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키운 아이, 곤충박사 되는건가?

'LIFE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3-03-29. 원흥역 농장 시작. (0) | 2023.03.29 |
|---|---|
| 울진 죽변 가는 내 마음 (0) | 2023.03.10 |
| 알고 가면 더 재밌는 국립중앙박물관, 관람팁 소개해요! (0) | 2023.02.09 |
| 미국은 폭발적인 일자리 증가를 보고합니다. 1969년 이후 최저 실업률 (0) | 2023.02.06 |
| 걷다 보면 해결된다 (0) | 2023.02.05 |
숲에서 키운 아이, 곤충박사 되는건가?

| 2023-03-29. 원흥역 농장 시작. (0) | 2023.03.29 |
|---|---|
| 울진 죽변 가는 내 마음 (0) | 2023.03.10 |
| 알고 가면 더 재밌는 국립중앙박물관, 관람팁 소개해요! (0) | 2023.02.09 |
| 미국은 폭발적인 일자리 증가를 보고합니다. 1969년 이후 최저 실업률 (0) | 2023.02.06 |
| 걷다 보면 해결된다 (0) | 2023.02.05 |

대단히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조차 인간은 희망을 찾고,
선택을 내리며, 의미를 만들어낼 줄 아는 능력을 타고났다.
스트레스를 더 이상 거부하지 않는다면 스트레스는 연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도 그렇게 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성장의 기회로 생각했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켈리 맥고니걸 교수는 말합니다. “불안감을 흥분되는 일, 에너지 또는 동기부여로
여긴다면 여러분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도움이 된다.
긴장감은 곧이어 저지를 실수의 징조가 아니라,
뛰어난 성과를 낼 준비에 돌입했다는 증거다.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소를 회피한다면
오직 공포심이 커지고 미래의 불안감에 대한 걱정만 불어날 뿐이다.”
| 변화(Change)는 기회(Chance)다 (0) | 2023.02.23 |
|---|---|
| 리더가 되기 전, 리더가 되고난 후 (0) | 2023.02.21 |
| 감사가 행복을 불러온다 (0) | 2023.02.17 |
| 현자(賢者), 부자(富者), 강자(强者) (0) | 2023.02.16 |
| 인생의 참 맛은 불확실성과 도전 속에 있다 (0) | 2023.02.15 |

본연의 자신을
발견하고 발휘하기 위해서는
물질세계를 경험하는 틀인 생각을
조절해야 한다. 생각은 세상의 경험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제어하여
인간의 마음속 깊이 감금된 영혼을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
- 배철현의 《삼매》 중에서 -
* 생각에는
좌뇌적 생각과 우뇌적 생각이 있습니다.
좌뇌적 생각은 태어나면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가치관에서 나오는 것이고, 우뇌적 생각은 우주적 지혜인
영감과 직감입니다. 우뇌적 생각은 좌뇌적 생각이 멈출 때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영혼은 이 모든 생각들이 멈춘
순간, 고요함 속에서 존재를 드러냅니다. 영혼은
텅빈 충만의 시간 속, 침묵의 소리입니다.
| 아기의 눈으로 바라보기 (0) | 2023.02.23 |
|---|---|
| 요가 수련자의 기본자세 (0) | 2023.02.21 |
| 단 하나의 차이 (0) | 2023.02.18 |
| 미래가 가장 빨리 오는 곳 (0) | 2023.02.17 |
| 나를 버린 친모를 생각하며 (0) | 2023.02.16 |

달, 날. 겨우 한 획 차이지만
30배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가끔 잊고 살지만 하나의 변화와 하나의 공백
그리고 하나의 추가는 꽤 많은 차이를 불러일으킵니다.
그 작은 차이의 중요함을 잊고 사는 이유를 말하자면,
하나의 핵심이 이루어 낸 결과의 차이는 10배, 30배
정도가 나, 그 결과의 크기만 와닿기 때문입니다.
결과만 눈에 보이니, 자주 두렵고 자주 아프고
자주 허황됩니다. 당신이 크게 두렵고 지치는
이유는 주변의 탓도 아니고, 상황의 탓도
아닙니다. 고작 단 한 가지 생각의 차이
탓이 아닐까 합니다.
- 정영욱의《잘했고 잘하고 있고 잘 될 것이다》중에서 -
* 우리의 삶은 늘 변화를 요구받고 있습니다.
때로는 많은 것을 놓아 주어야 하고, 때로는 벅찰 때까지
채워 넣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 상황 자체가 힘든 것보다,
너무 힘들게 생각하는 내가 상황을 어렵게 만들 때가 많습니다.
나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니, 나름 편한 대로 생각할 수도
있었습니다. 그걸 굳이 어렵게 생각해 오려고
노력한 건 아닐지요.
| 요가 수련자의 기본자세 (0) | 2023.02.21 |
|---|---|
| 좌뇌적 생각과 우뇌적 생각 (0) | 2023.02.20 |
| 미래가 가장 빨리 오는 곳 (0) | 2023.02.17 |
| 나를 버린 친모를 생각하며 (0) | 2023.02.16 |
| 심리치유 과정에서 조심할 일 (0) | 2023.02.15 |
[백준] 1009번 분산 처리 - PYTHON
[백준] 1009번 분산 처리 - PYTHON
1009번 distributed processing
https://www.acmicpc.net/problem/1009

문제
재용이는 최신 컴퓨터 10대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재용이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될 일이 생겨서
각 컴퓨터에 1번부터 10번까지의 번호를 부여하고, 10대의 컴퓨터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들을 처리하기로 하였다.
1번 데이터는 1번 컴퓨터, 2번 데이터는 2번 컴퓨터, 3번 데이터는 3번 컴퓨터, ... ,
10번 데이터는 10번 컴퓨터, 11번 데이터는 1번 컴퓨터, 12번 데이터는 2번 컴퓨터, ...
총 데이터의 개수는 항상 ab개의 형태로 주어진다. 재용이는 문득 마지막 데이터가 처리될 컴퓨터의 번호가
궁금해졌다. 이를 수행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 (1 ≤ a < 100, 1 ≤ b < 1,000,00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마지막 데이터가 처리되는 컴퓨터의 번호를 출력한다.
t = int(input())
for _ in range(t):
a, b= map(int, input().split())
print((a ** b)%10)
>> 1009_distributed_processing.py
5
1 6
1
3 7
7
6 2
6
7 100
1
9 635
9| [백준] 1011번 FlymetotheAlphaCentauri - PYTHON (0) | 2023.02.23 |
|---|---|
| [백준] 1010번 다리놓기 - PYTHON (0) | 2023.02.21 |
| [백준] 1008번 A/B - PYTHON A slash B (0) | 2023.02.16 |
| [백준] 1007번 벡터 매칭 - PYTHON vector matching (0) | 2023.02.16 |
| [백준] 1006번 습격자 초라기 - PYTHON, 점화식 (0) | 2023.02.11 |
감사가 행복을 불러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kNUpYB0p63Y
행복하면 저절로 감사한 마음이 들지만
그렇지 않을때는 훈련을 통해 감사할수있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역으로 행복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 리더가 되기 전, 리더가 되고난 후 (0) | 2023.02.21 |
|---|---|
|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도 그렇게 된다 (0) | 2023.02.20 |
| 현자(賢者), 부자(富者), 강자(强者) (0) | 2023.02.16 |
| 인생의 참 맛은 불확실성과 도전 속에 있다 (0) | 2023.02.15 |
| 인재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교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