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적을 만들 줄 모르는 사람은 자신만의 원칙이 없는 우유부단함 때문에
오히려 다른 사람에게 업신여김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적을 만드는 것이 두려워 모든 사람들과 친하게 지낼 필요는 없다.
진실한 친구가 되기도 하고, 진짜 원수를 만들 줄도 아는 군주,
그는 누구를 찬성하고 누구를 반대하는 지 확실하게 밝힐 줄 아는 사람이다.
최악의 군주는 원수도 없지만 진정한 친구도 없는 사람이다.
- 마키아벨리, ‘군주론’에서


모두를 만족시키려고 하다보면 모두에게 버림받을 수 있습니다.
모두를 만족시키려다 보면 필연적으로 우유부단에 이르게 되고,
여기저기 눈치를 보게 되어 소신있게 올바로 일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전설적 투자자 피터 린치의 말 함께 보내드립니다.
“다른 사람이 등 뒤에서 당신이 하는 일을 어떻게 평가할지 걱정한다면
당신은 프로이기를 포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반응형

삶을 살다가
어떤 의문에 봉착했을 때 찾아갈 곳이
서점이다. 무언가 고적할 때 찾아가서 그
고적을 치유받을 수 있는 공간이 서점이다.
책이 있기에 우리는 외롭지 않다. 책은 언제나
따뜻하고 책의 내용은 언제나 옳다. 독서는
혼자 하는 행위이지만 위대한 선현들과
대화할 수 있고 오늘의 세계인들과
교류할 수 있다. 책들은 다정한
우리 모두의 친구들이다.


- 김언호의《세계 서점 기행》중에서 -


* 찻집에는 차가 있고
책방에는 책들이 있습니다.
언제 찾아도 반겨주는 친구들이 가득합니다.
삶은 늘 질문을 안겨주지만 마땅한 답을 얻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외로움 때문에 흔들릴
때도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현명한 답을 주는
좋은 스승, 외로움을 함께 나누는 좋은
친구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서점을
찾는 이유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지다'  (0) 2021.09.13
'자동차 연료통'이 아니다  (0) 2021.09.10
김치찌개  (0) 2021.09.08
'엄마에게 너무 화가 나요'  (0) 2021.09.07
진정성을 담은 고백  (0) 2021.09.06
반응형

소통 감수성이 높은 사람은
말에 예민한 사람에게 "왜 그렇게 예민하냐?"고
탓하지 않아요. 예민한 친구와 말할 땐 배려가 필요한
사람이라고 여기며 원만한 대화를 하려고 노력하죠. 만약
자신이 맞는 말을 했어도 상대방이 상처받았다거나 아파한다면
그 말을 거둬들이기도 해요. 말에 상처받는 예민함을 나쁘게
보는 게 아니라 약함으로 보고 배려하는 거예요. 통하면
아프지 않다는 '통즉불통'이 소통 감수성에도 적용되는
말 같아요. 아무리 찾아봐도 돈 안 들면서
큰 감동을 주는 건 역시 말이네요.


- 임영주의《열세 살 말 공부》중에서 -


* 요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과
언어폭력이 큰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 청소년들이 온라인상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하며
온라인상에서 사람을 만나기도 하는데요, 그 과정에서
서로 배려하는 언어생활을 익히기는 힘들겠지요. 우리
아이들이 소통 감수성, 배려하는 말 습관을 익힐 수
있게 가정과 사회에서 아이들에게 언어의 힘을
알려줘야 합니다. 많은 아이들이 말로 감동을
주고받고 행복해지는 그 날을 꿈꿔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가장 적당한 수면 시간은?  (0) 2021.07.13
배꼽을 잡게 하는 동화  (0) 2021.07.12
즐거움도 근육이 필요해  (0) 2021.07.09
28살 윤동주와 송몽규의 한 맺힌 순국  (0) 2021.07.08
연애를 시작했다  (0) 2021.07.07
반응형

두뇌는 편안함을 느끼는 순간 작동을 멈춘다.
틀에 박힌 일과와 일상적인 환경은 두뇌를 편안하게 만든다.
편안한 곳에서 뛰어난 콘셉트가 나오는 경우는 드물다.
탁월함을 위해서는 두뇌를 불편하게 만들고 새로운 관점과 난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두렵지 않다면 충분히 용감하지 않은 것이다.
- 제임스 와트, ‘창업의 시대 브루독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혼란은 성공으로 가는 롤러코스터를 같이 타는 당신의 친구다.
혼란은 계속된다. 그렇지 않다면 걱정해야 한다.
적절한 수준으로 무질서와 내부의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충분히 세게 밀어붙이지 않는 것이다. 더 세계 밀어붙여라.
혼란은 당신의 친구다. 혼란과 함께 살고, 혼란을 받아들이고,
혼란을 토대로 성장하는 법을 배워라.’

반응형
반응형

직장에 절친한 친구가 있을 경우,
그 사람의 회사 전반에 대한 참여도는 54%나 증가한다.
반면에 그런 친구가 없을 경우 그 가능성은 0으로 떨어진다.
놀랍게도 직장에서의 친구를 설명하는데 ‘절친한’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최고의 업무 집단을 나타내는 결정적인 특징이 되고 있다.
- 커트 코프만, ‘최강 조직을 만드는 강점 혁명’에서

일반적으로 직장에서는 친구라는 개념 자체를 꺼려합니다.
잡담과 농담, 빈둥거리면서 시간 때우기,
타 직원 따돌리기등을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절친한 친구가 회사에 있다는 것은
힘든 일이 있으면 도와줄 거라는 신뢰, 정서적이고 협력적인 결속,
스트레스 감소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마음이 어지러울 땐
사람을 만나고 싶지 않지만
오래된 인연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색안경을 무기 삼아 햇빛 쨍쨍한 거리로 나섰습니다.
밥 먹고 차 마시고 함께 웃고 울다 보니
'오랜 친구가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김흥숙의《생각라테》중에서 -


* 엊그제 캐나다에 이민갔던 죽마고우를
옹달샘에서 20년만에 만났습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옛날로 돌아가 옛날 이야기로 꽃을 피웠습니다.
참 좋은 힐링의 시간이었습니다.
'오랜 친구가 좋다'는 생각이
저도 들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사랑이기에  (0) 2019.12.18
서로 축복하라  (0) 2019.12.17
몸챙김(Bodyfulness)  (0) 2019.12.16
어른들도 처음엔 다 어린이였다  (0) 2019.12.13
몸에 독이 되는 음식  (0) 2019.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