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만약 당신이 뭔가를 시작할 때
미쳤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는다면, 그건
당신이 그만큼 혁신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증거다.
미쳤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고서
세상을 뒤흔드는 건 불가능하다.
미쳤다는 건 칭찬이다.
- 린다 로텐버그, ‘미쳤다는 건 칭찬이다.’에서

 

 

남들이 쉽게 동의하는 아이디어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습니다.
세상을 바꾼 위대한 기업가들은 적어도 한번은
정신이 나갔다는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입니다.
현상을 타파하는 새로운 뭔가를 시작할 때 듣는
‘제 정신이 아니다.’는 말은 일종의 자부심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당신의 일자리가 안전하고,
당신의 회사가 안정적인 것처럼 여겨진다면,
당신은 훨씬 더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리스크를 감수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생각한다면,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은
종종 훨씬 더 위험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린다 로텐버그, ‘미쳤다는 건 칭찬이다’에서


‘사람들은 변화를 두려워합니다. 그러나 변화에 저항하는 것은
빠르게 변하는 비즈니스에서는 재앙으로 가는
지름길이나 다름없습니다.’ (마이클 델, 델 컴퓨터 회장)
변화는 위험을 내포하지만, 오늘날은
안정을 고수하는 것이 훨씬 더 큰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군자는 타인의 좋은 점을 말하고
악한 점을 말하지 않는다.
반대로 소인은 타인의 좋은 점을 말하지 않고
악한 점만 말한다.
- 공자

 
올 한해를 인격수양의 해로 정했습니다.
‘존중과 배려, 감사’외에 ‘자만하지 않기’,
‘늘 겸손하기’, ‘험담하지 않기’, ‘잘난 척하지 않기’등을
습관화 할 계획입니다.
노자 말씀 함께 보내드립니다.
“스스로 자랑하는 자는 공이 없고,
스스로를 칭찬하는 자는 오래가지 못한다.
이는 모두 발끝으로 오래 서 있으려는 것과 같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이 사랑과 돈보다
 더 바라는 두 가지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인정과 칭찬 한 마디다.
- 메리 캐이 애쉬, 메리케이 화장품 창업회장


기업은 사람입니다.
직원들이 금요일 보다
 월요일을 더 기다리는 회사(TGIM; Thank God It’s Monday)를
 만들 수만 있다면 원하는 모든 것을 다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TGIM은 일의 의미와 가치, 자율성, 학습과 성장,
인정과 칭찬, 좋아하는 동료와 상사에게서 비롯됩니다.
돈이 아닌 존중과 사랑, 관심이 핵심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서른 살부터 마흔 살까지
그 시기를 관통하고서 진정한 나 자신이
되었다. 나에게 부여된 역할, 이미 수립된
기존 모델을 체념함으로써, 칭찬 받기를 포기하고
고독과 몰이해를 받아들임으로써 그리되었다.
그렇다, 나는 마흔이 다 되어서야 내가
얼마나 비긍정 속에서 살아왔는지,
내가 얼마나 어린애였는지
깨달았다.


- 자크 살로메의《자신으로 존재하는 용기》중에서 -


* 서른부터 마흔까지.
계절로 치면 뜨거운 여름입니다.
작열하는 태양볕에 궂은비도 많고 태풍도 지나갑니다.
그러나 이 계절을 거치면서 오곡백과는 영급니다.
뜨거운 햇볕 아래서 흘렸던 땀이 토실한 열매로
돌아옵니다. 어린아이처럼 기쁨으로,
즐겁고 재미있게 여름을 나면
가을이 풍요롭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침반마저 없을 때  (0) 2015.07.29
마음을 꺼내 놓는다  (0) 2015.07.28
작은 둥지  (0) 2015.07.24
지적 젊음  (0) 2015.07.24
늘 첫사랑처럼  (0) 2015.07.23
반응형

 

 

‘나는 ~이 충분한 사람이다’라는 말은 대단히 강력한 힘이 있다.
자신이 여러 면에서 충분한 사람이라는 것을 믿으면
 자신감을 손상시키는 불필요한 불안감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 가치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
호감이 가지 않는 사람이라는 생각은
 수많은 현대인이 겪는 불안감과 우울증의 원인이다.
- 마리사 피어 (영국 심리 치료사)
촌철활인

 


타인에게 칭찬받기를 바라는 것은
 부족한 자신감의 또 다른 표식입니다.
스스로를 칭찬하면 독립적이고
 자기 확신이 강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남에게 칭찬받는 것은 바람직하고, 기분 좋은 일이지만
 진정한 자신감을 위해선
 스스로를 주기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차동엽, ‘천금말씨’에서 인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