 만드는 것도

함께 사라지길 바라는 것과 같습니다.

전진을 원한다면, 우리는

고통이 우리 스스로가 원하던 것임을 깨닫고,

기껏 우리를 찾아온 고통이 사라지지 않길 바라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생은 

전진과 후퇴의 반복입니다.

늘 앞으로만 가는 것도 아니고

매일매일 좋은 일만 있는 것도 아닙니다.

꽃도 피고 지고, 또 피고 지면서 계절을 넘깁니다.

과거나 현재의 후퇴를 서러워 마십시오.

계절이 바뀌면 꽃은 다시 핍니다.



- 고도원의《절대고독》중에서 - 



* 어김없습니다.

봄이 오면 꽃은 다시 핍니다.

그리고는 곧 집니다. 하지만 지는 것을 

서러워하지 않습니다. 몇 계절만 넘기면 또 다시 

봄이 오니까요. 기다리면 봄은 옵니다.

그래서 희망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마음을 여는 마법  (0) 2017.04.17
나를 위해 '누릴 시간'을 가져라  (0) 2017.04.17
늘 친절을 베푸세요  (0) 2017.04.13
아름다운 아내, 못생긴 아내  (0) 2017.04.13
흔들리는 감정 관리  (0) 2017.04.11
반응형

아이디어란
다른 아이디어를 빌리고,
뒤섞고, 뒤엎고, 계발하고, 주고받으며 나옵니다.
때문에 당신의 아이디어가 '오리지널'이라고 하는 것은
교만입니다. 사실, 아이디어의 가치는 우리를 둘러싼
세상으로부터 어떻게 영감을 끌어내고,
이제껏 보지 못한 새로운 방식으로
그것을 재해석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 존 헤가티의《지그할 때, 재그하라!》중에서 -


* 내 아이디어가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교만입니다.
귀를 열어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도 듣고, 뒤섞고,
뒤엎고 하면서 더 좋은 아이디어를 찾아가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래야 마음을 모을 수 있고
함께 전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맹이  (0) 2016.12.05
'골목길 학교'  (0) 2016.12.02
숨쉬기를 배우다  (0) 2016.11.30
솔직하게 말하기  (0) 2016.11.29
고산병  (0) 2016.11.29
반응형

인간은 행복할 때는 과거의 행동을 되풀이 할 뿐
앞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재해를 만나거나 비극적인 일을 겪으면
과거의 자신을 버리고 앞으로 전진하기 시작한다.
- 구마 겐고 (일본의 세계적인 건축가)


위기 없이는 변하려 하지 않는 것이 인간의 본성입니다.
변화로 인해 잃을 것은 분명한 반면,
혁신을 통해 얻을 것은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변하지 않으면 오히려 잃는 것이 훨씬 크다는
사실이 명백해야만 변화가 시작됩니다.
변화를 제대로 이끄는 혁신 리더들이
없는 위기도 먼저 만들어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 시대의 고통스런 것들 중 하나는
자신감을 느끼는 사람은 어리석은 반면,
상상력과 이해력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를 의심한다는 것이다.
- 버트란드 러셀


 

‘무능한 사람은 자신감이 넘치고
지혜로운 이들은 스스로를 의심한다.
무능한 사람일수록 자신감에 넘친다.’
코넬대학 교수 더닝과 크루커가 그 같은 현상을 발견해,
이를 더닝 크루거 효과라고 합니다.
자기 의심은 전진의 원동력이 됩니다.
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더욱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김인수, ‘뺄셈리더십’에서 인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