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실 그녀를 사랑한
10년의 세월은 나의 청년의 절정기였다.
19살 사춘기 말부터 28세까지 내 머리에는 언제나
그가 자리 잡고 있었다. 아름다운 순애보 사랑을
꿈꾸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의 첫사랑은
내가 생을 다 할 때까지 아니 내 기억에
남아있을 때까지는 아득하고 희미한
추억의 사랑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루지 못한 사랑이었지만 나는
그를 사랑했었기에 첫사랑이기에
그의 행복을 빌었다.

- 윤영전의《못다핀 꽃》중에서 -


* 첫사랑.
그 누구든 자기 일생에서
가장 잊을 수 없는 기억입니다.
이루지 못한 첫사랑일수록 영혼의 세포에 각인되어
언제든 아련하게 되살아납니다. 상처도 있고 아픔도
남아 있지만 나를 성장시킨 슬프고도 아름다운
첫사랑이기에 오늘도 행복을 비는 마음
가득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미로운 사람'  (0) 2019.12.20
내면의 향기  (0) 2019.12.19
서로 축복하라  (0) 2019.12.17
오랜 친구가 좋다  (0) 2019.12.16
몸챙김(Bodyfulness)  (0) 2019.12.16
반응형

과거를 돌아볼 때 가장 후회되는 일이 무엇이냐고 묻자
네 명중 세 명이 어떤 일을 하지 않았던 것을 후회했고,
기회가 있을 때 놓친 것을 아쉬워했다. 반대로 어떤 일을 해서,
예를 들어 직장에서 어떤 결정을 내려서 후회했다는 응답자는
4분의 1에 불과했다.
인간은 한 일을 후회하기 보다는 하지 않은 일을 더 많이 후회하는 법이다.
- 토머스 길로비치  

후회 심리학을 연구하는 미국 심리학자 토머스 길로비치의 연구 결과입니다.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최악의 선택입니다.
선택은 나한테 달렸습니다. 일단 선택 한 후
철저하게 행동으로 옮긴다면 그만큼 행복해질 확률도 높아집니다.
어디서나 통하는 마법의 주문은 바로 결단력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행복한 #삶 이란 #스트레스 가 없는 #삶 도 아니며
스트레스 없는 인생이 행복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비록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해롭다고 하지만
고도의 스트레스는 우리가 원하는 것들, 즉 #사랑 과 #건강 그리고
삶에 대한 #만족감 과 함께 오는 것이다.
알고 보면 의미 있는 삶이란 스트레스가 많은 삶이기도 하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의미 있는 삶을 사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이 걱정하고 더 많이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스트레스는 우리 삶이 어딘가 잘못됐다는 신호가 아니라,
우리가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활동과 인간관계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부분의 사람들은 덜 바쁘면 더 행복해질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결과는 그와 정반대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비교적 적게 받는 삶을 살면 생각만큼 행복해지지는 않는다.
사람들은 더 바쁠 때 더 행복하고 심지어는
자발적으로 할 일보다 더 많은 양의 일을 억지로 떠맡았을 때 더 행복하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갑자기 한가해진 생활은 퇴직 이후 우울증 발병 위험이
40%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합니다. 갤럽 조사에 의하면,
국가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수록 국가의 #행복지수 도 높았습니다.
전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답한 사람들의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국가의 기대 수명과 총생산이 높았습니다.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수록 국가 생활 #만족도 와 #삶 의 #행복도 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하지만 이제는 안다.
10년 후 물어물어 다시
이 연주가를 찾아온다 한들
지금과 똑같은 느낌을 받지 못하리라는 것을.
행복은 하나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매번 색깔이 달라지는 카멜레온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추구하고 마침내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발견하고 매순간
경험하는 그 무엇이니까. 

- 이주은의《그림에, 마음을 놓다》중에서 -


* 행복은 소소한 일상 가운데 있습니다.
크고 화려한 이벤트가 아닌 무심히 스쳐 지나가는
바람결 같은 것입니다. 입가에 잠시 머물다 스러져가는
엷은 미소 같은 것입니다. 그런 순간을 놓치지 않고
마음에 담을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하필 나인가?  (0) 2019.11.05
사람의 만남  (0) 2019.11.04
행복한 사람 옆에 행복한 사람  (0) 2019.11.04
보랏빛 의자  (0) 2019.11.04
눈 감아도 빛나는 당신  (0) 2019.10.30
반응형

사람과 사람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모습은 다양하다.
누구나 나 아닌 사람으로 인해 상처받고
괴로워하기도, 더 많이 즐거워하기도 하며
살아간다. 행복감은 전염성이 있어서, 누구와
함께하고 오랜 시간을 보내는지는 행복감을
예측하는 지표가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행복한 사람은 행복한 사람끼리 모여 있고,
불행한 사람은 불행한 사람끼리
모여 있다는 것이다.

- 김혜령의《이게, 행복이 아니면 무엇이지》중에서 -


*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 하지요.
비슷한 성향의 사람끼리 만난다는 뜻입니다.
누구와 어울리는지를 보면 그 사람이 보입니다.
사람의 감정도 전염됩니다. 긍정이 긍정을 낳고
부정이 부정을 부릅니다. 전염력이 가장 강력한 것이
행복 바이러스입니다. 행복한 사람 한 명이
열 명, 백 명의 행복한 사람을 모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만남  (0) 2019.11.04
입가에 번지는 엷은 미소  (0) 2019.11.04
보랏빛 의자  (0) 2019.11.04
눈 감아도 빛나는 당신  (0) 2019.10.30
오로지 괴테만 읽었다  (0) 2019.10.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