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지녔으면서도 더 채우려는 것은 그치는 것만 못하다.
무슨 일이든 가치가 있다고 해서 늘리고 늘려
넘쳐흐를 때까지 채우는 것은 그만두어야 한다.
칼을 갈고 또 갈면 오히려 날이 쉽게 물러지듯,
무슨 일이든 지나치게 구하면 오래가지 못한다.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한들 이를 끝까지 지킬 수 없고,
부귀하면서 오만하면 스스로 화를 부른다.
- 노자


공을 이루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이치입니다.
교만하면 모든 것을 송두리째 잃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자신을 과하게 드러내려고 하면 오히려 인정받지 못하고,
무리해서 보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상황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은 그 공을 인정받지 못하며,
거만한 사람은 다른 사람 위에 서지 못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상과 공상의 차이점  (0) 2023.01.06
리더가 된다는 것은  (0) 2023.01.05
찰스 다윈이 말년에 남긴 편지  (0) 2023.01.03
행복은 과대평가 되었다  (0) 2023.01.02
행복은 과대평가 되었다  (0) 2022.12.30
반응형

진실한 삶을 살면
진실하게 세상을 볼 수 있다.
튼튼한 사람이 튼튼하게 행동하고,
힘없는 사람이 힘없이 행동한다. 인식이
새로워지면 마음속에 비축해놓은 보물에 대한
기억을 해묵은 쓰레기처럼 갖다버릴 수 있다.
인간이 신과 함께 살게 되면 그의 목소리는
냇물의 속삭임처럼, 이삭의 살랑거림처럼
달콤할 것이다.


- 재커리 시거의《어떤 고독은 외롭지 않다》중에서 -


* 안에 있는 것이 드러납니다.
없는 것을 밖으로 드러낼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 얼마나 진실한지,
내 안을 먼저 살펴야 합니다. 충만한 것은 흘러넘칩니다.
저절로 드러납니다. 신은 내 안에도 계십니다.
그러므로 나는 이미 충만합니다. 매 순간
신과 함께 동행하는 것입니다.
두려움 없이.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잘났다고 생각하는 아이  (0) 2023.01.06
쉰다는 것  (0) 2023.01.05
버섯이 되자  (0) 2023.01.03
새로운 도약  (0) 2023.01.02
지혜의 눈  (0) 2023.01.02
반응형

내가 삶을 다시 살 수 있다면 일주일에 몇 번은 시도 좀 읽고
음악도 듣는다는 규칙을 정해 놓을 텐데.
이런 취미를 잃은 것은 행복을 잃은 거나 마찬가지야.
그리고 우리 안의 감정적인 부분이 약해지면서 지성도 해를 입는 것 같아.
도덕성은 더 말할 것이 없다네.
- 찰스 다윈이 말년에 남긴 편지


진화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이
인생 말년에 지인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입니다.
새해계획을 수립하실 때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해서 보내드립니다.
올 한 해는 직장과 가정을 포함한 삶에서 균형을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버섯은 신기하다.
썩어버린 나무에서 자리를 잡고 자란다.
부패되고 썩은 것을 양분 삼아 자신을 피운다.
기특하다. 그동안 나 자신은 부패하고 썩어서
더 이상 어떻게 할 도리가 없는 존재라 생각했다.
하지만 그런 곳에서 버섯은 자란다. 곰팡이가
되지 않고 썩은 것을 삭히고 품어 자란다.
버섯이 되자, 그렇게 생각하자
마음에서 힘이 났다.


- 남설희의《오늘도 짓는 생활》중에서 -


* 낙엽이 떨어져 삭고 썩으면
기름진 토양이 됩니다. 썩지 않은 낙엽은
다른 생명을 키워낼 수 없습니다. 나무가 죽어
썩어야 버섯도 자랍니다. 부패와 발효는 다릅니다.
부패는 자신이 썩어 없어지는 것이지만, 발효는
변성을 일으켜 새로운 차원의 존재가 됩니다.
삭히고 견디는 힘, 버섯의 생명력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쉰다는 것  (0) 2023.01.05
튼튼한 사람, 힘없는 사람  (0) 2023.01.04
새로운 도약  (0) 2023.01.02
지혜의 눈  (0) 2023.01.02
세월은 가고 사랑도 간다  (0) 2022.12.30
반응형

행복은 과대평가 되었다.
사람들이 약간의 불행을 느끼지 않는다면
어떤 재화나 가치도 만들어지지 않는다.
불행은 사람들이 현재 상황을 바꾸어야 할 동기를 부여한다.
예술, 사회, 과학 문명을 대표하는 걸작들은
모두 불행한 사람들이 스스로의 불행을 치유하면서 이루어낸 성취의 산물이다.
- 토마스 차모르, ‘인재 망상’에서


불행을 느끼는 사람들은 뭔가를 바꿔보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반면 행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현실에 안주하기가 쉽습니다.
행복과 불행 그 자체가 절대선, 혹은 절대악이라 말할 수 없습니다.
행복과 불행은 중첩되어 있습니다. 행복 속에서 불행의 씨앗이 자라고,
불행 속에서 행복을 향한 꿈이 자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살아왔던 대로
살아가는 건 편안하다.
만족스럽거나 완벽한 삶은 아니지만
그런대로 예측 가능한 삶이다. 익숙한
생활양식을 버리고 새로운 생활양식을 택한다면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 불안한 삶을
살아야 한다. 그래서 변화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 성지연의《어른의 인생 수업》중에서 -


* 변화가 없으면 도약도 없습니다.
변화는 몸의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미움에서 사랑으로, 용서와 화해로, 감사와 사랑으로
차원을 달리하는 방향 전환입니다. 얼음에서 물로,
물에서 수증기로 바뀌듯이! 아이가 어른으로
변하듯이! 새로운 도약의 시작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튼튼한 사람, 힘없는 사람  (0) 2023.01.04
버섯이 되자  (0) 2023.01.03
지혜의 눈  (0) 2023.01.02
세월은 가고 사랑도 간다  (0) 2022.12.30
나쁜 것들과 함께 살 수는 없다  (0) 2022.12.30

+ Recent posts