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위태로운 것은 그 자리에 안주하는 것이요.
망하게 되는 것은
그 생존을 유지하려 함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혼란해지는 것은 그 다스림을 그대로 두게 함이다.
- 주역              


역설적이게도 안정을 추구하면 더 위험해 집니다.
오늘의 안정을 주는 조건이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에 잘 적응할수록 미래의 적응력은 떨어진다 할 수 있습니다.
위대한 리더들은 안정을 두려워합니다.
조직이 흔들리면 일거에 안정시켜야 하지만,
안정적인 조직을 의도적으로 흔들 수 있는 리더가
훌륭한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빨간 신호는
정신을 깨우는 종소리이다.
이제까지는 빨간 신호를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을 방해하는 적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 빨간 신호가 우리의 친구이며
서두르는 것을 막아주고 우리를 지금 이 순간으로
인도하여 생명, 기쁨, 평화를 만나게
해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틱낫한의《살아 있는 지금 이 순간이 기적》중에서 -


* 우리가 지금 사는 이 땅,
곳곳에 빨간 신호가 가득 켜져 있습니다.
그 빨간 신호를 무시하고 길을 건너고 또 건너다가
돌이킬 수 없는 고통을 처절하게 겪고 있습니다.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잠깐멈춤을 해서
빨간 신호를 다시금 살펴봐야 합니다.
그래야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전자 세포  (0) 2014.05.08
'고마워, 서머힐!'  (0) 2014.05.07
망부석  (0) 2014.05.05
상처는 희망이 되어  (0) 2014.05.03
중심  (0) 2014.05.02
반응형

 

나도 어쩔 수 없었다.
그럴 때 내 유일한 위안은 마음의 눈으로
앞에 떠오른 광경을 하염없이 보는 것이었다.
내 상상력이 만들어 낸 이야기를, 온갖 사건, 인생,
정열, 느낌들이 요동을 쳤다. 어떤 때는
괴로울 정도로 내 마음을
휘저어 놓았다.


- 브론테의《제인에어》중에서 -


*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고
밤낮 없이 바다를 바라보다 돌이 된 사람.
전 국민이 하나같이 망부석이 된 심정입니다.
사랑을 잃으면 누구든 망부석이 됩니다.
오늘도 바다로 나가 하염없이
수평선을 바라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마워, 서머힐!'  (0) 2014.05.07
빨간 신호  (0) 2014.05.06
상처는 희망이 되어  (0) 2014.05.03
중심  (0) 2014.05.02
천둥번개  (0) 2014.05.01
반응형
상처는 희망이 되어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꽃잎에도 상처가 있다
너와 함께 걸었던 들길을 걸으면
들길에 앉아 저녁노을
바라보면
상처 많은 풀잎들이
손을 흔든다
상처 많은 꽃잎들이
가장 향기롭다


- 정호승의《너를 사랑해서 미안하다》중에서 -


* 상처를 상처인 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상처가 주는 아픔의 여유도 없이 숨 가쁘게
살아온 것입니다. 사람마다 말 못하는 저마다의
깊은 상처를 간직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상처는 반드시 아물고 새살이
나올 것입니다. 상처 입은 꽃잎이
더 향기롭듯이...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간 신호  (0) 2014.05.06
망부석  (0) 2014.05.05
중심  (0) 2014.05.02
천둥번개  (0) 2014.05.01
어찌 엄마아빠뿐이겠습니까  (0) 2014.04.30
반응형

사람이 역경에 처했을 때는 그를 둘러싼 환경 하나 하나가
모두 불리한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사실은 그것들이 몸과 마음의 병을 고칠 수 있는
힘이요 약이 된다.
약이 몸에 쓰듯이 역경은 잠시 몸에 괴롭고 마음에 쓰지만,
그것을 참고 잘 다스린다면 많은 소득을 기약할 수 있다.
- 채근담

 

역경과 고난에 대한 경구들을 함께 보내드립니다.


‘고뇌를 경험해 보지 않고는 행복을 이해할 수 없다.
황금이 불로 정제되는 것처럼 이상도 고뇌를 거침으로써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


‘나는 ’문제가 좋아’라고 말하는 사람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지만,
고통 속에서 가장 값진 소득을 얻었다고 하는 사람은
많이 알고 있다.’
(존 맥스웰)

반응형
반응형

 

불안함의 내적 요인은
자기 자신에게 믿음이 없는 것이고,
외적 요인이라면 다른 사람에게 믿음이
없는 것이다.  내가 나를 믿는다면,
자기실현을 하면서 인생을 의미 있게,
목적 있게, 불안 같은 노이로제
고통 없이 살 수 있다.



- 김정일의《나도 내가 궁금하다》중에서 -


* '중심'을 잃으면
몸의 좌우가 흔들리게 됩니다.
그 중심에 무게가 실리지 않으면
상하좌우 온 몸 전체가 흔들리게 됩니다.
중심을 잡아주고, 중심에 무게를 실어주는 것이
바로 '믿음'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그 믿음의 닻이 중심을 잡아 주어
불안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부석  (0) 2014.05.05
상처는 희망이 되어  (0) 2014.05.03
천둥번개  (0) 2014.05.01
어찌 엄마아빠뿐이겠습니까  (0) 2014.04.30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다  (0) 2014.04.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