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생각은 아침 시간에
짧게 하는 것이 좋다. 잠을 푹 자고
아침에 일어나면 기분이 상쾌하다. 머릿속
상태도 밤에 잠들기 직전보다는 아무래도 맑다.
그래서 하루 중, 아침이 사색하기에
최고의 시간이라고 믿는다.


- 도야마 시게히코의 《어른의 생각법》 중에서 -


* '아침형 인간'이
한때 회자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저의 경우도 아침 시간, 더 엄밀하게는
새벽 시간대가 명상과 사색과 글쓰기에 좋습니다.
새벽은 부정적 생각의 파동이 잦아들고, 대신
긍정적 에너지로 채워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창조적 사고도 더 활발해집니다. 맑은
정신으로 새로이 시작되는 하루,
그 시작이 새벽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날씨  (0) 2024.01.29
고령의 나이에 더 활발히 활동한 위인들  (0) 2024.01.29
속상한 날 먹는 메뉴  (1) 2024.01.24
지금의 나이가 좋다  (0) 2024.01.23
'나'와 가족 공동체  (0) 2024.01.22
반응형

식사의 즐거움은
먹는 것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요리하는 과정이 기분 전환도 되고
의외로 재미있습니다. 가끔 울적한 날에는
좋아하는 식재료를 듬뿍 사용해 제 마음대로
'속상한 날 먹는 파스타'를 만듭니다.
여기에는 마늘도 잔뜩 들어갑니다.


- 바쿠@정신건강의의 《기분 좋은 일은 매일 있어》 중에서 -


* 옛날 엄마들은
속상하면 빨래를 하셨습니다.
양잿물 비누 넣고 팍팍 삶아 방망이로 내리쳐대며
하얗게 하얗게 빨아 탈탈 털어 빨랫줄에 널었습니다.
풀 먹여 빳빳하게 만들어 다듬잇돌 위에 펴두고,
방망이로 팡팡 두드리며 마음을 다스렸습니다.
세탁기가 다 말려주기까지 하는 요즘,
속상하면 빨래 대신 마늘 팍팍 넣고
파스타를 만드는 것도
좋겠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의 나이에 더 활발히 활동한 위인들  (0) 2024.01.29
생각은 아침에  (0) 2024.01.25
지금의 나이가 좋다  (0) 2024.01.23
'나'와 가족 공동체  (0) 2024.01.22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0) 2024.01.19
반응형

누구나
자신만의 인생길을 걷는다.
그 길을 발견하고 걷는 것 역시 자신의
선택이다. 내 앞에 놓였던 수많은 길 중
쉬운 길은 없었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 없이 살아가자는 것이 나의 목표였다.
가끔은 지나간 시절이 아쉬움도 있지만, 지금
나는 삶의 여백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깨달은 나이가 되었다. 그래서
지금의 나이가 좋다.


- 성희승의 《별 작가, 희스토리》 중에서 -


* 나이가 드는 것,
그 무엇으로도 막을 길이 없습니다.
육신은 약해지고 시력은 저하되겠지만
이전에는 갖지 못했던 혜안과 통찰을 얻습니다.
그러면 알게 됩니다. 나만의 인생길을 걸어온
지난날 경험들의 의미를! 그 축복과도 같은
감사의 시간들을! 지금 이렇게 살아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축복입니다. 지금의 나이가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은 아침에  (0) 2024.01.25
속상한 날 먹는 메뉴  (1) 2024.01.24
'나'와 가족 공동체  (0) 2024.01.22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0) 2024.01.19
어머니의 기도와 노동  (0) 2024.01.18
반응형

내가 있기에 세상은
가능성으로 존재합니다.
행복이든 불행이든
내가 있기에
의미가 생겨나지요.


- 성진, 박세웅 외 《종교는 달라도 인생의 고민은 같다》 중에서 -


* '나'는  
단수이면서 복수입니다.
혼자이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람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가족 공동체의
일원입니다. 가족이 있기에 '나'가 있고  
모든 행복과 불행의 시작과 끝도
'나'와 가족 공동체에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상한 날 먹는 메뉴  (1) 2024.01.24
지금의 나이가 좋다  (0) 2024.01.23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0) 2024.01.19
어머니의 기도와 노동  (0) 2024.01.18
잘 웃고 잘 운다  (0) 2024.01.17
반응형

R&R을 뛰어 넘어라

 

기업이 커지면 커질수록 분란의 싹이 함께 커집니다. 스타트업일 때는 동료들이 이일 저일 미루지 않고 함께 하지만, 조직이 커지면 위계질서가 만들어지고, 역할 분장이 명료해집니다. 드디어 직원들에겐 R&R(Role & Responsibility)이 부여됩니다. "이것은 네 일, 저것은 내 일" 하지만 기업은 늘 신사업을 찾다보니 갈등이 벌어집니다. 리더가 R&R을 매번 바꿔 줘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니까요. 예를 들어,

 

  • 👩옆 팀장: 좀 도와줄 수 있나요? 우리 팀에서 새 업무를 아는 사람이 없는데
  • 🤫: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일단 저희 팀장께 물어보고 답변 드릴게요.
  • 👦내 팀장: 책임님이 옆 팀 일을 거드시면 저희 팀 업무는 언제 하시려고요.
  • 😟: (어떻게 해야하지...ㅠㅠ)

 

R&R  

이러한 R&R을 도입한 것은 1920년대 제너럴 일렉트릭(GE)으로 알려졌어요. 당시 CEO인 앨프레드 P. 슬로언이 조직 개편을 주도하면서 각 부서와 직위에 따른 R&R을 정립했습니다.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하고, 책임 한계를 설정했어요. 당시에는 파격이었습니다. 부서장이 내리는 업무외적 불필요한 명령을 차단하고, 회사 존립 목적 자체에 집중하도록 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오늘날처럼 산업이 역동적으로 바뀌는 때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일 잘 하는 사람, 말 못하는 사람들이 여러 일을 떠안기 일쑤입니다. 회사에서 업무를 정의하면 크게 두 가지입니다. E&E!

 

E&E!

우선 Exploitation 활용은 품질과 프로세스 개선 등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반면 Exploration 탐험은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탐구입니다.

 

Exploitation이 현재 업무를 개선하고 나아가는 것이라면, Exploration은 신 사업을 찾아 떠나는 여정입니다. 오늘날은 이를 어떻게 조화롭게 구성할지가 관건인데요. 몇몇 기업들은 이를 비율로 만들어 둡니다.

 

구글: 20% 타임제

구글은 직원이 여유 시간이 있어야 Exploration이 가능하다고 판단해요. 그래서 20% 타임제를 두고 있습니다. (물론 120% 야근제 아니냐는 지적도...) 구글은 80%는 본업을 하고, 20%, 즉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전혀 관련이 없는 활동을 하도록 장려합니다. 그 결과 구글 뉴스, 애드센스 포 콘텐츠, 구글 서제스트 등이 태어났습니다.

 

3M: 15%

스카치 테이프로 유명한 3M 역시 15%룰을 운영합니다. 일부 부서에 국한된 이야기이긴 한데요. 연구 조직은 자신의 업무 시간 중 15%를 업무와 무관한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프로젝트가 실패하더라도, 책임이나 이유를 따지지 않습니다. 그 결과, 우리가 흔히 쓰는 포스트-잇이 태어났어요.

 

🔎크게보기

R&R을 놓고 선배들과 후배들 간 견해차이가 큽니다. 선배들은 그렇게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면, 어떻게 회사가 굴러가느냐고 하지만, 후배들은 명확하지 않다면, 공정하지 않다고 여깁니다. 개인적으로는 조직이 크면 클수록 업무가 명확한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인재들이 불만을 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조직이 경직화되는 것은 경계해야합니다. 꽉 막힌 조직은 더디게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조직 전체가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창의적으로, 꿈틀대게 할지 다 같이 고민할 수 있는 공동체 정신 아닐까 합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EkB2Zdv2mId7G7lF066P6JmtpdRFblA

반응형
반응형

Top 30 JavaScript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for 2024

 

https://javascriptcentric.medium.com/top-30-javascript-interview-questions-and-answers-for-2024-7f1e2d1d0638

 

Top 30 JavaScript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for 2024

Prepare for your next JavaScript interview with confidence!

javascriptcentric.medium.com

 

Level-1: Basic

1. Is Javascript single-threaded?

2. Explain the main component of the JavaScript Engine and how it works.

3. Explain the event loop in JavaScript and how it helps in asynchronous programming.

4. Difference between var, let, and const ?

5. Different data types in Javascript?

6. What is callback function and callback hell ?

7. What is Promise and Promise chaining?

8. What is async/await ?

9.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 and === operators ?

10. Different ways to create an Object in Javascript ?

11. What is rest and spread operator?

12. What is a higher-order function?

Level-2 : Intermediate

13. What is Closure? What are the use cases of Closures?

14. Explain the concept of hoisting in JavaScript.

15. What is a Temporal dead zone?

16. What is a prototype chain? and Object.create() method?

17.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all, Apply, and Bind methods?

18. What are lambda or arrow functions?

19. What is the currying function?

20. What are the features of ES6?

Level-3: Expert

21. What is Execution context, execution stack, variable object, scope chain?

22. What is the priority of execution of callback, promise, setTimeout, process.nextTick()?

23. What is the Factory function and generator function?

24. Different ways to clone (Shallow and deep copy of object) an object?

25. How to make an object immutable? (seal and freeze methods)?

26. What is Event and event flow, event bubbling and event capturing?

27. What is Event delegation?

28. What are server-sent events?

29. What is a web worker or service worker in javascript?

30. How to compare 2 JSON objects in javascrip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